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 사랑법 - 돌보고 돌아보며 사랑을 배우다
우석훈 글.사진 / 상상너머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개와 고양이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나는 개를 선택한다.

 

 어릴  적 집을 한 동안 나가서 돌아오지 않던 곱돌이란 개가 있었다.

그런데 알고보니 어디선가 새끼 강아지 울음소리가 들리고, 찾아간 곳은 구석진 곳, 조그만 아이의 몸집 하나가 겨우 들어갈 만한 공간에 곱돌이는 새끼를 낳고 며칠 후에야 배가 고파서 우리들 앞에 나타났던 것이다.

 

 반갑기도하고 당시 엄마는 사람처럼 얼마나 고생이 많았냐며, 미역국에 고기를 넣어서 주셨던 기억이 난다.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누구는 개를 좋아하고, 누구는 고양이를 좋아하는 취향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고양이를 키운다는 점에서 일맥 상통하단 점이 있어서이다.

 

 작가는 경제와 다방면에 왕성한 활동가이자 저자로서 그간 우리나라의 여러가지 일들에 참여를 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저자가 이번엔 순수한 돌봄의 느낌을 적은 일상의 소소한 감성을 적은 에세이를 내놨다.

 고등학교 시절  고양이를 키워봤던 경험이 있던 저자가 자신의 집에 한 두마리 길고양이가 들어오면서 사료를 주기 시작하면서 같이 겪어가는 삶에 대한 생각이 따스하게 전해져온다.

 

 고양이는 개와는 달리 아주 깍정이인 성격에 결코 피해를 주지않는 성격 , 그것이 좋아 보이다가도 차갑다는 생각이 들고 개인적으론 호랑이과와 비슷해서 그런지 눈매나 눈동자가 무섭게 느껴진지기도 한다.

 

, 이 동물세계에서도 그들만의 질서가 나름대로 정해져 있어서 아빠 고양이가 떠나간 사실은 그저 아무리 고양이의 세계라고 인지를 한다고는 하지만 가슴이 아려온다.

(나 같으면 참견을 해서 그들 세계에서 확고한 아빠의 자리를 마련해주었을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이마저도 그들 나름의 질서를 지켜보고 존중해준다. )

 

길고양이를 자신의 집에 입양해 온 야옹구, 마당 한 가운데 아빠 고양이 , 엄마 고양이, 그 사이에 낳은 새끼들, 바보 삼촌의 우스꽝스런 행동포착을 담은 저자의 사진 솜씨도 책을 읽는데 한결 미소를 짓게한다.

 

 여기엔 늦깍이 초보아빠로서의 생활이 고양이와 함께 곁들여져 가면서 그간 자신이 해 온 생활과 철학에 대한 생각이 한층 풀어짐을 느끼게 해 준다.

 

이것이 세태에 맞추어 자신의 뜻과는 달리 이뤄지고 있단 비판이 아닌 아마도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서 삶을 대하는 생각 자체에 넓은 의미로서의 관조적인 삶이 깃들여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는데, 행복이란 무엇인가? 집착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오는 감성이 고양이의 삶을 보면서 같이 느끼고 슬퍼하고 기뻐하는 삶 자체가 작은 행복의 시발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했다.

 

뭐,삶이란 원래 그런거다.하루는 문제가 생겨나고,다음날은 해법이 생겨나고,그 다음날은 새로운 문제가 터지고,삶은 늘 고민덩어리다. 그리고 이렇게 하루가 후딱 가는데도,한 일이 별로 없는 거 같은 게 일상이다. 언젠가 이 순간을 회상할 때 그때는 정말 최선을 다했다.그렇게 생각하게 될까,아니면 조금만 더 열심히 하지,그렇게 생각하게 될까.

 

 맞다.

 0 과 1만 가지고 표현되는 디지털 시대에 각박하다 못해 감성마저 메말라가는 이 시대에 조금은 어수룩하고 약간은 모자람이 있는 듯 하는 슬로우, 슬로우적인 그런 아날로그법 사랑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고양이들의 발정기 때 내는 소리라든가 , 밤 중에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은 채 똑바로 쳐다보는 동네 고양이를 보노라면 나도 모르게 동네를 돌아 다른 길로 가게된다.

 

 가면서도 사람이 고양이를 무서워하다니... 하는 웃음도 나오지만 아직까지는 개가 더 좋다.

 

우둔한것 같으면서도 충직하고 , 그런데 이 책에 나오는  고양이의 사진을 보노라니 애교부리는 모습이나 부부간의 애틋한 입맞춤 포착 사진, 자식과 부인을 위해 끼니를 나중에 먹는 아빠 고양이의 모습은 일반 인간으로서 인간답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에 비하면 월등히 뛰어남을 알게 해 주지만 정을 붙일려면 좀 시간이 걸릴 것도 같다.

 

 아기의 탄생과 돌봄, 이사오면서까지 케이지에 넣어두고 같이 동거하려는 작가의 마음씀이 인생의 긴 길에 또 하나의 다른 시작과 성찰, 그리고 기쁨을 알게되고 돌봄이란 단어 자체가 주는 뉘앙스에 행복이 곁들여짐으로 해서 오는 삶의 이야기들이 정겹게 다가오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