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셀로 시공 RSC 셰익스피어 선집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최영 옮김 / 시공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인들은 셰익스피어와 인도를 두고 하나를 선택 하라한다면 셰익스피어를 택한단 말이 있다.

 

 그 만큼 영국인들이 사랑하는 극작가로서의 명성은 지금도 그대로 각종 예술의 표현형태로 그려내고 있는 바, 요번에 나온 책은 좀 색다르다.

 

 기존의 소설형태로 읽었던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본격적으로 연극 무대에 올려지는 그 형태 그대로 묘사가 표현되는 형태로 출간이 된 이 책은 셰익스피어가 당시에 썼던 여러가지 판본 중에서 제 1이절판을 토대로 당시의 언어적인 상황, 무대의 설정 상황등을 감안해 번역한 보기드문 책이다.

 

지금 영화인으로서 명성을 드러내고 있는 영국의 다수 배우들의 기본적인 무대의 첫 출발점이라고 할 수있는 역사깊은 RSC(로열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출발한 이 연극의 토대의 기초는 셰익스피어 살아 생전 그의 동료였던 사람들에 의해서 다시 재구성이 된 가장 초본적인 극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읽다보면 질투의 화신이자 인간의 본성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사람과 저 사람간의 이간질의 대명사 이아고의 질투심이 승화되 그의 계획에 따라서 오셀로가 사랑하는 아내를 죽이기까지의 긴박한 상황이 연극의 무대 장 그대로 묘사되어 있어서 독자들의 입장에선 한층 몰입도, 그리고 대사간의 주고받는 뉘앙스의 표현등이 번역자의 세세한 설명과 함께 어우르고 있기에 이미 고전이 된 이 작품을 두고서 많은 사람들이 읽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당시의 재현 장면을 상상할 수있는 시간을 갖게 해 준다.

 

 보통은 책 말미에 해설부분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 책에선 앞 장부터 해설격인 자세한 설명과 흑인인 오셀로를 바라보는 당시의 무어인이라고 칭하는 의미가 갖고있는 성격, 전혀 다른 흑.백간의 사랑을 두고서 단지 자신의 승진에 불만을 품은 이아고란 인물 하나로 인해서 그와 연결된 모든 사람들이 하나 둘씩 힘없이 쓰러져가는 상황의 묘미가 읽는 재미를 더한다.

 

 뒷장에선 모든 연극적인 장면이 끝나고 나서의 이후 세대들이 무대에 올려지는 시대적인 상황, 오셀로란 인물과 이아고란 인물의 배역설정에 이르는 변천사를 느낄 수있는 설명이 참신하다.

 

백인이 주도하던 오셀로의 배역을 두고 시대가 변해감에 따라서 흑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시대에 이르기까지 어떤 연출가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달리 보는냐에 따른 그 때 그 때의 다른 연출의도를 읽을 수있기에 지금도 많은 연출가들이 연극을 올리고있는 "고도를 기다리며"나 "지하철 1호선" 같은 연극을 생각나게 한다.

 

 또 데스데모나란 배역이나 이아고의 부인역을 보는 관점에 따라서 여성이 연극에 올려지고 상대배역과 어떻게 호흡을 주고 받는가에 따른 시대적인 여성상이 부각되기에 이 책은 단지 셰익스피어의 유명작품인 오셀로란 제목만 가지고는 단 한마디로 규정지을 수가 없는, 질투를 두고 벌이는 흑.백간의 사랑과 의심, 증오, 결백, 뒤늦은 후회가 모두 포함된 인간이 가질 수있는 온갖 추악한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는 작품이란 생각을 다시금 생각나게 할 수밖에 없단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어쩌면 이것이 필연적인 상황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지않나하는 생각도 해 보게되는 이 연극의 주 무대인 베니스나, 키프로스 섬, 그리고 그 밖에 무어인이란 명칭으로 불린 오셀로를 두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의 인간성의 신뢰, 그가 저지른 부인의 살해를 두고 벌이는 여러사람들의 각기 다른 대사를 읽고있노라면 인간이란 그저 한갖 보잘것 없는 존재일 수밖에 없구나 하는 자조를 내뱉을 수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하게 한다.

 

시대가 지날수록 더욱 그의 작품을 곱씹어봐도 지루함을 모르게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고전일수밖에 없지않냐하는 생각을 하게하지만, 이 책의 주요장면이나 노래장면, 대사톤이나 기독교 세계에서 보여지는 비유적인 대화는 소설 속의 오셀로와 데스데모나와는 또 다른 감동을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