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네임 이즈 메모리
앤 브래셰어스 지음, 김지현 옮김 / 비채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아주 가끔 , 가끔말이다.

뜬금없이 내 생애의 전 생이 있었다면 난 과거에 어떤 모습이었을까? 하는 공상을 한 적이 있다.

불교에서는  윤회와 그에 따른 업보에 따라 차후의 다음 생애를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고도 하는데 나의 인생 전체를 통틀어서 이 세상에 인간으로 태어났으니 아마도 전생이 있다는 가정하에 난 그래도 좋은 일을 했기에 태어나지 않았나 하는 자칭 위로를 삼았던 때가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떠올랐다.

 

 사람의 기억엔 망각과 기억이란 두 가지의 상반된 저장고가 있기에 비록 큰 슬픔이라도 시간이  흐르면 자연적으로 아픔의 강도가 희석이 되는 망각이란 것을 가졌다고 볼 때 기억이란 것은 좋은 것은 내내 기억하고 싶고 기억에 되새기고 싶지 않은 것은 되려 외면하고 싶은 완충적인 작용을 해 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이 남자-

자신의 전생을 모두 기억한단다.

무려 천 년 이상의 세월을 거스르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현생의 대니얼이란 사람으로 환생했지만 그의 첫 기억이자 유일한 끈이요, 죽어도 잊지 못했던 그녀를 찾아서  그녀가 있는 버지니아로 왔다.

 

그가 애타게 찾고자 했던 그녀의 이름은 소피아, 현재는 루시란 이름의 여고생이지만 그는 그녀와 처음 만났던 기억의 장소에서 그녀를 죽게 만든 괴로움과 다시 환생했을 때 형의 아내로 나타난 소피아의 그녀를 사랑한다.

 

현재의 루시는 그런 대니얼의 이상한 말과 행동에 지레 겁을 먹고 그를 피하게 되지만 그녀 또한 꿈 속에서의 예시 비슷한 경험을 하면서 이 둘은 이별과 만남을 반복하게 된다.

 

 방송에서 최면술에 걸린 사람들이 전생의 기억을 말하는 장면을 볼 때가 있다.

정작 자신은 무엇을 말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루시의 경우도 그랬다.

과거의 끈질긴 인연이 주는 끊을래야 끊을 수없었던 두 사람간의 사랑이야기는 한 생을 거듭해서 태어날 때마다 기막힌 우연이 필연쪽을 흐르게 되는 과정이 유연히 흐른다.

 

자신의 잘못으로 그녀를 죽게 했고 이후의 형의 아내로 만난 그녀의 처지를 위해 도피를 시키지만 자신은  형에게 죽음을,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형과 대니얼, 루시(소피아)간의 만남이  첫 만남을 기점으로 현재에도 똑같은 처지의 상황에 이르게 하는 작가의 시간 타이밍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게 한 구성이 '사랑'이란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묻지 않을 수가 없게 만든다.

 

기억하고 싶지 않은 부분까지 기억해내는 대니얼의 , 어쩌면 원치않는 부분까지도 기억이 주는 불편함을 이 주인공 만큼 아프게 겪는 사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괴로움과 루시에 대한 사랑을 멈출 수없음을,  머뭇거리며 주위를 배회하는 상황이 참으로 안타깝단 말 밖엔 할 수가 없게 만든다.

 

 어떤 사람들은 동반자살까지도 시도할 만큼 둘의 인연을 같은 선상에서 마치려고 하는가 하면 대니얼처럼  과거에서 자신의 죽음 뒤에 소피아만이라도 행복을 바라는 사랑의 형태도 다양하다.

 

"부디 믿어주세요. 이건 우연이 아닙니다. 당신은 내 첫 생에서부터 함께였어요. 내 첫 기억이고, 모든 삶을 잇는 유일한 끈이예요. 나를 사람으로 만드는 건 바로 당신입니다." - P 250

 

 

소피아, 콘스턴스, 루시,,,

이름은 바뀌었지만 대니얼의 기억 속엔 아직도 소피아로 기억되는 여인-

 

현재의 삶 속에서 비로소 둘 만의 만남을 이루어가는 과정이 순탄지만은 않았지만 루시는 희망을 갖는다.

 

사랑하는 대니얼이 있기 때문에....

 

이별이 갖는 슬픔을 뒤로 하고 항상 그녀를 만날 것을 기억해야만 했고 그래서 모습은 바뀌어서나타났지만 그녀임을 기억했고, 그리고 드디어 만나게 되는 과정들이 서기520년에서 시작해 2009년의 현 시대까지를 물 흐르듯 하며 이어주는 작가의 타임머신을 연상케하는 묘사들이 인상적이다.

 

주위를 둘러보게 된다.

가까이 있기에 나도 모르게 내 말 한마디, 행동 하나에 혹 마음에 상처를 입은 가족들, 친구들, 동료들은 없었는지,,,,

 

지금 있을 때 잘하란 말이 있듯이 대니얼과 루시의 사랑 이야기로 인해 다시 깨닫게된다.

정말 잘 해줘야지...

 

동양적인 사상이 많이 흐르는 듯한 윤회 이야기나 전생의 이야기, 환생같은 이야기들 속이라서 그런가, 서양문학 같지만 또 달리 보이는 소설의 소재나 구성, 그리고 참 사랑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을 해 보게 하는 멋진 책이다.

 

무더운 여름 날~

달달한 사랑의 이야기가 그립다면 이 책으로 한 번 푸~욱 빠져 보는 것이 어떨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