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과 창조의 시간 밀리언셀러 클럽 135
로렌스 블록 지음, 박산호 옮김 / 황금가지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튜 스커더-

 

 

흔한 말로 성공한 경찰도 아니요, 그렇다고 자발적으로 퇴직해 사립탐정으로서 자리를 잡은 것도 아닌, 자신이 스스로 말하길 알콜홀릭은 결코 아니며, 술은 얼마든지 끊을 수있다고 생각하는 전직 경찰 -

 

매튜가 돌아왔다.

 

이번에도 여전히 자신의 실수로  죽은 사람에 대한 죄책감을 지닌 채 단골 술집에 들어가 커피에 버번을 섞은 것을 즐겨 마시며 때때로 사건해결을 해주고 떨어져 사는 가족에게 돈을 부치는 가장으로서 말이다.

 

자신의 진실됨을 믿는다는,  살인을 제외하곤 각종 범죄를 저지른  제이컵 자블린- 일명 스피너가 어느 날 그에게 봉투를 맡기며 자신에게 무슨 일이 있어날 경우를 대비해 보관해 달란다.

 

그러던 그가 죽은 시체로 발견이 되고 봉투를 열게 된 매튜는 그 속에 그가 그 동안 세 사람에게 그들이 저지른 약점을 빌미로 돈을 뜯어 온 것을 알게된다.

 

한 사람은 마약에 취한 상태에서 교통사고를 낸 딸의 범죄를 무마시키기 위해 애를 쓴 아버지로 그에게 이를 이용해 돈을 얻어 썼으며, 또 한 사람은 매춘녀이자 범죄에 연류됬지만 교묘히 빠져나가 결혼에 성공해 살고 있는 한 여자, 나머지 한 사람은 장차 주지사 출마를 목적으로 정치계에 야심을 품은, 그렇지만 추악하게도 어린 아이들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사람이다.

 

이 세사람 중 분명 어느 하나가 스피너를 죽였을 것이란 짐작하에 결코 이 사건에 관여하고 싶진 않았으나 자신도 모르게 이들을 찾아가 그들과의 이야기를 통해서 사건의 전말을 밝히는 과정이 그려진다.

 

첨단 무기소지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약삭빠르게 상황에 대처해 미리미리 앞 날을 그려가며 사건의 해결을 하는 요즘의 시각적 효과를 노린 책을 기대했다면 실망했을 수도 있으나 역시 매튜는 매튜다웠다고 말할 수가 있겠다.

 

끊임없이 술에 절어서, 그렇다고 인사불성 상태정도까지 이른 경우는 드물게 행동하는 경우가 적더라도 분명 그는 술에 관한한 자신의 과오를 떨쳐내지 못한 약한 심성의 남자로도 비치지만 사건 해결에 있어서만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슬로우 방식의 수사를 고수한다고 할 수있겠다.

 

 범인이 바로 이 사람일 것이란 생각하에 독자 나름대로의 무게 잣대를 이겨내면서 작가 스스로가 창조해 낸 매튜는 사건의 해결 실마리를 풀었다고 생각한 순간에 또 다른 등장인물이 나타나면서 반전의 맛을 느끼게 해 주는 것도 여전하다.

 

 스피너가 매튜란 인물에 대해 바르게 보았듯이 돈에 얽혀 비정하게 사건해결에 매달리지 않는,  필요하면 상황에 맞게 처신하되 결코 정의의 선을 넘지 않는, 흔치 않은 인간미를 갖춘 자-

 

바로 매튜 스커너 시리즈를 대할 때마다 느끼는 이 감정의 연장선을 유지하면서 각 작품들마다 독자들을 홀려놓는 작가의 발군의 솜씨가 갈수록 힘을 더해간다는 듯한 느낌이 든다. (현재 리암 니슨의 주연으로 영화가 상영중이다.)

 

 

-경찰을 그만 둔 이유 중 하나는 그런 일들이 일어날 가능성이 계속 존재하기 때문이었다. 올바른 이유로, 옳지 못한 일들을 할 수있는 그런 상황에 처하고 싶지 않았다. 내가 그렇게 결심했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진 않으며 그렇다고 수단이 목적을 정당화하지도 않는다는 말은 사실일 것이다. -p144

 

매 사건마다 자신만의 방식대로 (물론 술과 커피) 사건해결을 완수해 나가는 매튜를 통해 또 다른 사회의 여러가지 상황에 맞부닥치는 상황들을 보면서 인간사회 안에 악의 무리는 결코 쉽게 사라질 수없음을, 또 다시 느끼게 해 주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