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드를 위한 심리상담
로버트 드 보드 지음, 고연수 옮김 / 교양인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두꺼비 토드거 우울과 심한 슬픔에 빠져있는 것을 본 그의 친구인 두더지 몰과 물쥐 랫은 오소리 배저 아저씨와 함께 그가 예전의 허풍과 유머를 떨던 모습으로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 어느 날 신문 광고에 난 심리상담가 헤런의 문구를 보고 치료 받을 것을 권한다.

 

심리상담가 헤런과의 대화를 통한 총 10차례의 치료는 토드가 왜 그간 자신도 몰랐던 , 즉 화란 것을 낼 줄 몰랐던 자신에게 찾아 온 이 우울의 심리상태를 얘기 하는 과정에서 그는 어릴 적 아버지로부터 받은 마음의 상처를 알게되고 인간이 아이 자아 상태, 즉 의존적이고 자신의 뜻대로 이루길 바라는 행동의 의지가 없이 살아왔음을 알게된다.

 

이어서 토드는 헤런을 통해서 아이 자아 상태에서 부모 자아 상태를 거치고 비로소 온전한 한 어른으로서 성장해 가는 밑거름이 되는 어른 자아 상태로 변해감을 토드가 느끼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분노와 질투, 화를 내는 것, 내 안의 모든 것이 저절로 이뤄지는 것은 아님을, 내 자신을 사랑하고 끊임없이 질문과 대답을 유도함으로써 이 모든 힘든 과정을 겪어나가는 토드를 통해서 우리 인간들이 느끼게되는 다양한 삶의 활로, 그리고 결정과정에 필요한 자가적인 의지등을 스스로 결정하게되는 점을 동물이란 우화를 통해서 쉽게 접할 수가 있게한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부모의 자아 상태를 나타낸 대목이다.

부모의 말과 행동이 우리 삶의 초기의 몇 년동안의 모습을 만든단 헤런의 말 속에서 내 자식으로서 하나의 인격체로 대했는가, 아님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뜻대로 움직여주길 바라지 않았는가에 대한 반성을 느끼게 되는 것에는 아마도 이 책을 접하는 부모들이라면 조금의 반성이 나오지 않을까도 싶다.

 

이 책은 케네스 그레이엄의 고換옴�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이란 책의 연장선에 있다고 한다.

 

처음 이 책을 펴게되면 그레이엄의 책 내용이 간략하게 나오기 때문에 이 책을 미처 읽지 못한 독자의 편의를 생각한 점이 있기에 한층 심리학이란 것에 관심이 없거나 있던 사람들도 쉽게 다가갈 수있는 점이 두드러져 보인다.

 

 

 

“자기비판보다 더 혹독한 비판은 없습니다.

우리 자신보다 더 엄격한 재판관은 없습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 자신에게 유죄 판결을 내리고 자신을 처벌한다는 말인가요?”

 

“그것도 아주 가혹하게요.

고문을 하고 극단적인 경우 사형 집행을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판결이 아주 가벼운 것이라 할지라도 평생을 안고 가는 종신형이라는 것이지요.”

 

- 헤런과 토드의 대화중에서

결국 불행도, 행복도 모두 내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임을 깨달은 토드가 자신의 미래에 대한 힘찬 포부와 계획을 말하고 주위의 친구들도 각기 다른 인생의 새 방향을 말하는 대목은 헤런과의 대화를 통해서만이 아닌 나 스스로가 나를 사랑해야함을, 그래서 역경과 감정의 모든 것을 다스림에 있어서 자중과 헤쳐나감을 조화를 이뤄나아갈 때 진정한 삶의 지향을 느낄 수가 있다는 교훈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