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매미 일기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7
하무로 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도다 슈코쿠는 군 부교에서 에도의 주로격인 요닌이 되었지만 측실 마님과 밀통하고 시동을 죽인 죄로 할복을 뒤로 미룬 채  무카이야마라 불리는 외진 촌에 가로 나카네 헤이에몬의 명을 받들어 주군 가문의 가보를 작성하는 일로 세월을 채워나간다.

 

단노 쇼자부로- 친한 친구로서 가로 나카네 헤이에몬의 조카인 미즈카네 신고와 사소한 일로 인해서 그와 싸우게 되고 신고의 발에 상처를 입힌 죄로 슈코쿠가 진행하고 있는 가보 작성의 일을 도와준단 명분 하에 그를 감시하는 일로 할복을 면하게 되면서 그가 있는 곳으로 향하던 중 슈코쿠의 아들인 이쿠타로를 만나게되고 그의 집으로 가게된다.

 

아무도 찾지않는 평범한 농민들이 슈코쿠를 존경하고, 그의 부인이나 딸 가루오, 아들 이쿠타로까지 모두 자신이 생각했던 사람들이 아닌 진정한 무사의 정신을 간직한 채 자신의 억울함을 누르고 주군이 명하신 일을 묵묵히 하고 그 뒤를 받쳐주는 사람들을 보면서 쇼자부로는 점점 자신이 그를 존경하게 되고 곧 3년이 흐르면 그가 할복을 해야한단 사실에 안타까움을 느끼게된다.

 

그런 와중에 가보 작성 중 가문의 비밀이 담겨있는 종이를 측실마님이자 쇼코쿠의 보졸의 딸이었던 오요시로부터 유서서를 쥐게 된 그는 쇼코쿠에게 이것을 빌미로 할복만은 면할 방법을 청하지만 쇼코쿠는 이마저도 거부한 채 오로지 가보 작성에 힘을 기울인다.

 

흔히 말하는 문학을 읽는 이유는 나라마다의 고유한 특성이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고 그 나라만의 민족성이랄까, 우리가 간접적으로 느낄 수있는 무한한 감동을 느끼기 때문에 문학의 주는 힘이 자신의 나라를 넘어서 온 세계적으로 내 나라를 알리는 계기를 알리게 되는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이 작품도 그렇다.

 

읽으면서 일본 고유의 한치의 빈틈이 없는 일본무사들만이 지니는 강직함, 충에 대한 자신의 절도있는 생각과 소신, 행동을 그려내고 이 가운데 자신의 삶의 마지막을 알고 살아간다는 설정하에 이뤄지는 주인공은 물론 주위의 사람들까지 어떻게 인생을 살아가야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 보게되는 책이다.

 

여기 누군가 당신의 삶은 앞으로 죄를 지었기에 10년의 삶의 연장을 할 수가 있고 그 10년은 오로지 자신이 모시던 분의 가문의 가보작성의 명을 받는다 치자.

그렇다면 과연 남을 생을 어떻게 보내야할 것인가가 문제일 터, 이 책은 흔히 말하는 울고 불고 난리 부르스를 치지 않는다.

 

비록 자신이 측실 마님의 생명위협을 당한 가운데 피신시키고자 하룻 동안에의 일을 변명조차 할 수없었던 것은 슈코쿠가 말하는 자신을 믿어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한 사람에게 그런 의심을 받게될 때, 자신은 아무런 조치도 취할 수가 없음을, 그저 명하는 대로 따라해야함이 진정한 충을 아는 무사의 길을 걷는 것임을 알고 살아가는 어떻게 보면 온통 벽에 갇혀서 도무지 소통조차도 하지 않으려는 답답한 사람으로 비춰질 수도있는 슈코쿠란 인물의 캐릭터를 작가는 한치의 흔들림이 없는 정도의 길을 그려나가는 모습으로 비쳐보이게 만든다.

 

가족들에게 신임을 받는일, 마을 사람들에게 무사출신임을 내세워 기존의 파워를 이용해 착취하려는 행동은 커녕 존경을 받는다는 것 자체엔 그 어느소설에서도 느껴보지 못하는 감동을 선사한다.

 

신분의 벽을 뛰어넘는 아들 이쿠타로와 겐키치의 우정어린 생활과 겐키치의 죽음을 두고 세상으로부터의 불합리함을 넘어서려는 이쿠타로의 행동과 그 뒤를 지지하는 쇼자부로의 무사로서의 진정한 거듭남이 3인의 각기 다른 무사의 길을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여정이 참으로 감동적이다.

(이쿠타로의 돌팔매질은 통쾌하기까지 하다.  예나 지금이나 권세있는 자들의 비열함은 변함이 없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

 

여기에 요즘처럼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만남을 하는 세대에겐 다소 답답함을 보일 수도있는 가루오와 쇼자부로의 뜨뜨미지근한, 그러나 어느 누구보다도 깊은 사랑을 하게되는 두 사람간의 보일듯 말듯한 사랑 이야기와 행복도 곁들여서 보는 재미가 잔잔히 흐른다.

 

"무사는 명예를 중히 여기라고 하지만, 명예를 버리고 임해야 하는 것이 바로 봉공이네."-p76

 

자신을 버렸음을 알고도 무사로서 최선을 굿굿이 다하는 모습에서 남겨진 주위 사람들에게도 영원히 그의 모습을 지속하게 만드는 쇼코쿠란 인물이 참으로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다만 일본의 역사를 학창시절의 대략적인 부분만 알고있었기에 우선은 이름이 익숙지 않는 가운데 여러 부분들이 갈라져 나오는 가문의 비밀을 푸는 과정이 내겐 이름을 메모해 나가면서 이해도를 요구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 여름 시끄럽게 자신을 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해 울다가는 하루살이 매미처럼 그의 삶 자체가 하루하루가 언제 할복의 명이 떨어질지 모르는 불안한 삶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매미일기를 써나가고, 가보 작성에도 완성의 힘을 쏟는 그의 모습은 돌아오는 여름에도 계속 생각날 것 같다.

 

영화화 된다고도 한다니, 역시 발빠른 사람들의 행보다.

영상으로도 아름답게 나올 법한 무카이야마의 배경이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