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풍경일 때처럼 - 박완서 이해인 정현종 등 40인의 마음 에세이
박완서.이해인.정현종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색깔이라고 하면 단연코 단색이 눈에 확 띄게 마련이다.  

크레파스의 배열만 봐도 어중간한 색상은 눈길이 안가지만 강열하고 원색적인 색깔들은 우리의 시선을 끌게마련이다.  

이 책의 첫 표지는 그런점에서 눈에 띄진 않지만 차분한 마음을 가지게하는 파스텔톤의 색으로 그려져있다.  

각개의 유명인사 내지 평범한 우리네의 이웃들이 전해주는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이기에 어느 한 곳에 치우친 강렬함 보단 두루두루 섞인듯 하면서도 제 나름대로의 색을 내고있는 파스텔톤의 깊이가 이 책과 더욱 어울린단  느낌이 든다.  

시인, 소설가, 종가의 며느리, 유명 연예인, 운동선수들까지... 

대개 책을 보면 서두나 말미에 어떤 책이란 것을 약간은 알려주는 글이 들어있지만 이 책은 그런 선전 문구도 없이 짦은 글이지만 많은 느낌을 공유해주는 알찬 내용으로 들어있다.  

읽다보니, 어라? 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는데, 내가 기시감을 느끼는 것인가? 하고 의아심을 내던차 알고보니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글들을 모아서 책으로 낸것이란다.  

 우선은 반가웠다.  

신문을 통해서 접하는 글 중엔 스크랩이 아니면 모아둘 수없는 좋은 글귀나 내용들이 간혹 들어있어서 아쉬웠던 차에 모아서 글을 낸 것이 접한 독자로선 더할 나위가 없다.  

권지예님의 일상에서 묻어나오는 결혼세태에 대한 이야기, 한승원 님의 바다를 바라보는 불교적인 색채의 단상, 이해인 수녀님의 글들은 옳거니! 하는 감탄사가 절로 다시금 나온다.  

때론 나조차도 모르고 지나치던 감사의마음, 자연과 더불어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소소한 일상의 주고받음이 어찌 이 글로만 표현될수 있을까만은 그래도 문인들의 글 솜씨는 단문장이라 할지라도 감성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음을 다시금 느낀다.  

정호승 시인의 선암사의 해우소에서 낙엽이 제 할일을 함으로써 그것이 인간의 세상사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와 더불어서 내 자신의 돌아봄은 깊은 울림을 주었다.  

김주영 님의 올레길 홀로걷기를 통한 예찬, 외국인과의 결혼에 대한 세태의 변화를 느낀점을 표현한 박영숙 님, 간장이라도 인내와 정성의 필요함을 알리는 종가의 며느리  김순도님, 동화의 나라에서 살 것같은 김용택님의 섬진강에서 거의 일생을 보낸 글, 고 박완서님의 다정한 글은 다시금 그 분들만의 색채를 마주했단 사실만으로도 독서의 기쁨을 준다.  

 각자의 위치에서 느낀 것을 적은 글들이라서 새삼 각 계절에 맞는 시기적절한 글들을 맛보는 것도 흥미롭다. (총 복습한단 의미로 인생의 감상을 느끼게 해준다.) 

 점점 깊어가는 이 계절에 이런 글들을 한 번은 접해본다면 이 가을을 맞이하는 기분도 또한 새롭지 않을까 싶다.  

***** 이해인 수녀님의 12월의 편지 중 

1. 무엇을 달라는 청원기도보다는 이미 받은것에 대한 감사기도를 더 많이 하려고 합니다.  

2. 늘 당연하다고 여기던 일들을 기적처럼 놀라워하며 감탄하는 연습을 자주 합니다.(정말 때로는 하루가 아무탈 없이 그 날이 그 날로 무사히 지나간단 자체가 정말 기적이란 생각을 요즘들어 한다. ) 

3. 자신의 실수나 약점을 너무 부끄러워하지 말고 솔직하게 인정하는 여유를 지니도록 애씁니다. 

4. 속상하고 화나는 일이 있을 때는 흥분하기보다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라는 것을 기억하면서 어질고 순한 마음을 지니려 애씁니다. 

 

***** 정호승 시인의 선암사 낙엽들은 해우소로 간다 중에서 

길가에 낙엽은 또 떨어진다.  

인생의 가을이 되면 누구나 퇴비가 되라고, 인간으로서의 역한냄새를 스스로 향기롭게 만들어보라고 낙엽은 또 떨어진다. 

낙엽이 되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중략)  

아무리 영원히 썩지 않기를 원해도 그만 누구나 썩고만다. 다만 그 썩음이 어디에도 누구를 위해 어떻게 쓰이느냐하는 것만 다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