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수도사 사형집행인의 딸 시리즈 2
올리퍼 푀치 지음, 김승욱 옮김 / 문예출판사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서양의 단골소재로서 많이 등장하는 것이 종교전쟁과 십자군전쟁, 그리고 그에 따른 성배와 성물, 성혈을 다룬 미스터리를 가감한 것들이 독자들의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데 한 몫을 한다.

 

 워낙에 종교가 전반적으로 비중있게 곳곳에 밀접하게 접하고 있다보니 이런 소재만큼 좋은 것도 없다 싶은데, 이 책은 전작인 '사형집행인의 딸'에 이른 두 번째 작가의 작품이다.

 

 사형집행인 야콥 퀴슬이 살고 있는 숀가우의 알텐슈타트의 성 로렌츠 성당의 뚱보 신부 안드레아스 코프마이어는 어느 겨울 날 도너츠에 독이 묻혀 있는 것을 모른 채 먹다 죽은 시체로 성당 안에서 발견이 된다.

 

 그가 죽었단 소식에 달려온 의사 지몬 앞에 새겨진 문구는 "세속의 영광은 이렇게 사라지는 것......"이라고 적힌 것을 보게 되고 이를 판독하는 과정에서 템플기사단과 관련된 보물에 대해 알고 있었던 신부가 누군가에 의해 죽게되었단 사실을 알게 된다.

 

신부의  누이인 베네딕타가 신부의 편지를 받고 달려오면서 지문, 야콥퀴슬, 그의 딸 막달레나는 이 사건의 배후를 파헤치고 보물이 어디에 숨겨져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애를 쓰게 되는 과정이 한바탕의 모험처럼 펼쳐진다.

 

16세기 후반의 시대상황에 따른 사형집행이란 직업이 갖는 멸시와 그 안에서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그의 도움을 필요로하는 일반 사람들의 모순된 편견과 질시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가운데, 강도 사건이란 또 하나의 설정을 가미함으로써 두 가지의 사건에 휘말리는 야콥퀴슬과 지문, 그리고 사형집행인의 딸인  지문을 사랑하는 여인으로 나오는 막달레나의 적극적인 행동의 묘사가 눈길을 끈다.

 

 다빈치코드처럼  종교에 주안점을 둔 어떤 물건의 행방을 쫓듯 십자군 시대에 엄청난 부를 이룬 템플기사단에 대한 억압과 해체에 따른 그들의 이룬 부의 축적이 어딘가에 있다는 소문을 사실처럼 드러내어 종교라는 신성한 힘에 덧대 인간의 성물에 대한 욕망과 이를 지키는 과정에서 완력을 사용하는 수도사들의 모습이 "Deus lo vult"....(그것이 하느님의 의지)라는 명목하에 이뤄지는 모습들이 중세의 모습을 그대로 들여다 보는 듯한 느낌이 들게한다.

 

 지금처럼 과학이 발달한 상태가 아니었기에 약초에 의지해 당시의 병든 사람들을  처방해 주는  모습은 비록 사형집행인이란 신분이지만 잔혹하기 그지 없는 사람이 아닌 따뜻한 마음을 가진 한 사람의 가장이자 자신의 시(市)를 위해 야콥과 대립하는 인물인 법원서기 레흐너와의 담판을짓는 모습들이 신분의 차이를 떠나 진정으로 무엇을 중요시하고 그것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좋은 본보기의 모습들이 작가의 필치에 의해 활발히 그려진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식의 수도원 방문과 그 안에 깃들인 여러가지 조각과 수도원의 모습들은 실제 저자가 실존하고 있는 수도원을 방문하고 배경으로 삼았기에 책 말미처럼 책을 둘러싼 테마 여행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이모저모로 많은 느낌을 줄 것 같다.

 

 인간의 끝없는 욕망, 그것이 설령 좋은 취지에서 행동하는 것이었다해도 결국은 인간이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책이기도 하다.

 

 지문과 신분격차에 오는 사랑에 대한 불안감과 베네딕타를 바라보는 막달레나의 질투심은 만약 다음시리즈격에 속하는 책이 나온다면 이 둘의 관계진전도는 어떻게 그려질지 상상을 해 보게 되는 책이다.

 

한가지, p 342

Je suis un enfant de France (나는프랑스의 아이)! 란 대목에서 베테딕타가 여성이기에 문장도 여성형으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