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의 고독
파올로 조르다노 지음, 한리나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알리체는 타기싫은 스키 강습을 아버지의 강요에 의해서 타다가 사고로 한 쪽 다리를 저는 불구가 된다.

 

쌍둥이인 마티아스와 미르켈은 서로가 너무나 닮았지만 또한 서로가 너무나 다르다.

 

수학엔 천재적인 재능을 보이는 마티아스와 정신적으로 모자라게 태어난 미르켈의 사이는 학교에 다니면서도 항상 마티아스는 미르켈을 돌보아야하는 상태다.

 

그런 어느 날 학교 반 아이의 생일 초대를 받고 같이 길을 나서다 마티아스는 미르켈를 떼어놓고 가기위해서 집 근처의 공원에다 여동생을 잠시 두고 초대에 응하게되지만 이내 나오게되고 미르켈을 찾아왔을 때는 사라진 뒤였다.

 

세월이 흘러서 전학을 온 마티아스 곁에는 데니스라는 동성애성향의 친구뿐이었다.

 

어느 날 비올라라고 하는 여학생이 자신의 생일에 초대를 한다면서 둘을 자신의 집에 오게한다.

실은 어느 누구와도 어울리지 않고 거식증에 걸린 알리체를 골려주기 위한 계획으로 남친을 누굴 찍을 것인가에 대한 추궁이 들어오자 아무런 뜻도 없이 학교 창가에 있는 두 사람 중 하나인 마티아스를 지목한 결과였다.

 

 절뚝거리는 알리체를 본 마티아스와 마티아스의 손에 수 없는 자학적인 상처를 보게 된 두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친구가 됬음을 보여준 행동을 해 비올라를 무색하게 만들고 데니스는 마티아스에 대한 실망감에 쌓인다.

 

세월이 흘러서 둘은 각기 다른 길을 선택하게 되는데, 알리체는 대학을 중퇴하고 사진을 배우게되고 마티아스는 뛰어난 수학실력으로 다른 나라의 스카웃 제의를 받게된다

 

마티아스와 알리체는 서로가 사랑과 우정사이에서 고민하게 되고 마티아스는 알리체에게 자신의 과거일을 말하면서 스카웃일을 말하지만 알리체는 이를 알면서도 엄마의 병으로 알게 된 파비오란 의사일을 거론하면서 둘은 헤어지게된다.

 

9년의 세월이 흐른 후 여전히 싱글인 마티아스는 동료의 소개로 여인을 만나게 되고 알리체는 자신의 거식증과 아이를 바라는 남편과의 사이에서 임신을 회피하게되는 생활을 하게된다.

 

 남편이 집을 떠나고 홀로 남게 된 알리체는 병원에서 마티아스와 닮은 여자를 보게되면서 마티아스에게 연락, 바로 달려온 마티아스를 보게되지만 여전히 그와 그녀는 맺어질 수없는 사이임을, 더 이상 남편도 마티아스도 , 그 누구도 기다리는 삶은 없을 것이란 생각을 하게된다.

 

소수(素數)는 오직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진다. 소수는 의심 많고 고독한 수다. .....(중략)

소수(素數)의 고독은 불변의 운명이다. 영원히 고독할 운명. 작가 파올로 조르다노는 ??소수의 고독??의 두 주인공, 알리체와 마티아에게 그러한 운명을 지웠다. 고독은 불가항력이라고. 그리고 그 적막한 불모의 세계 위에 그들을 마주 세웠다. 오직 상처와 결핍만 쥐여준 채.

 

마티아스와 알리체, 그리고 동성애자인 데니스-

이들 모두는 소수자다.

오직 1과 그 자신만이 나누어지기에 이룰 수 없는 사랑 , 아니 어쩌면 서로간의 아픈 상처를 보듬어가면서 맺어질 수도 있는 두 사람간의 우정, 사랑, 이별, 다시의 만남과 이별을 퉁해서 작가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자신이 버린 여동생 때문에 , 그 죄책감에서 자신을 채찍질하고 자학하는 마티아스의 가학성 손톱에 상처내기는 자신의 불구인 다리를 타인에게 놀림감이 되지 않기위해 ,오히려 거식증을 보이는 모습으로 변해가는 아픈 사랑을 하는 두 남녀를 통해서 소수자들이 겪는 사랑에 대한 아픔,쓸쓸함, 데니스 같은 경우는 배신이라고 느껴지는 사랑을 하는 모습으로 다가온다.

 

서로간의 아픈 상처를 보듬어주고도 남았을 두 사람이 각자의 인생길을 다시 걸어가는 모습에서 이 책을 읽는 독자라면 이 책을 쓴 작가의 나이와 출판된 해를 생각한다면 경험이 무척 많은 인생에서 많은 경험을 쌓은 사람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젊은 나이다.

 

그런 사람이쓴  이런 아픈 사랑의 이야기를 각자의 방 안에 갇혀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다시 문을 걸어잠그고 살아가려는 두 사람의 감정표현이 메마르면서도 아쉬움을 전해준다.

 

그때는 미처 내가 몰랐노라고, 네가 곁에 있어주면 고맙다고 했더라면 알리체도, 이런 알리체의 외로움과 거식증에 지쳐가는 파비오도, 없었을테고, 알리체의 말 한마디로 다른나라 행을 접었을 수도 있었을 마티아스의 인생도 참으로 갑갑하기도 하고 연민도 들게하는 아주 외로운 그야말로 소수자의 고독이란 말이 딱 들어맞는 사랑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