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청소법 - 걸레 한 장으로 삶을 닦는
마스노 슌묘 지음, 장은주 옮김 / 예담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생활을 해 나가다보면 사회생활, 가족간의 의견대립, 친구들과의 관계 속에서 우리는 한시도 조용하게 내 자신을 돌아볼 시간을 갖기란 쉽지가 않다.

 

 내 경우엔 화가 나면 주로 청소를 하게된다.

의도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쩌다 손에 뭐하나 집히는 것이 있으면 그것이 점차 반경을 넓혀가더니 어느 샌가 나도 모르게 책장, 옷장, 주방까지 손을 대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곤 한다.

 

하다보면 땀이 나기 시작하면서 나도 모르게 화가 점차 한 곳(청소하고 있는 곳)에 몰두를 하게되고 어느샌가 나도 모르게 열중하고 있는 것을 느낄 때가 있다.

 

저자는 일본의 스님으로서 대학교수, 정원디자이너로서 활동하고 있는 분이다.

 

그런 분이 왜 유독 청소라는 단어를 넣은 책을 내게 됬을까?

 

바로 청소란 단어가 주는 넓은 의미의 폭 넓고 깊은 생활에서 실천할 수있는 내 자신의 수양과 선 이란 불교에서 실천하고 있는 수양법을 적용해서 쉽게 실천 할 수있는 법을 알려주고 싶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되는 책이다.

 

 일단 청소란 마음을 닦는 것이란 말로 서두를 꺼내면서 집에 초대해 갔을 때 우선 마주치게 되는 현관이란 말이 불교에서 처음 사용되던 말이라는 유래의 뜻으로 시작해서 청소를 함에 있어서 집착을 버리라고 말한다.

 

 즉 어떤 것을 처분할 때의 재 사용의 여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을, 그렇게 해서 다시 새 생명으로 태어나서 우리에게 다시 사용할 기회를 준다는 의미에서의 청소정리법, 재활용 가게나, 필요한 사람에게 주는 방법, 그리고 청소를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간의 심성이 느낄 수있는 마음가짐의 차이법(아마 이 부분을 읽어나가는 독자라면 뜨끔할 정도를 느끼는 사람이 더러 있을 것이다. ) , 아침의 청소가 저녁 청소보다 더 크게 와 닿는 느낌의 표현이 참으로 다가온다.

 

 청소라고 만만하게 볼 수없는 것이 청소가 주는 부담에서 우선 헤어나오기 위해선 계획적인 청소법이 필요함을, 불가에서 행하는 수행의 방법을 비교해 가면서 실천해 볼 것을 권하는 것에는 의미가 깊게 다가온다.

 

 

청소를 함으로써 무아지경에 빠지는 순간 그 순간이 나 자신을 정화해나가는 순간이며, 모든 집착에서 벗어나 심플 그 자체의 생활로 돌아가 단순하고도 청결한 삶을 유지할 수있단 말로 이끌며, 일부러 헬스 센터에 가서 운동하는 좋은 것이지만 청소를 통해서 느껴지는 온 몸의 신체사용이 주는 상쾌함, 아침 청소 5분을 끝내고 할 수있는 좌선을 통해서 한층 더 나의 맘을 정화시킬 수있단 글과 그림을 실제 생활에도 이용해 볼만한 유용한 정보로도 손색이 없다.

 

 지금 내 주위에 온갖 부주의함에, 정리하기 귀찮아서 그대로 놔 둔 것은 없는지?

 

다시 한 번 둘러보게 되는 책이다.

 

청소를 함으로써 주위와 내 자신이 정화가 됨을 알게 해 주는 단순하면서도 실 생활에서도 간단하게 실천할 수있는 것이라서 부담없이 읽히고 종교를 떠나서 오늘 부터라도 당장 실천해 봄이 어떨지...

 

****참고로 책 끝 말미에 좌선을 함으로써 하루를 차분하고 활기차게 보낼 수있는 방법을 적어본다.

 

                                                    ----좌선 방법---

 

방을 정리하고 좌선 할 장소를 정한 다음, 딱딱한 쿠션이나 방석을 준비합니다. 편안하게 집중할 수 있는 환경과 시간을 골라 몸을 조이지 않는 복장으로 행합니다. 양말을 벗은 후 액세서리나 시계등은 풀고 벽을 향해 앉습니다 (좌선용 방석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사용합니다. )

 

1. 다리의 자세 : 쿠션이나 방석을 반으로 접어 앞쪽에 엉덩이를 가볍게 올리고 결가부좌를 합니다. 그날의 몸 상태나 체질을 고려하여 앉는 데 무리가 없도록 합니다.

 

2. 손의 자세 : 오른손 위에 왼손을 얹고, 양 엄지손가락을 붙여 달걀 모양을 만들어 다리 위에 얹습니다. 엄지손가락에 많은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3. 상체의 자세 : 양 무릎과 엉덩이의 삼각점에서 상체를 지탱하고 등줄기를 바로 펴서 양어깨의 힘을 빼고 허리를 안정시킵니다.

턱을 당겨 꼬리뼈와 두정부가 일직선이 되도록 의식합니다.

 

4. 시선 : 눈을 반 정도 뜬 상태에서 시선을 사선으로 45도 떨어뜨려 약 1미터 앞을 봅니다. 눈을 완전히 감으면 졸음이 오기 쉬우므로 감지 않도록 합니다.

 

5. 좌우로 흔들기 : 상반신을 추처럼 좌우로 흔들다가 서서히 흔들림이 적어지게 합니다. 좌우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는 위치에서 멈추고 상체를 똑바로 안정시킵니다.

 

6. 호흡방법 : 편안한 자세로 2,3회 크게 숨을 토하고 심호흡합니다. 그후 단전을 의식하면서 천천히 코부터 복식호흡 합니다. 자신의 페이스로 세심하고 깊게 호흡합니다.

 

7. 주의 사항 : 이런저런 생각이 떠오른다면 '이래서는 안 된다'라는 생각을 버리고 그대로 둡니다. 잠깐 있으면 그 생각은 저절로 사라져 조용한 마음으로 되돌아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