-
-
적을 만들다 - 특별한 기회에 쓴 글들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희정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9월
평점 :

책을 읽다보면 본의아니게 궁합이 맞는 책을 만날 때가 있고 읽으면서도 이건 나와는 너무 먼 당신에 속하는 책이야~ 라고 느끼면서 읽을 때가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쉽게 놓지 못하는, 반드시 정독해서 읽고 말리라란 내 스스로의 모자란 지식의 얇음에 대한 겉 가면을 포장한 위선을 감춘 채 그저 오기로 읽기 시작하는 책들이 있다.
그런 책들 중에서 나와의 궁합이 맞지 않는다해도(전체가 아닌 일부) 쌍수를 들고 환영을 하며 한 작가에 대한 존경심과 그의 작품을 일렬로 소장하는 기쁨까지 선사하는 기분을 맛보는 맛이란 뭐라 표현 할 수가없다.
한 인간이 지닌 지식의 보고가 워낙 크고 방대해서 내놓은 책들마다 독특한 지적의 세계를 안내해 주는 책들 중에선 특히 움베르토 에코의 책을 뽑지 않을 수가 없다.
소설이란 장르에서도 중세의 역사학을 거쳐 종교학, 그 안에서 다채롭게 다듬어져 나오는 내용들은 처음 '장미의 이름'을 접하고부터 머리를 쥐어짜게 만들었지만 읽고 난 후의 개운함을 잊을 수가 없게 하는 쉽다가도 어렵게 느껴지는 작가의 글로 대표된다고 할 수있다.
이번에 나온 '적을 만들다'란 책도 모두 각기의 주제들이 다르고, 부록처럼 내놓은 소 주제인 '특별한 기회에 쓴 글들'이란 말 답게 각종 세미나나 축제의 회의 때 발표됬던 글들을 모은, 소품집이라고 하기엔 내용이 크고, 그렇다고 한 편의 장르로 치기엔 뭐라고 딱 꼬집어 말 할 수없는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첫 주제이자 이 책의 제목인 '적을 만들다'는 우연한 기회에 택시를 타면서 택시기사인 파키스탄인으로 부터 받은 질문 때문이었다고 한다.
"우리의 적은 누구냐?"고 물은 것에서 출발한 이 이야기는 에코식의 인간본성에 대한 생각을 들을 수가 있다.
"적을 가진다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치 체계를 측정하고 그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 그것에 맞서는 장애물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따라서 적이 없다면 (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위의 필요성 때문에 과거의 사람들은 적을 만들어야했고 그런 의미에서 역사상 이루어진 여러 부류사람들을 같은 인간이 벌하고 처형하며 멸시하는 형태를 취해왔음을 일렬의 사례대로 보여준다.
흑인의 피부색, 마녀사냥, 유대인의 차별에 이르기까지 미학에서부터 철학, 문학, 실생활의 정치적인 목적에 의해서 이뤄지는 적의 다양성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있노라면 섬득함을 지나 여전히 현재도 진행되고 있지않나하는 생각을 두게 된다.
이 외에도 절대와 상대를 다룬 철학적인 이야기(이해가 되는 면도 있지만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는 대목들도 있다.), 보물찾기란 제목에서 부터 유쾌함을 던지는 각 역사시대를 관통하는 유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관광안내자 같은 이야기(시간만 된다면 이런 장소만 따로 모아 에코식 관광으로 다녀도 정말 많은 공부를 할 수있을 것같다.), 섬 이야기, 속담따라하기란 코너에선 역시 에코야~ 라는 에코만의 유쾌한 꼬리에 꼬리를 무는식의 말 연속성의 아이러니함을 줄줄이 나열해주고 있다 (정말 재밌게 읽은 부분들 중 하나다,) 검열과 침묵이란 코너에선 현재의 우리가 살고있는 이 시대를 비교해봄으로써 오히려 고요함으로 돌아가라 한 말을 의미심장하다.
소음은 은폐와 같다. 소음을 통한 검열의 이데올로기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서 침묵해야 할 것이 있으면 더 많이 떠들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85
문학적인 면에서의 빅토르위고와 조이스를 다룬 점은 아주 이색적으로 다가오게 만들며 그 또한 에코만이 던질 수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한 가지 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의 분야를 넘나들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접할 수가 없었던 학문의 분야로까지 관심을 두게 하는, 글의 장르를 넘나드는 에코식의 글은 기존의 글로도 내놓은 부분들이 겹치는 부분이 있어 수월하게 넘어가는 면도 있었고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학문의 채널을 보여줬다는데서 이 책을 읽는 의미는 크다고 할수가 있겠다.
다시 한 번 정독을 요하는 책인만큼 읽으면 읽을수록 다시 에코에게 빠져듬을 느끼게 하는 책-
그의 다양한 잡기식의 이야기들을 읽는 즐거움 하나만으로도 이 책을 집어든 순간 독자들은 곧바로 움베르토 에코란 작가이자 학자인 그의 전 작품을 읽어보게 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