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페인은 건축이다 - 인간이 만든 최고의 아름다움
김희곤 지음 / 오브제 / 2014년 3월
평점 :
해외여행이 자유화 되고 나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여행패턴도 많이 바뀌었다.
패키지에서 배낭영행으로 가더니 이젠 그 분야도 좀 더 세분화 되어서 문화나 음악, 건축처럼 이름을 붙인 주제를 가지고 맘에 맞는 사람들끼리 모임을 만들어 여행을 가는 정도라니 여행의 참 의미를 알고서 가는 그 기분이야 두말 하면 잔소리일 것이다.
해외여행의 패턴이 이렇게 달라지면서 좀 더 내가 알고 싶어하는 분야에 관한 여행을 즐길 수있기까지에는 우선적으로 가고자 하는 나라에 대해 알고가는 것은 필수일터,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주는 지식은 스페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적어도 건축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많은 도움을 받을 것 같다.
우선 저자는 40대 중반의 나이에 과감히 건축회사를 그만두고 스페인으로 유학을 떠난 케이스다. 부러움 내지 용감하다고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스페인의 건축분야에 관한한 공부를 하고 답사를 해서 내놓은 책이기 때문에 다른 분들이 쓴 책보다는 훨씬 건축가가 건축을 바라보는 시점이 탁월하게 쓰여있다.
역사의 바퀴는 돌고돌아 무수히 많은 사람들과의 접촉과 문명을 거치면서 덧입히기와 또 다른 창조라는 부산물을 거치면서 전혀 새로운 형태의 모습을 갖추어진 예가 많다.
일단 , 목차를 보니 스페인의 역사가 갖고있는 태동의 뿌리부터 시작해 지금의 스페인이란 나라가 탄생하기까지의 여러색깔들을 갖춘 헤쳐모여의 완성된 나라답게 한 곳, 한 곳의 도시마다 모두 내놓아라 하는 건축물의 일색이다.


마드리드 , 카스티야라만차 , 안달루시아 , 바로셀로나 , 빌바오, 살라망카, 발렌시아... 이렇게 스페인 전 국토에서 동.서.남.북의 모든 중요 도시에 자리잡고 있는 주요 건축물에 깃든 역사 속에는 종교라는 이름을 빼놓을 수가 없는 스페인이 가진 매력이 있다.

기독교라는 관점에서 볼 때 스페인은 다른 타종교 때문에 기독교의 전멸이란 것을 막아낼 수있어야했고 또 그러기위해 역사적으로 혈투를 거쳐야만 했던 최후의 보루였던 만큼 스페인 내에서 자리잡고 있는 각양각색의 혼합 내지 오로지 그것만의 느낌을 고루 간직할 수있었던 건축미의 백미를 가진 결과를 갖게됬다.
이슬람이 들어옴으로서 그 영향으로 각종 이슬람풍의 건물이 세워졌다가 유대교, 기독교가 혼합이 되면서 약탈, 파괴를 거친 건축도 있으나 타종교가 세운 건축물 안에 기독교 양식을 내세운 건축물을 세운다거나, 이슬람의 정취를 오로지 풍길 수있는 안달루시아의 알함브라궁전 같은 건축을 보전함으로써 오늘 날 세계 관광객들이 스페인이란 나라를 방문하지 않고는 못배기게 하는 이점을 고루 이용한 나라이기도 하다.

무조건 오래됬다고, 타 종교것이기에 무자비하게 파괴하기 보단 그 안에서의 서로 공존을 모색하고 더 나아가 그런 건축법을 응용해 좀 더 발전된 건축의 미를 발산한 바르셀로나의 가우디 같은 건축가를 배출 할 수있었던 폭 넓은 수용자세를 가진 스페인이란 나라를 다시 들여다보게 된다.

- 톨레도의 가장 큰 숙제는 첨단 현대문화의 공격으로부터 톨레도를 안전하게 지켜내는 것이다. 가장 지혜로운 방법은 파괴가 아닌 재생으로 낡고 오래된 건물의 수명을 다시 살려 새로운 현대기능을 수용하는 것이다. 시대의 양심에 따라 문명의 주인은 새로운 장비와 옷과 문화를 형유하며 살아갈지라도 중세의 빛나는 문화유산은 그대로 포용하고 공존하는 것이 톨레도의 목표다. - P105
건축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지만 자연과 함께 어루러지길 원했던 가우디 같은 사람들이 이뤄놓거나 이뤄가고 있는 현재의 건축들은 인간이 내세운 인간지상주의 철학보다는 오히려 좀 더 심오한 건축의 세계를 보는 것 같단 느낌이 든다.

이뿐만이 아닌 건축의 설계 공모심사과정에서의 철두철미한 양심과 공정의 심사의 눈을 가진 사람들이 휴지통에 버려질 뻔한 설계도를 봄으로써 세계적인 명성의 건축물 탄생이 되었는지에 대한 쓴소리와 함께 고전적인 구 시가지 뿐만이 아닌 현대적인 건축미를 함께 세움으로써 그 지방 고유의 대명사처럼 불리워지게하는 스페인만의 정열적인 자세가 부럽기까지 하다.

여행이란 것이 한 번 가보면 다시 가야만 할 것같고 , 또 미지의 보고 싶은 부분이 있는 곳이라면 계획을 세워서라도 꼭 가봐야지 하는 맘이 생기는 것을 보면 여행이란 아마도 쉽게 뿌리칠 수없는 어떤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요소를 지닌 것이 틀림이 없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 보게 된다.
방송에서 꽃 할배들은 실제 스페인을 여행하고 돌아온 것을 방영 중인데, 난 책을 통해서 스페인을, 그것도 동.서양과 각기 다른 종교의 매력을 같이 지닌 건축을 통해 스페인을 다녀온 기분이 최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