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제3인류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의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팬들이 많다는 것으로 알고 있다. (내가 이 책을 주문해 읽은 책 뒷페이지가 벌써 20쇄를 기록했다.)

그의 무한한 상상력의 보고창고인 뇌를 한 번 들여다 보고 싶을 정도인데, 항상 남이 생각하지도 못할 주제을 가지고 이야기를 꾸며대는 그의 탁월한 재주엔 여전히 부러움의 대상이다.

 

 그의 모든 전작을 읽어 본 독자라면, 아니 이 소설을 읽게되는 독자들 중에서 한 권이라도 이 작가의 책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수긍이 갈 만할 사항일 것이다.

 

 요번에도 제대로  또 한 번의 상상력을 보여준 책이 나왔다.

 

흔히 말하는 우주의 빅뱅이 생기고 난 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서 현재의 우리는 첫 번째 인류일까? 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사전의 저자인 에드몽 웰즈의 손자인 샤를 웰즈는 냉동식품 회사의 지원을 받아 남극의 보스토크 호수를 뚫고 내려가 17m에 해당하는 거인의 냉동된 시체 3구를 발견하게 되면서 우리 이전에 이미 거대한 거인들이 살고 있었다는 추측을 하게 된다.

 

갖가지 장비를 갖추고 방송국 카메라 직원과 함께 이들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려하지만 이들을 가만두지 않는 존재가 있었으니, 바로 지구, 가이아다.

 

 가이아는 자신의 태동부터 현 인류의 발전까지의 모든 것을 지켜본 현장의 산 증인이며 자신의 검은 피인 석유를 아무런 생각없이 뽑아내는 인간들에게 경종을 울린다.

 

 세 사람을 거대한 호수로 잠기게 만들면서 자신의 힘을 과시한 가이아는, 여전히 주시를 하면서 일종의 지구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자연현상을 빗대는 형식으로 인간들을 놀라게한다.

 

아버지의 시신을 찾게 된 아들 다비드 웰즈는 생물학자로서 아프리카의 소인에 해당하는 피그미족을 주시한다.

 

그들이 현재의 가공할 만한 위협에도 불구하고 체내 유전의 어떤 특징적인 저항력을 갖고 있단 확신 하에 그들을 만나러가게 되고, 여기에다 지구의 모든 위협으로부터 건강하게 지킬 미래의 인간은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금의 지구인 체격보다 좀 더 작은 소형인간들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는 오로르란 내분비 학자까지 가세한다.

 

 이들의 계획을 주도하고 이끄는 책임자로서 대통령 산하의 그 어떤 조직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된 산하조직의 책임자인 오비츠 대령이 나서게되고, 피그미족인 누시아, 터키와 이란의 경계에서 살고 있는 아마존 전사의 후예인 펜테실레아까지 합세함으로써 본격적인 실험에 돌입을 한다.

 

 이처럼 베르베르는 현재 모든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가지 상황들을 교묘하게 짜맞추는 정교함을 보인다.

한 쪽에선 종교로 인한 전쟁이, 다른 쪽에선 대선을 의식한 행동, 인종간의 폭력적인 행동, 월드컵경기대회, 그리고 일본의 원전이 폭발하는 현상까지 고루고루 벌어지고 있는 작태에 대해서 가이아의 입을 빌려 인간들이 빌려살고 있는 지구, 가이아가 느끼는 고통에 대해  독자들이 같이 느끼게끔 듣게 해 준다.

 

 원하던 실험의 성공으로 17cm의 난생의 초소형인간들( 에마슈라고 짓게된다. - Micro  Humains: 불어의 첫 자를 따서 에마슈)이 태어나게되고 이들은 하나의 나라를 이루게 하는 과정에 170cm의 인간들의 입김이 더해진다.

 

 호모메티모르시포시스라 불리며 초소형 인간들의 질서를 잡고 하나의 국가의 틀을 만들기 위해서 하는 행동들은 흡사 지금의 종교를 믿는 인간들이 어떻게 그것을 믿고 따르는지, 정치를 함에 있어서 어떤 영향들을 미치는지를 하나의 축소판격으로 보여준다.

 

 가이아가 큰 충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만들어 낸 거인들이 스스로 하나의 작은 소형인간들을 만듬으로서 그것을 지켜보는 자로서의 경고는 핵 전쟁이라는 크나큰 것에서부터 독감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먼지의 떨림을 매개로 전 인류의 역사를 관통하는 맞물림이 읽는 속도의 박차를 가하게 만든다.

 

크게 전체 3부작중에서 1부에 해당하는 1.2권이 우선 나오고 차후 계속적으로 나올 예정인 이 책은 지구인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이어줄 제 3인류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그간 직면해 온 정치와 종교, 우주선 탐사의 과정까지를 포함한 광대한 지식의 장을 엿보게 한다.

 

가이아의 생각만을 따로 펼쳐놓고 보아도 지구의 역사를 알 수있는 지구과학과 함께 상대적이며... 의 보완적인 부분을 가함으로써 기존의 베르베르의 초창기 개미서부터  파라다이스, 상상력 사전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모든 책들을 통합해 놓은 듯한 느낌이 난다.

 

가이아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거인들을 만들었고 거인들은 소형인간들을 만들었으며, 소형인간들은 이들을 배신하고 생식이란 것을 이용해 엄청난 인류의 인구를 증대시켰다.(그래서 전쟁을 통해 인구조절이 가능하단 가설까지...)

 

그렇다면 다비즈와 오로라 외 다른 사람들이 합심해서 만든 프로젝트의 일환인 초소형 인간 에마 109 역시 인간들에게서 배운대로 행한 행동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그 자신은 홀로 남은 상태에서  어떻게 행동해 나갈지 , 가이아가 기대했던 바대로 하지 못한 인간들처럼 애마 109도 같은 행동을 하게될까를 상상해보게하는, 아~  벌써부터  다음 2부가 기대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