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니와 몬스터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8
가이도 다케루 지음, 권일영 옮김 / 비채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가상의 도시 나니와에서 낙타를 매개로 하는 신종 인플루엔자 캐멀이 발생, 해외 여행의 경험이 없는 학생에게 발견이 되자 방송에선 연일 나니와 대학의 공중보건학의 교수가 방송에서 캐멀의 위험에 대한 경고성을 떠들고 급기야는 중앙정부에서 나니와 전체를 경제적, 의료적, 모든 생활에 필요한 봉쇄령을 지시한다.
하지만 실상 따지고 보면 캐멀로 인한 사망환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보고되지 않았고, 이 사건의 배후는 이보다 훨씬 먼저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사건의 내막은 전혀 뜻 밖의 상황으로 이어진다.
나니와의 무라사베 지사는 히코네 신고 닥터로 불리는 보소 구명구급센터 병리진단을 맡고 있는 그로부터 그가 꿈꾸는 이상의 세계가 자신의 이상과 맞아떨어짐을 알게되면서 히코네가 주도하는 계획에 동참하게 된다.
여기엔 정부라 불리는 대표적인 후생노동성의 고위 관료들이 벌이고 있는 룰렛 게임을 비롯해서 감히 넘볼 수없는 그 곳을 불시에 들이닥쳐 모든 서류들을 압수, 취조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실시한 나니와에 대한 보복을 맞대면 하면서 음모가 점차 드러난다.
단순한 캐멀로 인한 나니와의 봉쇄로 이어졌다고 생각되던 일들의 이면 뒤엔 일본 전 국토를 대상으로 봤을 때 경제적으로 그다지 큰 효율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고 중앙정부에 쓴 소리를 하고 있는 나니와를 비롯, 몇 개의 다른 도를 중점적으로 정부의 손보기식 계획성, 이에 대응에 실제 일본에서도 논의가 되고 있던 일본의 국토를 분할해서 연방제 성격인 도주제 도입이란 정치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이해도를 그려내는 과정을 나타나고 있다.
사법의 세계에서 절대 정의는 없다는 구절에 맞게 실제 자신의 조직에 충성하고 있던 인재들이 눈 밖에 나면서 한천지역으로 내모는 정책, 자신의 권위를 쥐고 지키기위해서 힘을 부리는 위정자들에 대해서 작가는 히코네라는 사람을 내세워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 정책실현이 무엇인지를 독자들로 하여금 깨달아가게 하고 있단 점이 이 소설의 큰 두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히코네의 그럴 듯한 일본의 삼 분할의 연방제 구도는 가상의 나니와를 비롯해 미운오리새끼로 당하고 사는 도를 중심으로 실제적으로는 의료계 전반에 흐르는 만연의 행태와 검찰과 경찰청의 기득세력 유지, 그 가운데 사법의 힘에 균형을 맞출 수있는 것은 의료밖에 없다는 히코네의 주장이 결코 허구로 들리지 않는 논리정연한 글의 흐름이 맛깔나게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우연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란 말로 모든 것을 계획하고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려했던 히코네의 의중은 결국 사후화상센터의 관할이 의료계에서 쥐고 있어야함을 무사라베 지사에게 가능한 이유임을 내세우지만 이마저도 마지막에 무너져버리는 안타까운 정치의 현실과 그 내막 속에서 어쩔 수 없는 필연의 결과임을 이어가게 해 주는 현실에서 결코 한 발짝 벗어나기가 결코 쉽지만은 않음을 보여줌으로서 앞으로 인간들이 살 세상에서 꿈꾸는 진정한 이상의 세계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한다.
그간 영화나 드라마로 의학을 다루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고 케이블에서 바이러스란 드라마도 하고 있다.
인간의 세계에서 변종의 바이러스는 계속 발생할 것이고 방역이니, 검역이니에 대한 초동부터 시작되는 행동은 제쳐두고라도 작가가 던진 이 이면들 뒤에서 실현되고 있는 관료주의 나태함, 진취적인 발상과 제시를 하는 부하들을 저버리고 기득권 유지에 힘을 쓰는 인간들의 계획은 많은 국민을 상대로 하는 정치인들도 한 번쯤은 읽어도 정치를 해 나가는 데에 도움을 주지않을까도 생각해 본다.
작가의 이력답게 일본을 배경으로 했다고는 하나 의료계의 현실과 어두운 뒷면을 고발하는 책이라 허구가 아닌 실제의 이야기들을 듣는 듯한 기분을 주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