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댓 드라마티스트 - 대한민국을 열광시킨 16인의 드라마 작가 올댓시리즈 2
스토리텔링콘텐츠연구소 지음 / 이야기공작소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라마를 그다지 즐겨보진 않는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나도 모르게 영화를 선택해 고를 때 주인공과 글의 시놉시스, 감독을 고려해서 보는 습관이 드라마를 새로 한다고 선전한는 것을 보는 순간 나도 모르게 작가와 연출가, 주인공들을 두루 보는 습관이 생겼다.  

 이 책은 한국의 드라마를 이끌어가고 있는 대표적인 16인의 글쓰기에 대한 철학, 소재의 발굴, 시청자와 나누는 공감의 토대를 어떤 기준으로 삼고 흐름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솔직한 인터뷰겸 그들만의 글쓰기 세상을 엿볼 수 있다는 데서 흥미를 유발시킨 책이다.  

 김.수.현! 

막상 떠올리면 방대한 대사와 거칠것 없는 딱딱한 말투와  그 속에서 시청자의 간을 빼놓았다, 흔들었다한는 재주의 글 솜씨를 연상해 낼 만큼 그의 작품의 나왔다 하면 시청률의 대박은 따 놓은 당상처럼 인식이 된다.  

요즘 선정적인 작품의 흐름속에 따끔한 일침을 놓기도 하는 그의 훈계속엔 그녀가 지향해온 사람, 삶이 들어있는 작품이 주를 이루기에 소재의 면면을 들여다보자면 다소 파격적이라고 할 수도 있는 작품들도 모두가 수긍하게 만드는 진정한 인간의 내면통찰을 파헤집고 쓰는 그의 솜씨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이 책속의 인터뷰와 글을 읽으면서 새삼 다시 한 번 느껴보게 된다.  

 전원일기, 엄마의 바다..... 한없이 푸근한 정서로 드라마를 쓴 김정수작가의 젊은 시절의 원고 송고를 위해서 아침부터 뛰어다녀야했던 시절의 이야기는 드라마로 나오기까지의 작가의 고충을 일면 들여다보게 하고, 일반 소시민들, 그 중에서도 인물이 비교적 탤런트라고 하기엔 너무나 평범한 사람들로 채워서 우리에게 웃음과 그 안에서 묻어나오는 진한 인간의 향내를 물씬 풍기는 김운경 작가의 글쓰기 철학다짐, 여성으로서 여성이 살아가는 삶의 안에 내재된 다양한 인생살이를 다양한 시각에 도전해 써온 주찬옥 작가, 엄마의 죽음, 아버지와의 화해를  글로 통해서 자신의 마음가짐을 다스림과 동시에 용서를 했다는 노희경작가의 내면 고백과 밥에 대한 고마움을 현실적으로 느끼게 해 준 철저한 노동의 댓가로 글을 쓴다는 그녀의 말엔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그녀만의 골수 팬이 있게하는 원동력이 있음을 알게한다. (더불어 이 작가의 작품을 정말 좋아한다. ) 

또한 그의 머릿 속엔 어떤 얘기가 가득찼을까로 궁금해지게하는 최완규작가의 철저한 현장취재, 작가들의 시스템조직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고 자신의 어린시절 불우했던 환경을 극에 쏟아부음으로써 일말의 고통완화를 해오는 정성희 작가의 얘기, 다른 직장에서 근무하다 글쟁이 길로 접어들게 된 각기의 사연들이 정말 우리가 몰랐던 작가의 개인사를 엿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하지만 뭣보다 이들이 오늘 날 안방 시청자들을 사로잡게 하는 원인인 글쓰기라는 고통은 감히 우리가 생각할 수도 없는 글감옥임을, 그럼에도 일단 탈고를 끝내고 방송이 무사히 끝남과 동시에 다시는 볼 것같지않은 컴 앞에 다시 앉아서 다음 작품을 두드리는 그들의 생리를 보자면 천상 글쟁이들의 모습이 공통적으로 보인다.  

그들의 모두 입을 모아 주장하는 현장취재의 감각, 인간에 대한 배려와 예의를 바탕에 둔 점, 무지하다 할 정도의 글쓰기 연습, 뭣보다 방대한 독서량을 들을 수가 있을 것 같다.  

 모든 작가들의 공통점이었고 이것이 훗날 자신이 드라마작가라는 세계에 발을 내딛게하는 원동력이 되었음을, 그 중에서 고전의 읽기 중요성을 강조한 점이 내내 기억에 남는다.  

고전을 읽음으로해서 장.단문을 쓸 능력이 만들어진다는 작가가 딸에게 해 준 말은 비단 작가를 지망하는 사람들은 물론 현재의 책을 읽는데 있어서 어떤 순위를 두고 시작해야하는지에 대한 각성도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일반인들도 재미와 감동, 그리고 다른 방향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두루두루 돋보인다.  

 소설이나 영화나 드라마나 그 중에서 시나리오가 가장 중요하듯이 글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되고 자신이 창조해 낸 글의 흐름속에 자신이 사랑하고 아꼈던 인물들이 한 차례의 작품이 끝났을 때 그들과 이별해야하는 과정의 아픔이  흡사 탤런트들이 한 인물속에 근 6개월여간을 살다가 다른 작품을 만날 때까지의 휴지기가 필요하듯 작가도 그런 고통을 겪는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세세한 인물들의 관찰이 필수임을 , 그래서 일부러 전철과 버스를 타고 다니며, 대화를 나누는 사람들 곁에 가서 그들의 얘기를 듣는다는 작가들의 노력이 있어서 우리가 편히 그들이 만든 작품속에 같이 몰입을 하고 때론 시나리오의 방향자체도 간섭을 해 전혀 다른 결과를 낳게 하는 풍속도 낳게하는 것을 보면 정말 글 쓰기는 고통이자 희열을 주는 원조임을, 그래서 때론 이들이 정말로 부럽기까지 하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한다.  

 곳곳에 교정 부분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오자가 보인다는 것이 흠이라면 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