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국의 만남 - 우리 시대 최전선을 만나다
조국 지음 / 쌤앤파커스 / 2013년 3월
평점 :
교수이자 현 정치에 참여를 한 저자가 그 간 인터뷰이가 되어서 각 계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취재한 내용을 정리해서 내 놓은 책이다.
친북좌파란 소리를 들어온 그가 여러 사람들의 의견과 생각을 취재하고 서로의 생각을 나눈 좌담 형식의 이 글은 대선의 정치가 한층 무르익었을 때, 모시고 싶었던 인사들의 인터뷰가 이루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하는 가운데 우리의 역사 속에 자신들이 체험하고 , 젊은 인터뷰자들은 이 역사적인 현상에 있진 않았지만 우리나라가 좀 더 발전해 나아가길 원하는 차원에서 자신들의 길을 굳건히 걷고있는 사람들로 취재대상을 이루었다.
무한도전의 김PD의 생각, 광고천재라 불리는 이제석, 가수 이효리, 조정래, 고은 시인, 노동운동의 가치와 나라가 좌지우지하는 공권력 앞에서의 자신들의 주장을 말하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노조원들, 제주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반대의 타당성, 정치인들인 박완순 서울시장, 문재인, 만화가 강풀에 이르기까지 이름없는 평범한 사람들이 겪은 가슴아픈 상처를 내딛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기까지의 풀스토리들은 굳이 이름을 밝히지 않아도 십분 공감을 하기에 충분한 이야기들로 엮어졌다.
내가 생각하는 바른 나라의 기준은 무엇인가? 를 놓고 나의 성향이 진보냐, 보수냐를 떠나서 인터뷰의 대상자들의 공통점은 자신의 작은 힘이 자기보다 좀 더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그러다보면 작은 변화의 바람이 점차 그 공감대를 형성해 더 큰 변화의 바람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사람들의 작은 소망으로 시작이 되고 있단 점이다.
자신의 생각과는 다르다고 무조건 친북이냐 좌파냐를 비나하기에 앞서서 그들도 결국은 생각의 차이와 표현의 방법, 그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불거지는 트러블 사이에서 오는 국가의이익을 생각하고 있다고 좀 더 넓은 시각의 사고를 갖길 바라는 저자의 바램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어려운 국가의 문제는 물론이고 개개인들이 누릴 수있는 , 작은 행복부터 차근히 그 범위를 시작해야하지 않을까를 생각해보게 한다.
정치에 대한 관심이 다른 분야보단 덜하다보니 이 책을 통해서, 그간 지면으로나마 읽고 있었던 다양한 사건과 그것에 대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실질적인 목소리 대변을 좀 더 확실히 아는 계기가 됬다.
자신이 갖고 있는 분야에서의 관심도가 점차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도 신경이 쓰이고 조심스러워진단 이효리의 말엔 관심분야를 떠나서 어떻게 하면 같이 공존해 살아갈 수있는지에 대한 방법에 대한 심도있는 생각을 던져준다.
자유민주주의로 가는 길엔 이런 다양한 의견이 필요함을, 그래서 모두의 주장엔 일말의 타당성이 있단 존중 하에 서로가 서로의 주장을 수긍하고 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걸음으로 밝은 내일을 열어갔음 하는 바램이 들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인터뷰 대상자들의 대부분이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분들이 대부분이라서 ,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각기 다른 주장을 펼치는 인터뷰어들을 섭외했으면 독자들에게 좀 더 폭 넓은 이해도와 제시 방향을 전달해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