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58, 우연히 ㅣ 데이브 거니 시리즈 1
존 버든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1년 8월
평점 :
뉴욕의 전직 경찰관이었던 거니는 퇴직 후 부인 매들린과 함께 자신의 취미이자 때론 상품으로도 호평을 받고있는 뛰어난 그래픽 실력자로서 살아가던 어느 날, 25년 전의 대학 동창이자 정신 수련원을 운영하고 있던 마크 맬러리의 의뢰를 받게된다.
사연인즉, 어느 날 자신 앞으로 온 편지에 붉은 잉크로 쓴 글에서 무작위로 1,000 미만의 아무 숫자나 생각해내라고 하고 그 숫자를 맞힌 범인은 그에게 289.87달러를 현금이나 수표로 위철리 사서함 주소를 알려주면서 입금시키라고 협박을 한데서 발단이 된다.
하고 많은 숫자중에서 그것도 온전히 자신의 머리속에 우연히 생각해 낸 숫자를 알아맞힌 범인으로 인해 마크는 초조해하고 거니에게 의뢰를 하는 와중에 그의 부인에 의해서 위스키병을 깨서 목이 난자된 채 죽어있는 모습으로 발견이된다.
사건을 맡은 전직 동료인 하드윅과 함께 이 사건을 수사하게 된 거니는 범인이 경찰을 조롱하고 뜻하지 않게 수사의 방향을 방해할 목적으로 부츠의 방향, 새, 의자들을 이용하고 총을 먼저 난사한 뒤에 와인 병을 이용했음을 밝혀낸다.
그런 와중에 이 비슷한 사건의 형태를 띤 살인이 브롱크스에서 발생이 되고 그 곳에 간 거니는 이미 살해당한 마크가 살해됬던 지역을 뜻하는 피어니(작약)를 뜻하는 조화를 범인의 옆에 뒀단 사실에 사건은 점차 미궁으로 빠지게된다.
더군다나 위철리 사서함의 주인인 그레고리 더모트는 자신의 사서함이 누군가에 모르게 이용됬단 사실에 불안에 떨게되고 두 살인사건의 공통점을 찾던 거니는 한 때 알콜중독 재활원에 입원했었던 근거만 있었지 전혀 다른 장소에서 벌어진 살인의 연관성을 두고 고민에 빠지게된다.
그러던 차에 세번 째 살해될 용의자로 리처드카치란 사람을 알아내게되고 (결국 살해당한다.) 거니는 사서함을 이용한 범인과의 소통을 위해서 자신이 직접 쓴 편지를 그에게 보내게된다.
검사, 경찰책임자등과 함께 얘기를 나누던 중 실제 벌어졌던 어느 사건의 힌트를 얻어서 658이란 숫자와 그 다음에 주시된 19라는 숫자를 알아챈 경위를 비숫하게 연관성 있는 가설을 세우게 된 거니는 범인의 협박이 더모트와 자신이란 것을 알고 경찰보호를 받고 있던 더모트의 집으로 가게되된다.
도착 한 때는 이미 더모트를 보호관찰 중이던 경찰이 이미 살해된 상태로 똑같은 전례를 밟은 살해의 현장을 보게된다.
더모트로 부터 자신이 살고 있는 집에서 일어난 가정내의 불화로 인한 가정사를 듣게 된 거니는 더모트의 계략으로 그 곳을 책임지던 경찰과 함께 지하의 방으로 끌려가면서 사건의 종말을 맞는다.
모든 사건이 종결된 후 더모트는 그 당시의 상처로 숨을 거두게되고 거니는 비로소 자신의 집인 아내가 기다리고 있는 집을 그리워하고 있단 사실을 깨닫는다.
요즘도 가끔 방송에서 마술사가 나오면서 카드의 숫자를 맞히는 기막힌 프로를 볼 때가 있는데, 그 때마다 어떻게 저렇게 맞힐 수가 있을까 하는 감탄을 하게 될 때가 있다.
이 소설도 그런 우연이란 것을 기둥으로 삼은 소설이다.
소설 속의 한 여자경찰이 말하는 대목에서 힌트를 얻어 숫자의 우연성을 알아차린 거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사건의 범인인 더모트는 어릴 적 경찰이었던 아버지가 술주정으로 인해서 엄마를 폭력의 대상으로일삼고 그 날도 비번인 때 술에 취한 아버지가 엄마를 폭력으로 다루면서 위스키 병으로 엄마에게 상처를 입히고 결과로 엄마는 뇌손상을 입게되 저능아 비슷한 신세가 된다.
어린 자신은 보호소에서 살게 되었고 그런 상처는 이내 알콜중독자라면 처단해야한단 사이코패스적인 강박관념, 철저한 자신의통제하에 저항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하면서 통쾌감을 느껴가며 게임을 즐기는 자신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편지를 보내게되고 그 중에서 자신의 과거 행적에 두려움을 떨게 된 일부 사람들이 걸려들면서 우연의 일치가 정확히 떨어진단 사실에 살인을 저지르게 되는 과정이 이 소설의 기둥이다.
범죄심리학자서부터 첨단 그래픽의 총탄발사 방향과 피의 흘린 방향, 사건 인근의 별장에 자신이 범인임을 서서히 드러내놓고 다닌 범인의 엽기적인 행동은 아버지의 직업인 경찰에 대한 비난, 수사의 혼동에 빠들리 만한 철저한 살인계획까지 철두철미한 행동을 보여준다.
수학적인 통계의 확률과 그 안에 걸려들 경우의 수까지 생각해내면서 사건의 해결 실마리를 풀어나가는 경찰들의 모습과 거니 또한 어릴 적 아버지의 자상한 가정내의 행복함을 느끼지 못하고 자랐던 자신의 모습, 첫 부인과의 사이에 태어난 아들과의 가깝지 못한 관계, 일에만 몰두하느라 어린 아들인 대니의 죽음을 속수무책으로 봐야만 했던 자신의 고뇌에 찬 모습도 섞어가면서 이 사건의 줄기를 아우른다.
흔히 볼 수있는 숫자놀음의 묘미에 빠진단 느낌으로 시작된 658이란 숫자와 우연이란 단어가 만나면서 뜻하지 않게 목숨을 잃게 된 사람들의 모습속엔 과거에 올바르지 못했던 행동이 탈로남에 따른 부담으로 이 사건에 엮어들어가게되는 정황을 스릴러가 주는 기분을 느끼기에 만점이고 왜, 어떻게, 범인은 658이란 숫자를 알아낼 수가 있었을까? 하는 독자의 궁금증을 작가는 아주 긴 분량에도 불구하고 손에 놓지못하게 하는 긴박함과 잡힐 듯 하다가도 놓치는 안타까움의 연속성을 부여하기에 손에 땀을 쥐게한다.
더모트 자신이 어린아이적의 자신의 아버지를 막지못한 나약했던 자신의 무능함과 엄마의 정신이상적인 행동은 아마도 두고두고 이런 반 사회적인 인물로 크기에 조금도 모자람이 없었을 거란 생각이 들게 한다.
지금도 혹 우리 주위에 이런 우연의 일치는 없는지, 내가 정말 나도 모르게 이런 일에 빠져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생각을 들게 할 만큼 치밀한 구성과 반전의 상황설정의 구도가 모처럼 스릴을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