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 강의 - 지상 최고의 기회주의자, 조조의 재발견
위타오 지음, 황보경 옮김 / 지식트리(조선북스)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역대 중국의 가장 유명한,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책 중에 하나인 삼국지는 모든 연령대를 아우르는 책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 책속에서 나오는 무수한 인물들의 쟁탈과 권력의 다툼 중에서도 유독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이 비로 위.촉.오로 대표되는 조조,유비, 손권이 아닐까싶다.

 

삼국지를 읽으면서도 가장 눈에 띄고 기억에 남는 인물이 나에겐 유비와 제갈공명이었다.

 

 유비란 이름자체에서도 나오듯이 그의 인상이 포용력이 있으며, 삼고초려를 마다않는 행동, 제갈량과의 협심으로 인해서 분열된 중국을 통일해나가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따뜻함이 드러나있기에 좋아한다.

 

 그와는 반대로 야비하고 비겁하며, 매사에 냉철한 두뇌를 활용한 조조라는 인물에 대해선 읽으면서도 내 맘 속엔 하나의 어떤 막을 치고 보는 것이 형성이 되어있어서 읽어가는 동안에도 조조라는 인물이 그다지 탐탐치 않았었다.

 

 그런데 세월탓인지,아니면 한 곳으로 비판이 쏠리다시피한 조조라는 인물에 대해서 중국의 저명한 학자가 "백가강단" 이란 프로그램을 통해 강연한 내용이 큰 방향을 일으키면서 책으로 내놓은 책이 바로 이것이다.

 

 조조는 그 출신이 아주 미천했다.

 

바로 할아버지대부터 환관(하지만 당시의 중국 왕실에서의 권력을 다루는 중요지위로서 막판엔 중국이 쓰러져가는데 일조를 하긴 했지만 말이다. )의 자손이란 핸디캡을 그 나름대로의 출세지향과 처신으로 일약 도약을 하게된다.

 

 젊었을 시절엔 자신이 궁궐 내에서 권력을 잡는 실세중의 실세로 등극을하지만 천자를 모셔옴으로써 중국의 황실정통을 위해 힘을 쓴다는 행동의 지략을,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날 때는 과감히 낙향할 줄아는 행동을 보임으로서 미래의 자신의 행동 제약을 없애는 뛰어난 지략을 보인다.

 

 강자의 발판이 된 관도대전과 적벽대전의 완패를 당하고도 오뚝이처럼, 끝내는 유비가 통일을 하길 바랐던 내 어린 시절의 삼국지를 읽으면서 바랬던 모든 일들이 물거품이 되어버린 것이 바로 조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원망도 했던 기억의 언저리엔 바로 이런 조조의 간략하고 꾀가 많은 면을 보인점 때문이 아닌가 싶다.

 

 유비가 자신이 죽고서 아들에게 제대로 통일의 힘을 실어주지 못한 점을 아쉬워하기엔 조조와는 많은 점이 대비가 되기에 어쩌면 기존의 과거에 조조라는 인물이 마냥 나쁜 인간형이라고 할 수가 없게됬다.

 

 한 예로 놀부와 흥부의 이야기 속에서도 오늘 날 두 형제의 행동을 비교해 보자면 놀부가 나쁘다고만 할 수없단 이의의 제기속엔 현대의 기준으로 비춰보자면 오히려 흥부가 더욱 열심히 일을 안하고 있단 인상을 주고 그렇기에 가난을 벗어날 수없는 행동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한단 점에서 조조도 마찬가지다.

 

 유비와 손권의 연결이 끊어지고 역사적인 순환의 일환으로 때를 바로 놓치지 않던 조조의 재빠른 행동은 현대에 와서는 오히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고, 죽어가면서까지도 자식들간의 경쟁을 유도하는 교활하다 못해 허를 찌르는 여러가지의 발상의 전환은 , 그렇기에 중국을 통일하게 된 원동력이 되는 것이 아닌가 싶어진다.

 

 다른 다각적인 면으로 바라보게 되는 조조라는 인물을 쉽게 TV라는 매체를 통해서 쉽게 이해할 수있도록 강연한 내용을 그대로 책에 쓰여져있기에,(대사톤 자체도  방송에서 하듯이 그대로 글로 적어 놓았다. )누구나 쉽게 읽을 수있게 한 점이 장점으로 보인다.

 

자신의 출신성분이 미천해서 그런가?

 주위에 자신을 보좌할 부하를 선출하는 데 있어서 출신을 따지지 않았고, 적으로서 붙잡혀 왔더라도 그 능력이 출중하면 다시 자신의 부하로 두었단 점, 현대에 와서는 도리어 그가 가진 다양한 색깔의 성격이 오히려 맞아떨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아마도 조조를 다시 들여다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워낙 알려진 인물이다보니 여타 다른 역사서 여러 곳에서 그의 인물묘사와 역사 속의 한 인물로 행동하고 있기에 그다지 신선하다거나 참신하진 않지만 당시의 시대상을 견주어 비교해 보는 조조라는 인물의 성장과정과 자신의 뜻을 이뤄나가는 과정을 강의하는 내용은 다시금 삼국지를 읽고싶단 생각을 하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