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멘트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1년 10월
평점 :
토마스 네스비트는 변호사인 부인 잔으로부터 이혼 청구서류를 받게되고 여행을 하게된다.
여행에서 돌아와 보니 독일에서 소포가 배달되어 있고 겉엔 '두스만'이란 이름이 붙어있었다.
1984년 26살의 토마스는 베를린에 갔고 작가인 직업에 따라서 첫 출판의 성공이후 두번 째 책을 출판하기위해 베를린에 정착, 소설형식의 기행문을 내기로 계약을 맺은 상태였다.
자신을 사랑한다던 여인으로부터 도망치다시피 머문 베를린에서 그는 라디오리버티란 방송국의 작가겸 성우로서 일을 하게되고 같은 집을 쓰게된 동성애자이자 화가인 알스테어와 지내게된다.
지국장과의 만남에서 번역일을 하고 있는 페트라 두스만을 보자마자 첫 눈에 반한 토마스는 그녀에게서 풍겨나오는 느낌이 자신과 같음을, 지성, 자유, 자신감, 그리고 외로움이 느껴지는 아름다움을 느낀다.
자신의 원고번역에 대한 이야기를 기회로 둘은 급속히 사랑에 빠지게되고 그녀가 동독출신으로 좀 더 넓은 아파트를 원한 나머지 사랑도 없는 유르겐 작가와의 결혼생활을 하게 됬으며 아들 요한을 낳았음을 듣게된다.
유르겐의 체제에 불응하는 작품의 활동과 예기치 못한 행동으로 인해서 유르겐은 감옥에서 자살하게되고, 페트라도 또한 갇히면서 취조를 받게되는 와중에 아들 요한을 만나볼 수 없는 상태로 서방의 인질과 맞교환 상대로 뽑혀서 서독에 망명오게 된 사연을 토마스에게 얘기한다.
그녀 자신이 믿고있었던 친구 쥬디스가 밀고해 배신당했지만 그녀가 자신의 아들 사진을 보관하고 있단 편지를 받게 된 얘기를 듣게 된 토마스는 자신의 미국국적을 이용해서 동베를린의 쥬디스를 만나게되고 우여곡절 끝에 사진을 빼내오는 데 성공, 페트라의 소원을 들어주게 된다.
둘 만의 파리여행에서 토마스는 그녀에게 결혼을 청혼하게되고 대사관에서 모든 절차를 마친 후 그 둘은 각자의 일로 집을 비우게된다.
토마스는 베를린주재 미 정보국 직원인 윌터부블리스키와 면담하면서 페트라가 이중 간첩으로서 그간 그녀를 둘러싼 인물들 추적과정 얘기를 듣게되고 여러가지 증거물들을 보여준다.
사랑했던 그녀를 믿지 않을 수없었던 토마스는 윌터가 지시한 대로 자신이 인터뷰한 원고를 집에 놓게되고 그것을 사진찍던 페트라를 발견, 그녀의 애원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정보국에 넘겨지는 것을 보고만 있게된다.
협박조로 미국으로 다시 오다시피한 그는 잔과 결혼하게되고 , 페트라가 자신의 아들 요한에게 부탁한 , 그간의 사정을 글로 써놓은 노트 2권을 통해서 진실을 알게된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적인 삶을 갖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바로, 어떤 일을 실행함에 있어서 우린 선택의 기로에 섰고 토마스는 자신의 청춘을 불사르며 진정으로 사랑했던 동독출신 페트라란 여인과의 사랑을 잊지못한 채 가정생활을 영위해나가는 작가로 나온다.
정보국 사람으로부터 자신이 레이더 망에 걸린 채 그녀와의 사랑하는 면만 보게된 이야기를 듣는 와중에 페트라가 그토록 애원하고 말하려했던 그 순간을 들어만 줬더라면 아마도 이 둘의 인생의 방향은 180도로 달라졌을 것이다.
그 자신이 용납할 수없었던 자존심 하나 때문에 자신의 사랑을 이용해서 아들 요한 사진속에 마이크로필름이 들어있단 사실, 자신과 사랑을 나누면서도 그녀의 일거일투족을 감시하고 감시의 망을 벗어나지 못하게 성적으로 갈취했던 해첸이란 인물에 대해 듣게됬을 때의 토마스는 이미 페트라란 여인의 진실을 보지 못한 , 냉정한 사람으로 변한 후였다.
페트라가 다시 동독에 끌려가서 다시 아들 요한과 살게되기까지 겪은 경위, 방사선의 노출로 암으로 죽게되면서 평생 그 만을 사랑했고, 그가 출간한 책이면 모두 모은 사실, 그의 글에서 그의 감정을 느끼고 아들에게 말한 사실은 토마스마저 자신의 감정을 그토록 정확히 알았던 사람이란 사실에 자책과 후회의 감정을 느끼는 장면 묘사가 더 없이 쓸쓸하게만 보인다.
아들 요한을 포기하면서까지 토마스와의 미국행을 결심했던 페트라의 치밀한 해첸의 살해는 그래서 한 순간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그녀를 외면했던 한 중년 남성의 사랑이야기가 내내 가슴이 저려온다.
"사랑, 진정한 사랑, 지금껏 한 번도 못 느낀 사랑!"- 페트가가 남긴 편지에서
"우리가 순간을 붙잡지 못한다면 그 순간은 그저 '하나의 순간' 에 불과할 뿐야. 그런 인생을 단지 의미 없는 시간의 흐름일 뿐이라 생각해. 주어진 생명이 다할 때까지 멈추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뿐인 순간들의 합." - P 568
"우리는 순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아주 짧은 찰나라도 순간으로부터 진정 자유로울 수 있을까? -P 592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이제는 아무런 꺼리낌없이 드나들고 있는 현재의 독일의 모습이 토마스에겐 낯설게만 느껴지고 책의 표지 그림에서도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두 남녀의 외로운 모습이 아주아련하다.
아들 요한을 되찾기위해 스파이 활동을 해야했던 한 기구한 운명의 여인이 진정한 사랑 앞에서 두 가지를 놓고 갈등하고 방황하는 모습, 경직된 동독사회의 체제가 그리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현재의 우리분단의 모습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한 순간의 결정으로 인해서 두고두고 인생의 진정한 사랑하기를 실패한 이 뒤늦은 사랑의 이야기는 그래서 지금 이. 순. 간. 이란 단어 앞에서 우린 과연 얼마나 냉철하고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동성애자인 알스테어란 인물의 성격이 자뭇 유쾌하면서도 힘든 사랑을 하는 모습의 설정이나, 토마스의 딸인 캔디스가 결혼을 결심한다는 얘기속에 인생의 또 다른 결정들을 짓는 타인들의 모습이 아주 잘 어우러져 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나간다.
아주 쉬운흐름속에 책은 두껍지만 금방 읽을 수 있게 한 흡인력이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