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캔들 1930 1
김민주 지음 / 단글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나 책에서 보면 , 아니 실제로 힘든 사랑을 한 사람들을 보면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을 험한 여정을 극복하고 이룬 행복한 사랑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채,  이별아닌 이별을 해야만 하는 안타까운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종종 볼 수가 있다.

 

아, 물론 단골소재인 가요의 가사나 팝송이나 위의 장르에서도 사랑이 없다면 무슨 재미로 읽을수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진부하면서도 또 여지없이 이런 소재가 있음으로해서 사람들의 자신이 꿈꿔왔거나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대리 만족을 느낄 수가 있지 않을까 싶다.

 

이런 사랑의 형태는 아주 다양해서 실로 인생이란 단어 앞에 이것을 이루기 위한 어떤 여건마저 허락해야만 이뤄질 수있는 사랑이 있으니, 바로 위의 책이 그렇다고 할 수가 있겠다.

 

시대는 1930년대, 일제의 치하에서 극에 달할만큼 교묘한 일본의 손길은 그칠 줄 몰랐던 그 시기에 허울뿐인 총독부 중추원 참의 댁 딸인 모석정은 오라비인 모정일과 함께 경성에서 공연을 가지게 된 일본의 신무용수  가스카노 미하로의 춤을 보고 곧바로 신무용이란 것에 빠지게 된다.

 

미하로 앞에서 자신의 옷을 벗어가면서까지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던 그 장소에서 일본 세도가의 아들인 이치카와 타이요우의 눈길을 받게 되고 이는 곧 그녀가 미하로의 수하생으로 들어가 수련을 함으로써 점차 만남을 가지게 된다.

 

 타이요우는 누구인가?

반은 일본인, 반은 영국인의 피가 흐르는 그는 엄마인 앤이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포기하지 못한 채 도일을 감행했지만 아버지의 여성편력에 대한 혐오와 자신의 질투와 남편이 자신에 대한 사랑을 알게 되자 우울증이 겹쳐 반 시체의 상태로 있는 생활을 보면서 자란 사람이다.

 

일본 내의 황실의 먼 방계쪽 혈족이란 이름 아래 군수업에 손을 댄 아버지의 명성 앞에 자신의 첫 사랑마저 배신을 당하고 사랑을 믿지 않는 채로 성장한 그지만 이내 모석정이란 조선의 신무용수에게 빠져든다.

 

시작도 하지말라던 미하로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결국 둘은 사랑을 하게 되지만 시대는 이들을 가만 두지 않은 채 험난함을 예고하듯이, 오빠의 항일 운동을 저벌리 수없었던 석정은 오빠의 뜻대로 계획에 실행하면서 아버지마저 타이요우의 아버지 뜻대로 죽음을 맞게 된다.

 

 한 여인의 가련하고 아픈 사랑의 이야기가 시종 쉼없이 흐른다.

 

한 쪽은 친일파의 편에 선 아버지, 한쪽은 그런 아버지의 반해 일반 식민지로 전락한 참담한 조선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는 오빠를 둔 , 이러지도저러지도 못하는 모석정이란 한 여인의 삶을 통해 사랑을 하자니 가족들이 걸리고, 가족을 위하자니 자신의 불타는 , 결코 시대가 허락치 않은 위험한 사랑을 포기할 수없는 비련의 여주인공의 삶이 처절하리 만치 아프게 다가온다.

 

 사랑이란 이름 앞에서 자신의 성공을 위해 자신은 춤을 선택했고, 곁에서 맴도는 , 때론 냉소적이면서도 행동으로만 보여주는 타이의 그녀를 아끼는 사랑의 방식 앞에 비로소 미하로의 충고를 듣고 사랑의 진실을 깨달아가는 모석정이란 여인이 한편으론 감각과 감정에 무디단 느낌도 전해지지만 사랑을 느낀 후의 그녀의 대담한 행동은 오히려 당시의 모던걸의 이미지와 딱 부합한 적극성을 보인다.

 

오히려 사랑을 함으로써 자신이 그녀를 지켜주지 못할까 주저하는 그에게 용감하게 먼저 다가서는 그녀의 행동은 당시의 상황을 보더라도 결코 자신의 인생을 남의 잣대로 움직이지 않고 자신의 인생은 자신이 뜻한 바대로 이뤄나가겠다는 당찬 아가씨의 모습이다.

 

그럼에도 결국 혈육이 앞섰던 탓일까?

지독한 사랑 앞에 결코 그의 아버지를 용서치 못했던 그녀 앞에 타이의 사랑은 서로가 서로를 헐뜯고 비난하고, 그리고 결국엔 미쳐가는 중독된 사랑의 말로를 보여주는 과정이 당시에 회자되기에도 충분한 스캔들의 대명사로 자리잡았음을 알게 해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사랑 그거, 워낙 지독스럽거든요. 지긋지긋하리만치 질퍽거려서 어지간하면 발 담그지 말라고. 그래, 그 사랑이라는 거 할 게 못 된다고 말이지. 그런데 말이야, 그게 또 아편만큼이나 중독성이 있거든. 한번 빠져들면 걷잡을 수 없이 미쳐버린다는 걸 알고 있으니까. 뜨겁게 타오르는 열망과 터져 버릴 것 같은 격정, 돌아 버릴 것 같은 감정에의 소용돌이. 그거 못하게 하면 할수록 더욱 치명적으로 빨려 들 테니까." - 제 2권 p 225

 

사랑에 대한 표현이 위의 말처럼 적나라하게 드러낼 말이 있을가 싶을 정도로 후련하면서도 사랑이란 정의에 대한 인간의 감정은 이성으로도 도저히 통제할 수없음을 드러내 준 말이 아닌가 싶다.

 

사랑이란 이름 앞에서 어쩌면 제 삼자가 봤을 때도 무모하다고 느낄만큼 두 사람의 불나방같은 열정적인 사랑은 그 사랑이란 이름 앞에서 결국 서로에 대한 원망과 비난으로 변해버렸지만 그 마저도 사랑이 있었기에 , 죽음으로서 답을 해주지 않았나 싶다.

 

 

시대의 흐름이 허락치 않았던, 친일파에게 사랑을 주었다는 비난, 친일의 귀족사랑을 이용해 일본을 곤경에 빠뜨렸단 양갈래의 비난을 감수해야했던, 그러나 끝내 사랑의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 1930년대의 신여성이자 신 무용수로 이름을 날렸던 모석정이란 여인의 삶을 투영한 바, 여전히 그들의 사랑은 그 후에 여러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기에 충분한 그야말로 스캔들이다.

 

웹에서 인기를 끌어 책으로 나온 것인만큼 많은 웹상의 독자들은 책으로 총 3권을 통해 다시 한 번 작가의 글을 느낄 수있단 사실과 함께 당시의 변해가는 시대의 요모조모의 흐름과 신분변화의  차이, 이데올로기의 입장차이를 통해 당시의 시대흐름을 엿볼 수가 있고,  또 다른 외전이란 버전으로 조그마한 포켓용 책으로 선보인 내용은 이 시대의 콩콩 뛰게하는 현대의 다른 사랑의 시작을 알리는 책이기에 흥분이 채 가시질 않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