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지음, 김욱동 옮김 / 문예출판사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이라고도 불리고 베스트셀러란 말이 불리는 책에는 반드시 그 의미를 넘어선 어떤 고유의 느낌이 있다.
시간이 많이 흘렀어도 그 책이 가진 교훈적인 느낌과 생각할 거리를 제시해 주는 , 그야말로 현재에 읽어도 공감을 불러일으키는사람들간의 공통된 감성을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지 싶다.
아주 오래 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집어들었다.
계기는 조카에게 선물을 하려고 구입한 책인데 본의아니게 내가 먼저 다시 읽게됬다.
-앵무새 죽이기..하퍼 리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음직한 이 저자의 이름과 소설의 제목은 읽었는지, 읽지 못했지는지의 구분조차 희미할 만큼 유명한 책이기에 다시 읽었던 시간은 또 다른 추억과 함께 다시 내 주위를 둘러보게 한다.
솔직히 성장소설이라고 하면 그다지 관심을 끌고서 읽지 않게 되는데, 이 책이나 다른 유명 성장소설들은 어른들이라도 다른 시각을 보게하는, 아주 교훈적인 이야기 구성이라 언제 읽어도 반갑기 그지없는 책들이다.
스카웃이란 별명으로 불린 여인이 자신의 어린시절, 즉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입학 후인 2학년에 걸쳐서 겪은 이야기를 회고하는 식인 이야기의 진행은 작가가 화자를 어떤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흐름을 이어 나가느냐에 따라 시선의 흐름도 달리 보이게 된다는 것을 다시 느끼게 해 준다.
여자아이기에 오빠인 젬이 보는 시각과는 또 다른 , 물론 나이차가 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자신이 겪은 시간들의 흐름 속에 한층 성장하는 이야기의 주된 흐름이 미국의 1930 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에 우선은 미국의 배경도 좀 알고서 읽을 필요가 있겠고, 그 안에서의 흑.백의 논리를 들이대며 양심적인 변호를 진행하는 아빠의 행동과 잘못임을 알고서도 유죄 판결을 내린 당시의 미국의 남부 앨라바마 주의 작은 도읍인 메이콤이란 장소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저자의 고른 평행선을 유지한 글들이 다시 읽어도 울컥하는 맘과 함께 벅찬 감동이 전해져온다.
상징적인 앵무새를 내세움으로써 인간들의 잘못된 선입견과 단지 피부가 검다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모든 상황에 불리하도록 돌아가게하는 백인들의 무자비한 횡포는 미국의 역사를 들여다보는 작가로서의 양심적인 선언이 들어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이 아닌가 싶다.
이 같은 상황엔 반대로 같은 백인임에도 불구하고 학창시절 잘못된 친구를 만남으로써 자신의 인생에 큰 후회를 던지게 된 부 래들리란 백인을 두고 마을 사람들이 보는 시선 또한 그다지 부드럽지 못하다.
스카웃이나 젬, 그리고 딜이란 아이들의 천연스덕스런 시선에서 바라 본 행동들은 그가 궁금하고 단지 바깥으로 나오게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러가지 실천을 하지만 정작 마을 사람들은 그가 아예 없는 듯이 무시를 하는 , 그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생각과 배려란 것을 모르는 어른들로 비쳐진다.
“앵무새들은 인간을 위해 노래를 불러줄 뿐이지 사람들의 채소밭에서 무엇을 따먹지도 않고, 옥수수 창고에 둥지를 틀지도 않고, 우리를 위해 마음을 열어놓고 노래를 부르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하는 게 없지. 그래서 앵무새를 죽이는 건 죄가 되는 거야.”-P 173
아무런 피해도 주지 않는 사람들, 오히려 도움을 주었던 흑인 톰 래빈슨과 아서 부래들리는 앵무새 같은 존재임엔 틀림이 없다.
단지 그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아는 어른들이 극 소수일 뿐인 당시의 미국의 남부가 갖고 있었던 고루한 시선에 딜이 우는 장면은 어른들을 부끄럽게 만들 뿐-
현재에도 여러 책들 중엔 이런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과 배려에 대한 글들이 많은 것을 보면 아마도 인류가 가진 가장 편협하고 고치기 쉽지 않은 감정 중엔 분명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여전히 부족한 탓이 많기에 계속 이런 관련 책들이 나오지 않나 싶다.
스카웃이 자신의 집에서 바라다 보던 부 래들리 집에 대한 시선이 장소가 바뀐 반대의 시선으로 자신의 집과 이웃들의 집을 바라다보며 느끼는 성장의 감정수위는 참으로 따스하고 이런 글을 쓸 수있었던 작가의 시선이 부럽기만 하다.
아빠가 정말 옳았다. 언젠가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보지 않고서는 그 사람을 참말로 이해할 수 없다고 하신 적이 있다. 래들리 아저씨네 집 현관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P 525
사건의 부당한 판결이 났음에도 반대의 입장이었던 이웰까지 이해했던 아빠의 곧은 심성은 솔직히 말하면 무척 그런 고도의 경지에 이르기까지 보통의 사람은 힘들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끝까지 이런 아빠의 성격을 유지하는데, 아마도 이 글 전체에 있어서 이런 사람마저도 없다면 진정으로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를 독자들에게 묻고 싶어 캐릭터 형성을 완성했는지도 모르겠다.
단 한 편만을 발표해 버리고 은둔해 사는 저자에 대해 이 책을 다시 읽고 나서의 이해가 예전보단 훨씬 수긍할 수있단 생각이 든다.
글쓰기란 창작의 고통은 때론 희열을 가져다주지만 저자 자신이 말한대로 과연 이 앵무새죽이기를 넘어선 다른 작품으로 독자들을 다시 불러들일 수있을까 하는 생각에 주저하는 작가의 맘을 십분 이해 할 수가 있었다.
시대적인 배경을 뺀다면 여전히 현재에도 나 자신 위주로의 생각에 빠지고 이익을 챙기는 우리들의 자화상을 한 번쯤은 다시 되돌아봐야하지 않을까? 를 묻는 책이기에 읽으면 읽을 수록 곱씹게 되는 고전인 것만은 틀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