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쥐 ㅣ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 1
요 네스뵈 지음, 문희경 옮김 / 비채 / 2014년 2월
평점 :
책을 선택하면서 연작으로 나오는 주인공들을 그다지 쉽게 접하진 않았다.
똑같은 작가의 글이란 것이 어느 한 순간 눈에 익어가면서 그 작가의 특유의 흐름의 의식과 이 장면에 이어서 다른 장면이 어떻게 전개될 것이란 상상이 가기에, 쉽게 말하자면, 내 스스로 한 특정 작가의 작품 속에 빠지는 매너리즘을 경계하곤 했다.
하지만 요 뇌스뵈의 작품을 접하고 부터는 내 스스로도 이런 특정 주인공에 빠지긴 처음이란 생각이 든다.
바로 해리홀레 시리즈-
처음 접한 것이 "헤드헌터"이고 그 당시엔 북유럽의 인기있는 작가들 중 한 사람을 소개하는 작품이란 생각을 했다.
그런데 이후의 스노우맨, 레오파드, 레드브레스트, 올 해 나온 두 작품인 네메시스, 그리고 박쥐를 통해서 해리홀레란 주인공의 성장과 그가 느꼈던 감정을 다시 한 번 공감하게 되는 시간을 가졌다.
(물론 출간년도가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있다.)
박쥐란 책은 요 뇌스뵈가 해리홀레란 주인공을 탄생시킨 작품이다.
배경이 노르웨이가 아닌 호주에서 발생한 사건을 해결하러 가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그린 작품으로흔히 젊은이들이 갖는 워킹비자로 호주에서 일하던 잉게르 홀테르란 여인이 강간을 당한 후 절벽에서 떨어져 시신이 발견이 된 사건을 밝혀내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오는 것 부터 시작이 된다.
이 여인의 사건을 같이 조사하기 위한 동료로 일명 "애버리진"이란 말로 통용되는 사람인 앤드류란 형사와 같이 뛰게된다.
하지만 이 사건을 해결함에 있어서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여기선 애버리진이란 말로 불리는 애달픈 호주의 토속민족에 대한 차별과 정책으로 인한 애환이 사건과 관계가 있고 앤드류가 말하는 자신이 속한 세대인 , 일명 도둑맞은 세대(stolen generation)라 불린 아픈 역사에 대한 것을 듣게 되면서 사건과 연관성을 갖게 된다.
도둑맞은 세대(stolen generation)란 백인이 호주에 정착하던 때를 기점으로 호주에 이미 자리를 잡고 살았던 원주민들에게 호주정부는 원주민들의 생활방식을 이해하려하지 않고 그들이 백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이들을 피부색에 따라 강제적으로 부모로부터 떼어 내어 백인피부를 가진 아이는 입양이나 교육을 시키고, 검은 피부는 고아원에 입양시켜 그들의 인생을 빼앗은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앤드류와 그가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애버리진의 인생 이야기는 전설 속의 등장인물과 동물들을 대비시켜 사건의 주 범인을 드러내놓고 말하지 않고, 이 때문에 30살 초년의 풋풋한 해리홀레는 다른 작품에서 나온 것처럼 물불 안가리고 위험을 자처하면서도 지독한 알콜중독에 빠진 극한 상황의 인물로 까지는 비쳐지지 않는(이제 막 알콜중독에 빠지기 시작하는..)미완성이자 미숙함의 형사모습을 보여준다.
전 작에서 나온 바 처럼 왜 해리가 그렇게 알콜과 사랑은 하지만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자신의 확고한 어떤 감정을 드러내길 꺼려했는지에 대한 경위가 들어있어서, 아마도 해리홀레 시리즈를 처음 접하는 독자라면 이 책부터 접해보면 훨씬 쉽게 그를 이해 할 수있으리란 생각이 든다.
동화에 나오는 박쥐는 상황에 따라서 자신의 정체성을 교묘히 바꿈하면서 위기를 모면하는 얇팍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여기의 제목에서 주는 박쥐는 그런 박쥐가 아니다.
비록 타국이지만 그 어느 곳에도 속할 수없는 자신들의 정체성 때문에 오늘도 호주의 실업난, 범죄에 관여를 하고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애버리진들의 삶을 반추한다.
그 곳에서 만난 여인 비르기타와의 안타까운 사랑이야기와 이별은 차후의 다른 작품에서 해리의 성격에 영향을 끼쳤단 생각과 함께 자신들이 원하지 않았던 병 속에 갇혀 그 병 속 밖을 날아서 자신의 의지대로 살고 싶었던, 소리없는 외침의 박쥐를 연상시키는 이 작품은 해리홀레의 범인잡기의 과정과 호주의 곳곳의 유명 장소를 다시금 떠올리게 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책 표지 자체도 다른 책들과는 다르게 코팅된 표면이 아닌 스웨이드 감촉처럼 느껴지게 만들어진 것이 눈에 뛴다.
잘은 몰라도 박쥐의 겉 표피를 연상시키듯한 느낌과 함께 병 속에 갇혀있는 박쥐가 처음으로 연민을 불러일으켰다.
반사회적인 성격의 사이코패스임을 자신도 알면서도 살인을 저지른 범인의 동기도 그래서 그런지, 웬지 더욱 쓸쓸하게 느껴짐을 알개 해 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