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생활 풍경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아모스 오즈 지음, 최정수 옮김 / 비채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스라엘이 자랑하는 현존하는 작가인 아모스 오즈의 작품집이다.

 

 총 8편이 수록이 되어있는 이 소설집은 각기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면서도 각 챕트별로 전편에 나온 사람들의 이름이 나오면서 서로 연관을 맺고 사는 아주 조그마한 시골의 풍경을 그려나간다.

 

 공간적인 배경은 이스라엘이란 이름으로 건국되기 전인 개척자들이 이스라엘 땅에 들어와 살면서 건설한 공동체적인 마을 텔일란 이름으로 불리는 곳이다.

 

 첫 번째 이야기인 상속자에선 부인은 친구를 만나러 간단 말로 미국에 가선 돌아오질 않고 딸과아들의 관계도 매끄럽지 못한 아리에 젤리크란 남성이 자신의 노모를 모시고 사는 집에 법률회사 직원인 울프미프치르란 사람의 방문을 겪는 이야기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요양원으로 개조해서 건강관리센터로 만들려는 의도로 어머니의 동의가 필요함을, 그럼으로써 자신이 곧 건강이 점차 나빠져가는 노모를 모시게 될 미래의 불안한 감정을 그려낸 작품이다.

 

이밖에도 군대에 들어간 조카가 신체 이상으로 잠시 휴양차 자신의 집으로 온다는 여동생의 말을 듣고 조카를 기다리면서 겪게되는 조카에 대한 사랑, 예정된 시간에 오지 않는 조카에 대한 불안한 감정을 느끼는 여 의사 길리스타이너 박사 이야기인 친척,  한 때 국회위원이었던 페사크 케뎀과 과부인 딸이 사는 집에 딸의 남편 친구의 아들이자 아랍인인 아텔의 이야기인 땅파기-

 

 아텔을 바라보고 그 청년을 적대시하는 케뎀의 이스라엘적인 역사관을 엿 볼 수있는 대목으로 꼽힌다.

 

또한 점차 현대화되가는 세태에 맞추어 허물어져가는 집을 사서 새로운 집을 짓고 새 고객에게 팔려는 목적에서 고인이 된 이스라엘 작가의 집을 찾아가는 부동산 중개업자 요시새슨과 작가의 딸이 집을 둘러보면서 느끼는 어떤 두려움을  표현한 길을 잃다. -

 

마을 면장인 베니아브니가 부인과의 부부간의 무관심 때문에 집을 나간 부인을 찾아나서는 행보를 보이는, 하지만 정작 무엇부터 시작해야하는지를 갈팡질팡하는 이야기인 기다리기 -

 

17살 소년인 코비에즈라가 30세의 이혼녀인 우체국장이자 도서관 사서인 아다드바쉬를 사랑하는 이야기, 자살한 아들을 둔 부부가 동네 사람들과 정기적으로 노래모임을 갖는 노래하기, 이와는 별도로 텔일란이란 마을이 아닌 가상의 공간을 다룬 이색적 공포를 느끼게 해주는 다른 시간, 먼 곳에서란 작품이 수록됬다.

 

아모스오즈의 작품은 현실에서 다뤄지고 있는 각기 개인들이 느끼고 그러면서도 어떤 반항적인 기질, 저항이 아닌 삶 속에서 고스란히 누구나 느낄 수있는 인생의 각기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 작가의 전작인 블랙박스에서도 이혼을 한 부부가 자신의 아들을 두고 오고간 편지의 내용을 다룬 이야기를 토대로 인간대 인간이 서로 오고가는 설전과 감정의기류속에서의 통찰한 감성을 전달하고 있다면 이 시골생활풍경도 마찬가지인 연장선을 보인다.

 

즉,  가상의 마을을 토대로 자신의 모국인 이스라엘의 건국 전으로 올라가서 각 처에서 모여들은 사람들이 이룬 마을을 뿌리로 그 안에서 살아가는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고뇌, 두려움, 불안, 고통을 다루고 있다.

 그렇다고 이런 종류의 모든 것들이 비 이상적인 것이 아닌 우리네 인생의 삶을 들여다보면 모두 느낄 만한 다분히 평범한 감정을 드러내었다.

 

 흔히 부모가 연세가 드실수록 기력이 다하고 나면 그 이후의 모실방향에 대한 부담감 내지 불안함,  과거는 서서히 현대의 개발된 기계에 의해서 무너져 가면서 새로운 건설적인 모습으로 거듭나려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마을의 모습(길을 잃다..... 이건  서스펜스적인 공포감이 드는 느낌이 나는 작품이다. ), 하지만 뭣보다도 아련하게 느낀 것은 기다리란 작품이다.

 

물론 땅파기도 자신의 모국인 이스라엘의 반한 정책의지를 갖고있는 작가의 의도를 은연 중 나타내곤 있으나, 서로 결혼 전에 유산이란 아픔을 겪은 두 청춘 남녀가 결혼에 이르고 힘들게 아이들을 출산을 했지만 남편의 못마땅한 행동과 그녀에 대한 무관심의 일로속에 부부간의 무관심의 해소 격차가 커진데서 온 남편의 부인 찾기 이야기는 하염없는 쓸쓸함과 애달픔을 느끼게 한 작품이다.

 

 자살한 아들의 죽음을 입 밖에 내지 않은 채 남편은 남편대로 은둔적인 생활유지, 부인은 부인대로 사회생활에 광적으로 매다리는 모습의 표현은 그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없는 인간애의 고달픔과 시련, 일말의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라고 할 수있겠다.

 

이런 모든 일련의 감정들을 지니고 살아가면서도 서로 집 안의 수저가 몇 개인지 알 정도의 친숙함을 가지고 살아가는 텔일란 마을사람들의 풍경은  아마도 작가가 표현하고 싶었던 고요함 속에 잠재적으로 감추어져오고 있는 하나의 감정들을 터트림으로서 인생에서 누구나 느끼고 살아갈 수있는 감정의 표출로 시골생활풍경의 모습을 자연적인 터치로 그려낸 것이 아닌가 싶다.

 

 조그마한 마을의 평온한 모습의 이 풍경을 그래서 풍전등화처럼 위태위태하면서도 간신히 버텨나가고 있는 우리의 맘 속의 한 가지 걱정거리를 대신 품고 사는것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