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4 ㅣ D현경 시리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5월
평점 :
20여 년간 형사부에 있다가 갑자기 경무부 홍보담당관으로 발령을 받은 미카미는 완전히 다른 조직에서 적응을 하기 위해 애를 쓴다.
그러던 중 한 사건이 일어나고 홍보부 부서답게 기자들에게 사건의 요지를 알려주기위한 일을 하는 가운데 사건의 진실을 알고 싶어하는 기자들과 보이지 않는 신경전을 벌이게된다.
이러던 차 도쿄 경찰총장이 미카미가 있는 D 현경내의 64사건이라 불리는 미제의 살인수사 사건의 당시 피해자 가족들을 방문하고 싶단 뜻을 전하기 위해 이런 절차를 밟기위한 조치로 미카미를 피해 가족들에게 보내 일을 처리하려한다.
64 사건이란 쇼와 64년(1989년)에 벌어진 여아 유괴 살해사건으로 미제사건으로 남았고 시효만료 1년을 앞두고 있던 상태-
당시 그 사건에 참여를 했었던 미카미는 이를 계기로 그 때의 사건들 속에 같이 참여를 했던 일부의 사람들이 은둔하거나 모종의 진실을 감추려한단 느낌을 받고 다시 이를 들여다보게된다.
하지만 이 와중에 비슷한 모방의 사건이 일어나고, 또 자신의 못난 외모를 닮았단 불만을 가지고 있던 딸이 가출을 한 일이 발생하면서 부인마저도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상태에서 미카미는 경무부와 형사부 간의 알력다툼과 기자와 경찰이라는 조직이 갖고 있는 특성대로 서로간의 부딫치는 틈바구니 속에서 자신의 위치인 홍보부 담당부서 직원으로서 이 사건의 본질을 헤쳐나가는 과정을 그려준다.
일본에서 10여 년간 집필한 노력대로 700여 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책이다.
각종 미스터리 부분에서 선점을 했던 이 책을 읽고나서는 맨 처음 본격적인 추리 소설이란 생각에기대를 하고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예상 외로 이 책은 미스터리이면서도 사건의 본질에 충실하려는 미카미란 인물이 겪는 아버지로서의 딸을 생각하는 부성애, 미인인 자신의 부인과의 감정 소통의 부재에서 오는 갈등, 뭣보다 조직이라는 단체 안에서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타인 부서에 대해서 서로 약점을 알아내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냉혹한 현실를 그리고 있단 점에서 아주 색다르게 다가오는 책이다.
흔히 미제 사건을 두고 공소시효라는 것을 둔다.
하지만 가끔 방송에서 보여지는 사건의 본질과 범인을 알듯 말듯 하듯 보여주는 매체의 한계성 앞에서 사람들은 공소시효의 무의미성을 깨닫게 된다.
이 소설에서도 소설이긴 하지만 실제의 어떤 사건을 모티브로 해서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유괴된 딸의 시체를 본 가족들, 그 중에서 아버지의 14년 전의 그 사건의 기억과 사랑한다는 기억만으로 살아가는 피해자의 아픈 현실을 그리고 있기에 이것이 추리소설로 가는 여정 속에서 공소시효의 기한을 두어야만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게 된다.
또한 조직 안에서 선의의 경쟁 구도 속에 자신과 같은 동기인 후타와타리의 승진을 바라보는 심정은 기타 경찰이란 조직이 아니더라도 경쟁을 해아만 하고 할 수 밖에 없는 현대의 치열하고도 냉혹한 세계, 그리고 일본 경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다양한 일례들을 통해 미카미가 소속됬던 형사부에서 바라보던 시각과 홍보부에서 바라보는 시각차이가 드러난 대목들이 내가 당하지 않고는 알 수없은 실제의 체감현실이 현저히 와 닿는다.
경찰로서 진실을 밝히는 과정에서 자신이 위치한 홍보부란 부서에서 십분 발휘하며 퍼즐의 조각 조각을 하나 하나 모아서 범인을 밝혀내는 과정, 그리고 유괴사건의 피해자인 아버지를 봄으로써 자신의 사랑하는 딸과의 상봉을 그리는 자식 앞에선 한 없이 약한 아버지임을 보여주는 미카미란 인물의 매력에 생명을 불어넣은 작가의 노력이 드러나 보인다.
많은 등장인물들이 나오고 초반부터 바짝 죄어오는 스릴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이 책은 홍보실을 '창문'이라고 표현한 미카미의 말처럼 창을 닫고 당시의 사건을 은폐하려 했던 한 쪽의 경찰이 있었는가 하면 창의 문을 활짝 열어놓아 사건의 본질을 들여다 보고 피해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진실은 있다란 것을 알게 해 주려한 미카미란 경찰의 의무이자 시민의 발인 모범적인 양심의 사람을 그려낸 작가의 의도적인 글이 새삼 감동적으로 다가오게 한 책이다.
직장 내에서의 사람들간의 관계에서나 기타 다른 조직간, 사람간의 관계에서 오는 마찰을 피할 수 없다면 이 책에 나오는 미카미란 인물을 통해서 잠시나마 활력을 얻을 수있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