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의 몇 안되는 고정독자를 갖고 있는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책은 항상 새로운 궁금증을 유발시킨다.   

매번 그의 책이 나올때마다 보는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간 지은 그의 책 속의 소재의 대상이  우리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단 점과 그의 책을 대부분 번역한 번역자와 최근의 "신 "시리즈 일부를 번역한 분의 공동 번역이라서 더욱 신뢰가 간 책이기도 하다.

 그의 새로운 책의 소재가 항상 우리가 생각지도 않던 것을 삼아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재주가 특출나기도 하지만 이 책처럼 14살 부터 생각해오던 것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책으로 엮어놓은 방대한 지식의 보고는 한 권의 책으로 삼고 보기엔 아까울 정도다.   

(난 과연 14살 적에 무슨생각을 하며 살았나? 하는 과거로 되돌아보게도 한다는....)

구입을 한 지는 꽤 됬지만 한 번에 읽는 것이 아닌 머리맡에 두고서 잠들기 전에 한 두개의 챕터를 보면서 , 아니면 손에 쥐어지는 대로 쉬엄쉬엄 읽다보니 세월아 ~ 내월아~ 한 경향이 있지만 그 정도로 부담이 없고 읽어나가면서 그의 방대한 지식의 향연을 곳간에 두고온 곶감을 한 두개씩 빼먹어 가면서 조금씩 읽고 싶은 맘이 크기도 했다.  

같은 것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내가 생각한 것과 그가 생각한 방식의 차이, 같은 견해이면서도 달리 해석을 붙여서 자신의 생각을 내포하고 내뱉는 그의 글 솜씨는 가히 부러움의 대상이자 어떤 면에선 질투의 대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전작인 "절대적이며 상대적인 ... "의 책에서도 감탄을 금할 수 없었던 그의 지식의 보고를 접했던 기억이 엊그제 같은데, 여기에 덧붙여서 좀 더 보완된 책이라 그런가 제법 두껍다.  

책의 일부분에서도 전에 읽고서 기억에 남았던 곳도 있어서 반가움이야 두말 할 것은 물론이다.  

그래도 책 속에 읽었던 구절 중엔 우리, 아니 내가 생각하고 바라본 세계의 다른 면을 볼 수 있었단 점에서 이 책은 독서의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하단 생각이 들었다.  

일례로, 

개와 고양이가 생각하는 차이,  

개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 먹여줘. 그러니까 그는 나의 신이야" 

고양이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 먹여줘. 그러니까 나는 그의 신이야"
 

위의 구절은 동물의 특성을 잘 포착한 면도 있지만 때론 그럴 수 있는 동물의 행동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을 해 보게 만들고 사실인 진실을 두고서 한 쪽은 진실을 말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해서 다른 무리의 사람들이 그의 주장이 틀렸다고 주장할 때  자기도 모르게 그에 동조하게되는 타인의 영향, 인류의 미래를 가늠해보는 그의 주의깊은 관찰력과 상상의 세계, (아마 "신" 시리즈에서도 조금은 그 영향이 엿볼 수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실험, 특히 아프리카에서 생각하는 노인과 아기에대한 죽음을 두고 생각하는 차이와 유럽에서 생각하는 관점의 차이는 많은 의미를 내포한다고 생각한다.  

가볍게 읽기시작했지만 군데군데 깊은 사색을 요하는 그의 상상력의 글 필치의 보고는 아마도 , 여러분들이라면 어떤 생각이 드실지??? 

*****  숫자 142,857 에 대해서 

1부터 6까지 차례대로 곱하면 

142,857 * 1 = 142,857    

142,857 * 2 = 285,714 

142,857 * 3 = 428,571

142,857 * 4 = 571 .428

142,857 * 5 = 714,285

142,857 * 6 = 857,142 

그럼  *7 = 999999 

142 + 857 = 999,  

14 + 28 + 57 = 99 

142,857의 제곱= 2040812249 

이는 20408과 12249로 이루어진다.  

두 수를 더하면 142857이 된다.  

바로 읽자마자 계산기를 두들겨 봤다는 어느 독자의 고백을 아울러 덧붙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