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으로의 여행 크로아티아, 발칸을 걷다 시간으로의 여행
정병호 지음 / 성안당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여행을 계획했던 당시의 나의 모습은 그냥 좌충우돌의 연속이었다.

 그냥 방문할 목적의 나라에 대한 간략한 지식만 지닌 채 다녔기에, 차후의 여행은 좀 요령이 생겼다고나 할까?

 

떠나기에 앞서서 방문하고자 하는 나라에 대한 지식도 챙기게 되고 돌아보아야 할 곳을 챙겨보는 습관도 생겼지만 여행이란 것이 중독성이 있는 것이라 새로운 세계를 다시 접하고 싶고  한 번이라도 눈에 각인시키고픈, 그러면서 다녀온 후론 방랑자의 기질처럼 여겨지는 그 어떤 병에 시달리게 마련이다.

 

"꽃보다 누나" 컨셉으로 방영이 됬던 크로아티아를 보게 된 후에 더욱 한국사람들의 발길이 바빠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해당하는 여행에세이를 접했다.

 

 

 흔한 여행 안내서가 아닌 방문하고자 하는 나라에 대한 문화와 역사를 근거로 해서 자동차 여행을 해가며 해당 장소에 대한 알림과 지식을 던져 준 책이다.

 

 

학창시절, 모자이크로 표현된다던 전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에 대한 그들의 역사는 그간 알고있었던 역사의 흔적이  180도로 바뀌는 현장으로 바뀐다. 

 코소보 전쟁, 인종청소란 극악한 잔행이 치러졌으며, 각기 다른 인종, 종교, 문화와 역사란 한정된 공간 속에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며 살던 그 시대를 벗어나 자신들 만의 고유영역으로서의 독립을 이루게 된 경위들이 소상하게 다가오게 만드는 책이다.

 

각 지역에 깃들어 있는 역사적인 현장의 이름이나 그것을 기리기 위한 모색, 시인 바이런이 극찬해 마지않았던 크로아티아의 듀브로니크의 보존을 위해 애를 쓴 서구 지식인들의 노력은 한 나라를 지키기기 위한 일환과 더불어 세계의 고유한 자원과 문화, 역사를 보존하려했던 뜻 깊은 내용을 들여다 보게 함으로써 아는 것 만큼 보인다는 여행의 진리를 다시금 깨닫게 해 준다.

 

 

 동유럽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있는 붉은 색의 지붕으로 둘러싸인 나라들 답게 자연이 주는 천혜의 혜택과 종교가 지닌 위엄성과 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선 그들 나름대로의 행동들은 서로 얽혀있다시피한 고대의 역사 속으로 다시금 흘러 들어가 열강의 이익 속에 한(恨)많은 그네들의 아픈 역사현장을 보는 느낌이 여행을 하면서 이야기가 곁들여진 낭만을 느끼기에 충분한 기분이 들게 한다.

 

여행은   첫 출발의 설렘과 긴 여정을 끝마치고 난 후의 좋았던 추억과 영상들이 떠오르는 것이기에 이 책 한 권으로 우선 발칸반도에 속하는 여러 나라들의 역사를 알고 시작한다면 훨씬 체감하는 느낌은 그저 보고 가는 것과는 확연하게 틀릴것이란 생각이 든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에세이다 보니 해당되는 역사의 건물들이라던가, 표현되는 문장 속의 사진들이 많이 들어있지 않다는 점이 활자로 대하기엔  상상력의 한계를 느낀 점이 없지 않아 있었다.

딱딱한 역사 책보단 쉽고도 간략하게,  그러면서 책 끝말미에 꼭 필요한 정보를 알려준 것은 발칸반도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많은 도움을 받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