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인도에 떨어져도 음악 - 멋대로 듣고 대책 없이 끌리는 추천 음악 에세이
권오섭 지음 / 시공아트 / 2012년 2월
평점 :

아주 어릴 적 집 안에는 작은 라디오가 있었다.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집 안의 어른들이 아주 소중히 다루셨던 기억이 난다.
지금처럼 A옆의 숫자가 붙은 건전지가 아닌 라디오 뒤에 똑같은 크기의 건전지를 고무줄에 달아놓고 중요한 시사 뉴스만 들으셨던 기억들, 그러다가 지금은 그 상표가 없어진 "독수리표"라고 하는 대형 라디오가 어느 날 집 안에 떡 하니 주인행세를 하기 시작하면서 작은 라디오는 자취를 감춰버리고 그 대형 라디오는 어느 덧 집안의 귀중한 자릴 차지하고 있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른다.
내가 팝송에 눈을 뜬 것은 중학교 때 단짝이던 친구의 덕분이다.
아주 곱고 착한 얼굴의 그 친구가 어느 날 이 노래를 아느냐며 들려준 것은 바로 "ABBA" 의 "댄싱 퀸"-
그 때의 감동이란 이루 말할 수없는 흥분과 함께 뒤이어서 산울림의 노래를 나이 터울이 큰 대학생 외사촌 오빠들 틈에 끼어서 들었던것을 필두로 귀가 트인것 같다.
그 뒤 대형 라디오를 방에 가져와서 공 테이프를 넣고 라디오 DJ가 하는 방송에 내용을 듣거나 좋은 노래가 나오면 녹음해서 듣던 기억이 저 멀리 내 기억 속의 한 파편으로 떠오르게 한다.
테이프와 함께 용돈을 모아서 동네 음반가게나 명동에 들러서 지금은 없어진 미도파 백화점 지하에 파워스테이션이나 종로서적의 음반코너에 들러서 LP판을 사서 듣던 시기, 이어서 CD가 나오면서 그 향수들은 과거로 묻혀지고 CD마저 자취를 감추게되는 MP3의 시대가 된 지금, 이젠 스마트 폰으로 음악을 듣게되는 지금,
이 책은 그런 아련한 향수의 시절로 데려가 준 책이다.
프로듀서이자 한 때는 그룹을 만들었던 저자가 자신이 자라오면서 들었던 음악의 다양한 종류와 심취에 젖은 계기, 라디오에서만 들었던 음악에 얽힌 아티스들의 사생활에서 나오는 음악적인 방향과 그를 듣고 자란 자신의 시절을 곁들어서 다듬어 내놓은 책이다.
서두에 만약 무인도에 남겨진다면 꼭 가지고 가야 할 것은? 이란 질문을 곁들여서 자신이 가지고 있고 즐겨듣던 음반 40여곡의 내용과 그 안에서 이뤄온 음악가들이 우리들에게 어떤 향후의 음악적인 방향을 틀어서 새로운 음악의 경지로 가게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들어있다.
목차별로 따로 분리해서 들을 수있는 음악의 다양성, 이름과 음악만 들었던 그룹이나 그들이 아직까지도 음악적인 사랑을 받게되는 이유, 성실성, 그리고 뭣보다 외국의 음악가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들국화, 김현식, 어떤 날, 이문세와 이영훈, 유재하에 대한 기록은 새삼 다른 느낌을 준다.


외국과는 달리 헤비메탈이나 락 그룹의 생명이 길지않는 사회적인 영향과 그 뒷바침이 안되는 음악적인 세계의 안타까움은 음악가로서 한류의 이상과 더불어서 우리에게 앞으로 어떤 음악을 좀 더 다양하게 들어야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하게한다.
따로 따로 집어서 읽어도 무방하게끔 주제별로 내놓은 음악적인 분류가 우선은 눈에띄고 가장 잊을 수없는 "사운드 오브 뮤직"의 장면과 비주류면서도 영화음악의 대부라 할 수있는 엔리오모리코네의 이야기는 다시 읽어도 그 영화가 떠오를 만큼 중독성을 지닌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음악가들의 얼굴이 실물로 찍은 사진을 실었더라면 좀 더 좋았을걸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산뜻한 그림도 좋지만 아직 20대정도의 독자들이 읽는다면 적어도 그림과 같이 사진이 곁들여졌다면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쉬웠을 것이란 (내가 듣고 자란 에립 크랩튼, 헨리코닉 주니어, 비틀즈,마이클잭슨, 웸, 피어스포 피어스, 캐롤 킹, 스티비원더... 이런 사람들이야 그림으로도라도 쉽게 수긍이 가지만 아무래도 먼저 번 세대의 노익장을 과시하는 아티스들은 쉽게 머리에 떠오르질 않는 점이 아쉽다. )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사진이 들어간다면 책 값에도 영향을 미치리란 생각이 들어서겠지만 이 점을 보완하고 보너스로 곁들인 7곡의 곡도 들어보니 친근감을 쉽게 주는 곡이 별로 없단 생각이 든다. 물론 개인차가 있겠지만서도 아무래도 책 속의 내용 중 추리고 추린 선별된 곡이라서 그런진 몰라도 저자의 취향에 치우친 점이 보이는 음악이란 생각에 좀 더 보편적인 가벼운 음악을 곁들였으면 어떨까 싶었다.
책을 통해 본 음악의 세계를 다룬 내용치곤 분야별로 나뉜점이 가장 눈에 띄어서 요즘 랩이 빠지면 음악도 아니란 생각을 하고 있는 젊은 독자들에겐 많은 도움이 될 듯하다.
참고로 "레전드 : 배철수의 음악캠프 20년 그리고 100장의 음반" 과 같이 비교해 보면 좀 더 폭 넓은 음악의 세계를 경험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