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벌 The Bees - 랄린 폴 장편소설
랄린 폴 지음, 권상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방송에서 동물들의 세계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즐겨 보곤 하는데, 고감도의 촬영기술의 발달로 인한 그들의 생태계를 통해 인간과는 또 다른 삶을 들여다 보는 재미는 교육적이면서도 진화에 따른 그들만의 삶의 방식에서 우리들은 생활에 밀접한 용품개발이라든지 약품들을 응용해서 발명을 해 생활하는 데 도움을 받고 있다.
그런 면에서 부지런하면서 전체주의의 행동으로서 일목요연하게 생활을 하는 대표적인 것들 중에선 개미와 벌을 떠올리게 된다.
개미하면 일단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작품을 따를 수가 없을 만큼 세밀한 작품으로 기억이 되는데 그 만큼 작가의 노고가 엿보이는 작품이 아닌가 싶어 좋아한다.
이에 비교 할 수있는 작품을 만났다.
바로 벌의 일생을 다룬 책인 만큼 그 동안에 사실적인 카메라에 빗댄 생활로 보여지던 것을 문학이란 글을 통해서 다른 시각에서 볼 수있었단 점에서 읽는 동안 다른 느낌을 받게 한다.
벌 중는 오직 여왕 벌만 새끼를 잉태하고 탄생하는 책임을 갖고 있다.
벌의 여러 계층 중에 가장 최하위이면서 말을 하지 못하는 청소병이라 불리는 플로라-
이 플로라 중에서 717로 명명이 된 벌 하나가 부화에서 깨어나면서 곧바로 상위층인 여사제 세이지 자매의 눈에 띄게 되면서 자신의 역할과는 새로운 모험에 뛰어들게 된다.
처음엔 모유수유방이라고 불린 곳에서 부화되어 모유실로 옮겨진 유성벌의 수유를 담당하는 법을 시작으로 벌 집 안의 여러 곳을 구경하기도 하면서 호기심을 억누르지 못한다.
하지만 이 곳은 <수용하고, 순종하고, 봉사하라>로 되뇌이면서 생활하는 집단국가이기에 이런 호기심은 용납 자체가 안될 뿐더러 가장 가혹한 벌인 기형으로 태어난 벌은 바로 생식경찰로 부리는 벌에 의해 그 자리에서 죽임을 당하는 곳이기에 플로라 717은 자신의 이런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살려고 애를 쓴다.
무시한 천적인 말벌의 공격에 용감하게 나서 싸우게 됨으로써 여왕을 알현하는 영광과 함께 보급병이라 불린 벌이 죽어가면서 자신의 지혜를 넘겨줌으로써 더욱 강한 지혜를 터특하게 된 플로라 717은 청소병에서 보급병으로 신분 상승을 하게 된다.
작가의 벌에 대한 글을 옮겨 놓은 것을 보면 은유가 넘치면서 사방에 자연의 현상으로 이루어진 계절에 맞게 피어난 꽃들 속에서 꽃물을 흡수해 자신의 벌 집으로 날르는 보급병들의 묘사들, 수벌들의 하는 일 없이 수발을 들게하고 음식에 대한 탐욕의 모습들, 월동 준비를 하는 과정서부터 한 겨울을 나기 위해 서로가 엉겨 붙어서 꼼짝 안하고 한 덩어리가 되어 겨울을 나는 모습, 거미줄을 치면서 은밀하게 유혹하는 거미에 대해 자신의 노화 된 몸을 보며 스스로 죽음을 자처하는 벌들의 행도와 표현들은 생동감이 넘쳐 흐른다.
이 와중에 모자란 식량에 대비해 여왕의 명에 의해 수벌들을 죽이는 개체수 죽이기, 오직 여왕만이 알을 낳을 수있단 금기를 깨고 하나의 일벌인 플로라 717이 남 모르게 알을 탄생시키는 과정, 그 가운데 모성애를 느끼며 주위의 위험을 무릅쓰고 생명의 모유수를 준 행동들은 소재는 벌이지만 인간들의 생활을 그린 협소판으로도 그려냈다고 볼 수가 있다.
태어난 자체가 못생기고 몸집은 과도하게 크며 신분은 최하층인 청소병 하나의 일생을 그린 이 책은 인간들 끼리도 못나게 생긴 사람들을 무시하는 경향, 금기시하는 사항에 대해선 암묵적으로라도 알려하지 말란 세태에 대해 오히려 호기심은 자신의 위치를 위험에 빠지게 할 수도 있다는 집단적인 가학 현상, 인간에 의해 자신들의 보금자리가 흔들리고 죽어가는 동료들을 보는 묘사들은 또 다른 인간들이 다른 인간들의 삶을 파괴하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책 겉 문구를 보니 바로 개미와 동물동장을 연상시킨 작품이라고 한 말이 맞단 생각이 든다.
동화같으면서도 인간의 삶을 대조시킨 듯한 이 작품에서 삶은 어떤 고난이 닥쳐도 지속됨을, 자신의 딸을 몰래 잉태하고 그 딸이 다시 새로운 왕국의 여왕으로 등극하게 되는 여왕의 혼인 장면들이 한 일벌의 탄생에서 자신의 피붙이가 또 다른 새로운 세계를 여는 과정들이 여과없이 사실적으로 그려졌단 점에서 인상이 깊게 남는 작품이다.
다만, 의인화 했다고해서 그런진 몰라도 벌들의 세계에서도 종교적인 색채가 두드러진 말들은 이건 아니다~ 라는 생각도 들게 되고 추운 겨울 날 동료들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인간들이 사는 세상속으로 들어가 꽃물을 담아가려는 희생정신은 하나의 희생정신이 모든 것들을 살릴 수도 있다는 깊은 감명을 남긴 장면으로 기억이 된다.
하늘에서 가끔 보게되는 붕~하고 날아가는 벌들을 보게 되면 이젠 좀 다르게 볼 것 같다.
저 벌은 무슨 의미로 서로 상호교환을 하는 중이지? 내 스스로가 이렇게 묻게 되진 않을까?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꿀벌 마야의 모험"이나 애니메이션 "꿀벌 대소동"이 생각나기도 했지만 이와는 좀 더 깊은 차원의 인간과 벌들의 관계를 다시 들여다 보게 된 작품이 아닌가 싶다.
은유적인 표현이 많기에 (사실적인 부분에서 많이 사용된 점) 읽는 면에선 빠른 흐름을 보이진 않은 작품이었기에 좀 더 쉽게 글을 풀어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든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