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역사적으로나, 현재나 정치를 하는 사람들 곁엔 항상 권력을 쥐고 있는 사람 곁에 '내 사람'이란 인식의 참모들이 있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란 것은 참 많은 것을 보여준다.
과거의 행적과 그 당시의 사회상을 들여다봄으로써 우리가 살아가는 데 어떻게 이를 거울삼아 볼 것이며 취할 것은 취해야함을, 저자는 다양한 사례들을 연구해 이번에 왕이 주인공이 아닌 조연에 해당하는 참모에 대한 일을 역사적인 사건 속에서 다뤄서 눈길을 끈다.
우선 목차를 보면, 저자의 역대 집중인물 탐구가 눈에 뛴다.
1 어젠다_비주류, 주류사회를 바꾸다: 김유신
2 헌신_충심으로 고려를 세우다: 신숭겸·배현경·복지겸·홍유
3 시야_내부의 지분 대신 더 넓은 곳을 바라보다: 소서노
4 사상_생각의 힘으로 세상을 뒤집다: 정도전
5 시운_평생 할 말 다 하면서 고종명하다: 황희
6 정책_보통의 군주 아래 삶의 변화를 이끌다: 김육
7 기상_전통을 지키려다 쿠데타를 맞다: 천추태후
8 악역_나라를 위해 희생할 운명을 받아들이다: 강홍립
9 실력_성실과 기술로 한양도성을 쌓다: 박자청
10 맹목_목적 잃은 권력을 탐하다: 인수대비
11 역린_참모는 참모일 뿐, 선을 넘지 않는다: 홍국영
그 중엔 익히 알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박자청이나 고려의 헌신들 같은 경우엔 그다지 입에 오르내리지 않았던 사람들도 보인다.
왕이란 자리는 천명이 있어야만 오를 수 있는 자리라고 했다.
아무리 적자라할지라도 시대의 흐름과 주위의 어떤 지지를 받느냐에 따라서 순조롭게 왕위를 계승한 왕이 있는가 하면, 김유신처럼 자신과 같은 비주류의 김춘추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왕위에 오르기 보단 김춘추를 통해서 자신의 가야계 출신의 입지를 신라 내에서 강화시킨 참모의 면모가 돋보이는 인물도 있다.
그런 반면 대장부 이상의 패기와 결단력을 가진 소서노와 천추태후 같은 여성들은 자신의 공로를 생각해 땅 다툼보다는 더 이상적인 건설로 방향을 튼 사례와 더불어 여성이란 곱지않은 시선에 과감히 전 왕대에서 행한 정책에 반한 추진력을 하다 뜻을 이루지 못한 안타까운 사례도 보여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대의 왕들 곁엔 어떤 참모가 자신을 도와주는냐에 따라서, 또 자신의 뜻과 부합한 인재를 등용함에 따라서 정치의 일변도와 주변의 정세, 그리고 왕 자신의 앞 날에 그들이 미친 영향이 컸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펴 나감에 있어서 끝까지 소신을 굽히지 않았던 김육 같은 사람,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그의 뛰어난 능력을 평가해 기용되어 지금도 서울 곳곳에 그의 건축이 남아있는 박자청 같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노라면 신분을 떠나서 왕이 된 사람은 그 어떤 여하를 막론하고 현재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이며, 이를 정책의 한 방향으로 끌로 가기 위해선 왕 자신의 소신도 중요함을 많이 느끼게 해 준다.
당시의 백성을 위한 정치라고 하나 대신들의 뿌리 깊은 기득권층의 내려놓기를 거절하는 정책엔 지금도 왜 이리 비슷한 경우들이 많은지, 역사를 공부하는 우리로선 이해를 하기 어려운 점이 한 두가지가 아님을 절절히 느끼게 해 준다.
그래서 그런진 몰라도 저자는 한 차트 끝 마무리엔 따끔한 일침도 곁들여 주기에 우리의 역사를 다시 들여다 보게되는 계기를 충분히 느끼게 해 주는 살뜰함을 보여주는 책이다.
참모는 참모일 뿐, 황희 같은 사람들이야 시대에 따른 힘든 점도 있지만 그가 모신 왕들이 그의 참 진면모를 이해해 줬기에 끝까지 마무리를 잘 할 수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을 보면 역시 왕이란 자리는 올라간 그 순간부터 자신의 진정한 참모의 충고와 시행 정책에 따른 주도권의 강화를 위한 정책, 그리고 당시 대국이라고 일컬었던 중국에 대한 사관 자체에 좀 더 다른 시각의 견제를 했더라면 우리의 역사는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을 것이란 안타까움이 내내 지워지지 않게 하는 책이다.
리더쉽이란 말이 많이 떠올랐다.
리더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뜻 관철과 그를 이행하기 위한 과정에서 여러 참모들의 도움이 필요하기 마련이고 자신의 이상과 부합된 참모를 맞이한다면 더 할나위 없는 이상향이지만 참모 또한 자신의 위치를 각인하고 뜻에 맞는 호흡을 유지한다면 리더나 참모나 , 더 나아가 그들이 가꾸는 세상의 사람들에게 행복을 줄 수있는 힘의 원천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이 책을 통해서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된다.
현재의 정치를 하는 사람들이나 자신의 위치에서 필요한 결단력이 필요한 시점에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서 어떤 방향제시를 해야할 지 많은 도움을 줄 책이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