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 속의 일격 ㅣ 밀리언셀러 클럽 136
로렌스 블록 지음, 박산호 옮김 / 황금가지 / 2014년 9월
평점 :

9년 전 송곳얼음 살인으로 불리는 사건이 있었다.
이 살인범이 우연찮게도 잡히게 되어 사건은 사람들 뇌리에 잊혀졌지만 범인은 모든 살인은 인정하되 단 한 사람은 자신이 살인을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하게 된다.
죽은 사람은 바버라 에팅커-
탁아소에서 잠시 일을 했으며 죽었을 당시 임신 2개월인 상태였고 이 사건은 아버지인 찰스 런던의 의뢰로 다시 수사를 하게 된다.
그 사건 당시의 살인 현장에 있었지만 바로 사건은 관할지로 넘어갔고 곧 바로 퇴직했던 매튜에겐 사실 버겁기도 했고 동료의 말처럼 적당히 시간만 떼우고 의뢰인에게 대충 사건에 대한 결말을 알려 줄 수도 있었다.
그러나 한 번 물기 시작한 사건은 자신이 뜻대로 인정하기 전까진 결코 멈출 수없는 매튜에겐 9 년 전의 당시 죽은 그녀가 살았던 집을 중심으로 전 남편의 만남을 시작으로 주위를 샅샅히 파헤치면서 사건의 전모를 밝혀내기 시작한다.
그러나 돌연 의뢰인이 사건종결을 원하게 되고 이런 배경에는 죽은 자신의 딸이 세상이 알고 있는 것처럼 밝혀진 범인이 아닌 제 삼자에 의해 죽었다고 믿었던 초기의 심정변화가 급기야는 혹 이대로 죽은 사람에 대한 수면 위에 오르지 못했던 또 다른 달갑지 않은 진실들이 파헤쳐질까봐 두려워하는 아버지로서의 고뇌와 결단력이 하나의 사건으로 인해 벌어지는 심리들을 보여준다.
우리는 때때로 진실이란 것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된다.
정의는 언젠간 반드시 밝혀진다는 말이 때론 그럴 수도있지만 여전히 미지의 사건으로 남아있는 사례들을 보면 꼭 그렇다고만은 할 수없는 현실적인 제약이 드러나는 경우를 볼 때가 있다.
죽은 그녀를 알고 있었고 만남을 가졌던 많은 사람들 중엔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있었고 각자가 기억하는 그녀에 대한 인상들은 모두 제각각이다.
그런 점을 염두에 두고 본다면 아버지가 사건종결을 원했던 마음은 이해가 가기도 하지만 범인은 이번에도 뜻밖의 사람으로 밝혀지면서 그런 경우가 일어나게 된 원인과 사연들은 인생이란 때론 우리가 원치 않았음에도 그것을 막지 못하고 그저 보고만 있을 수 밖에 없는 어떤 한계를 느끼게도 하는 작품이다.
여전히 술과 버번, 아스피린, 위스키를 곁들인 알콜에 절어 사는 매튜란 인물을 미워할 수만은 없는 것이 바로 이런 집요한 사건 해결을 보면서 대리 만족을 느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다.
내가 술을 마시고 책을 읽는 것인지, 매튜가 책 속에서 나와 대작하면서 주절주절 자신이 겪은 사건을 들려주는 것인지, 착각이 될 정도로 매 장면마다 빠지지 않는 커피와 버번의 합작품은 그 만의 트레이드 마크로 자릴 잡은지 오래지만, 여전히 그의 매력에 흠뻑 빠지지 않을 수가 없게 하는 로렌스 블록만의 지닌 특징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