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복서간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1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2년 5월
평점 :
첫 작품인 "고백"이란 책을 처음 읽었을 때의 기억이 되살아난다.
미나토 작가가 주는 글의 흐름은 처음 초장부터 강하게 밀어붙이면서 서서히 그것이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것을 보여주기에 아마도 다른 작품들과는 다른 구성이어서 기억에 오래 남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릴 잡았다.
이후의 다른 작품들도 그러했지만, 이 책은 세 편의 이야기를 모은 중편에 속한다고 할 수있다.
특이하게도 모두 편지의 형식을 통해서 서술을 보여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고백을 접한 독자라면 강한 느낌을 기대할 수도 있었겠지만 이 작품들은 그런 방향에서 선회를 해서 다른 느낌을 구사한다.
십 년뒤의 졸업문집에선 고등학교 방송 반에서 함께 한 네 명의 동창들 중 한 명인 지아키가 참석을 하지 않은 가운데 해외에서 살다 온 에츠코가 다른 친구들인 아즈미, 결혼한 동창인 시즈카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얼굴에 상처를 입은 후 자취를 감춘 지아키의 행방과 그녀에 대한 소문의 진상을 묻는 형식으로 주고 받는다.
이 십년 뒤의 숙제는 퇴임을 앞 둔 선생님으로부터 같은 교직의 길을 걷고있는 제자 오바에게 자신의 반 아이들이었던 6명의 행방을 알아봐주길 부탁한단 편지로 시작한 이야기다.
선생님의 남편이 만들어 준 점심과 함께 남편, 반 아이들 6명이서 같이 한 댐이 있는 공원에서 남편과 아이 한 명이 같이 물에 빠진 사건 이후 남편은 죽었고, 제자는 살았지만 그 후의 성장해가면서 그 아이들이 그 사건을 어떻게 생각하고 치유함과 동시에 자신들이 꿈꿨던 미래의 일들에 얼만큼 접근해 살아가고 있는지 알고싶단 생각으로 시작한 편지의 서신은 역시 반전의 맛을 준다.
십오 년뒤의 보충수업은 중학교 때부터 사귀었던 준이치와 마리코는 준이치가 마리코에게 해외자원봉사 신청을 했단 사실도 알리지 않은 채 선발되서 오지의 나라로 가서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일에 대해서 편지를 시작하면서 그들이 15년 전에 있었던 같은 반 다른 친구와 함께 창고에 갇혀서 화재로 인해 그 친구는 사망하게 되고 그 현장에 같이 있었던 마리코는 그 사건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린 채 살아온 일들을 편지를 통해서 준이치에게 물으면서 시작되는 이 이야기는 세 작품 중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인간은 흔히 자신이 보고만하자는 데에 머물러 그 안에서 이뤄지고 있는 여러 다양한 가능성과 예측의 실효성 앞에서 자신이 그것을 그렇게 봐 왔고 그렇기에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당시의 사건은 그것이었단 것으로 머물며 살아가는 존재다.
아니, 극히 예외일 수도 있는 사실들을 다시금 통감하면서 수정할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의 세 가지 소품들은 모두 각기 다른 상황에서 바라 본 사람들이 한 가지 주제에 대해서 생각을 달리하는 각도로 봐 오면서 물음을 던진 사람에게 자신이 생각한 바를 드러낸 형식이기에, 기존의 작품보다는 흐름이 느슨해졌단 느낌과 함께 반전이 주는 맛도 제대로 살리고있다. (고백 보다는 못하지만...)
제자와 남편이 동시에 물에 빠진 상태에서 누굴 먼저 구해야만 했을까?하는 주제는 상당히 민감한 문제이지만 결국엔 그 당시에 있었던 학생 6명은 가족의 사랑이 귀함을 일깨워주는 계기로 알고 각자의 이야기들을 오바군에게 말하는 장면은 그 일로 유산의 아픔을 겪은 선생님도, 최종적으로 만나야 할 사람 한 명이 바로 자신이 결혼 상대자로 삼고 있는 여자친구였단 사실에 반전의 맛을 또 느낄 수가 있다.
느린 서간체 형식의 편지 형식을 취하고 있기에 전화나 이멜로 빠르게 자신의 편리대로 상대에게 전달하는 방식에 익숙해 살고있는 우리들에겐 새삼 오래 전 추억의 길을 생각해보게도 하는 책이었다.
어릴 적 크리스마스나, 누구의 생일파티, 방학을 맞아서 선생님께 편지를 쓰는 시절이 있었던 때가 그리워진 것은 아마도 이 책의 형식이 주는 묵은 맛을 생각해내게 하는 맛도 있고 직접적인 상대를 맞대놓고 진실의 공방을 벌이는 현대의 시간보다는 약간 한 템포 늦춰서 숨을 고르고, 다시 과거의 사건 당시로 돌아가 그 때의 반전을 보여주는 다각적인 상황 포착은 작가의 치밀한 구조 서사의 힘이 크다할 것이다.
강한 임팩트의 큰 효과는 없어도 잔잔한 가운데 오는 진실의 결과를 보는 재미도 쏠쏠하고, 뭣보다 편지가 주는 맛을 오랜만에 엿 볼수 있어서 나도 모른 사이 한 템포 늦춰가며 읽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