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의 영역
사쿠라기 시노 지음, 전새롬 옮김 / arte(아르테)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아키쓰 류세이는 엄마의 열성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번번히 대전입상이란 타이틀을 차지하지 못한 채 치매에 걸린 엄마를 간병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서예가다.

 

그의 부인인 레이코는 학교 보건교사로서 자식 낳는 것마저 포기한 채 시어머니,  남편과 함께, 실질적인 집 안의 가장으로서 책임을 맡으며 살아간다.

 

어느 날 시립도서관에서 전시회를 하던 류세이는 민간인 도서관장으로 선출된 노부키의 여동생 준카를 만나게 되고 아무도 부족한 점을 꼬집어 설명해 주지 않던 자신의 서예작품에 대한 말을 듣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하지만 그녀는 신체는 성인이나 정신은 어린이가 갖고 있는 순수 , 그 자체의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살한 엄마의 천부적인 재능을 이어받은 실력을 갖추고 있다.

그녀의 그런 면을 바라보면서 자신이 아무리 노력해도 갖추지 못했던 선천적인 재능을 질투하고 그녀의 안타까운 실력이 세상에서 빛을 보지 못한 것에 대한 , 복합적인 느낌을 류세이는 갖게 된다.

 

한편, 레이코 또한 그 날이 그 날인 삶에 대한 어떤 변화도 없는 후카이도의 한 도시의 생활은 준카와 관계를 이어가게 되면서 노부키에 대한 자신의 감정에 휩쓸림을 알게 되고 노부키 또한 조금의 진전 상황도 이어가지 못한 여자 동창생과의 관계와 일, 배다른 동생인 준카와 살게 된 압박에 대한 감정, 레이코에 대한 자신의 질투심 사이를 오고가는 관계를 유지한다.

 

전혀 이어질 관계가 없어보였던 사람들이 서로 연관이 되고 관계를 이어가면서 벌어지는 조그만 틈새 사이로 간간이 호흡이 가빠짐을 느끼게 해 주는 책이다.

 

질투라는 주제를 가지고 그려낸 이 소설을 각 사람들 사이에서 느끼는 저마다 처한 환경에 따른 다른 느낌의 질투란 감정을 보이고 있다.

 

서예가의 등단 창구인 ‘묵룡전’에서 수상해 이름을 알리겠다는 생각에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지지 못하고 부인에게 의존해 살다시피하는 류세이가 느끼는 부인에 대한 고마움이란 감정 외에 경제력이란 힘을 쥐고 있는 상대방에 대해 느끼는 질투, 준카가 보여주는  탁월한 능력에 대한 경외심 내지 재능에 대한 질투,  기혼녀임을 알면서도 남편 류세이에 대해 느끼는 질투를 갖게되는 노부키, 그리고 오직 아들만이 알 수있는 느낌을 통해 치매환자가 아니면서도 치매가 갖고 있는 행동을 보이는 엄마가 느끼는 아들내외에게 향한 질투들이 촘촘히 엮이면서도 어떻게 보면 허술해 보이는 문단들 사이로 감정들을 그려낸 점들이 눈에 뛴다.

 

그렇다고 어느 한 지점에 가서 폭발점이 드러나서 모든 것의 사람들이 느꼈던 감정들이 나오는 것은 아닌,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섣불리 말했다간 내 자신 스스로가 다칠까봐 두려워 서로 주시하는 감정선의 연속을 보인단 점이 돋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

 

뜻밖에 사실을 알게 되는  말미의 흐름들이 독자들로 하여금 그럼 이건 뭐였지? 라는, 주인공들이 느끼는 감정의 선을 다시 앞으로 들쳐보게 만드는 책이기도 해서 이 책의 저자가 보여주는 질투라는 감정에 대한 또 다른 느낌을 받게 한다.

 

나오키 상 수상자로서 국내에선 처음으로 소개된 책인만큼 다른 일본의 여류작가들과는 또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감성 가운데 하나인 '질투'라는 감정을 토대로 그려낸 장편이기에 새롭게 다가갈 수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