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1 - 미천왕, 도망자 을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의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가장 가깝고 쉽게 기억이 되는 시대가 바로 조선시대가 아닐까한다.  

흔히 말하는 조선왕조 500년이란 말이 그냥 흘러들어도 잊어버리지가 않는것은 근대에 들어와서 가장 가깝고 오늘날의 국가의 기틀이 되는 최근의 왕조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TV에서도 역사소설 쟝르로서 가장 빈번이 나오고 있는 왕조 탓도 있고....

그런 면에서 고구려라고 하는 왕조체계 자체는 우리의 역사 근간을 이룬 한 뼈대의 한 부분으로 우리의 머릿속에 각인은 되어 있지만 쉽게 떠오를 정도의 확고한 역사관은 조선보단 못하단 생각이 든다.  

 따라서  이번 김진명 소설가의 오랜 자료조사 끝에 탄생한 이 소설은 고구려의 강대국으로 가기위해 발판을 마련한 미천왕의 일대기를 다루었단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큰 아버지였던 봉상왕의 위협속에 자신을 죽이고 살았던 아버지의 모습속에서 그런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했던 을불의 신분위치는  왕권을 지키기위해서 혈이 낭자했던 궁정의 모습이 조선시대까지 이어져내려오게 됨을 알려주는 서사격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이런 가운데 창조리란 국상은 자신이 모시던 사람을 죽이고 주위의 충신들마저 죽여야만 하는 대의의 일에 앞장서는 인물로 그려진다.  

봉상왕을 피해서 목숨을 보전코자 민간인에 스며들어 소금장수까지 해야했던 을불은 낙랑까지 가서 그 곳에서 알게된 양운거로부터 무술을 배우면서 그의 딸 소청과 가까워지게 되고 소청을 맘에 둔 방정균의 질투로 인해서 그 곳을 나오게 된다.  

이어서 숙신의 아달휼과 고구려 출신의 상인 주태명과 그의 딸 주아영으로 부터 도움을 받게 되면서 철의 중요성과 고구려를 다시 일으키고자 하는 불의를 태우면서 다시 고구려로 돌아가게된다.  

자신과 형제처럼 우정을 나누게 된 여노와 그를 추종하는 무리들의 도움으로 봉상왕을 물리치는 장면, 선비족의 모용외와 아영간의 줄다리기, 천하의 지략가로 이름을 날리면서 장차 진나라의 왕 자리를 노리는 최비와 그 주의사람들의 활약상은 잠시도 눈을 돌릴 수 없게 만드는 긴박감을 준다.  

대의를 위해서 소의를 저버린 과정에서 양운거를 이용해 소청을 죽여야만 했던 여장부 주아영의 지략과 이를 모르고 스스로 백제의 왕을 죽이고 명을 다한 양운거의 모습은 안타까움도 느끼게 해 준다.  

마지막 숙원이던 낙랑과의 대 혈전은 총 3권으로 이뤄진  미천왕 부분을 다룬 부분에서 단연 압권을 이룬다.  

병법에 능한 최비를 대상으로 창조리가 말하는 전술과 전략에 자신의 뜻을 세워서 전혀 뜻밖의 전장지를 택한 을불의 병법은 놀라움과 흥미, 각 장수끼리 싸우는 병법작전은 마치 그 시대로 돌아가서 한 명의 무명인 병사로서의 활약을 하고 있단 생각을 하게 만든다.  

평생의 숙원이었던 낙랑을 차지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스스로 바친 장수들과 을불의 합심작전은 10여 년의 세월을 둔 치밀한 계획이었으며, 이는 낙랑에서 소외되어 살아온 고구려 유민들은 물론이요, 기존의 숙신마저 자신의 아래에 둠으로써 뜻을 이뤄나간 덕왕으로서의 을불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시대은 영웅을 만들고 또 영웅는 시대를 잘 만나야 자신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는 바, 이 고구려란 나라 이름하에 이뤄진 대 역사적인 사건들은 또 다른 우리나라의 모습을 접할 수 있었단 점에서 설렘을 줬다.  

거대제국 중국에 맞서고 그 주의의 선비족, 숙신이란 오랑캐와 아래의 신라, 백제와 힘을 견제해야만 했던 고구려가 위치한 배경으로만도 이 책은 미천왕이란 한 인물이 낙랑을 차지함으로써 자신의 오랜 숙원이자 고구려가 북으로, 남으로 더 넓은 영토를 다질수 있게 기초를 마련했단 점에서 탁월한 지략가요, 덕을 갖춘 왕으로서의 자질을 유감없이 발휘해 보여준다.  

총 고구려에 대한 역사적 소설을 집필하기 위한 작가의 노고가 곳곳에 스며들었단 점에서 우리에게 역사란 무엇이며, 지금까지 대한민국이란 나라를 이루고 있는 근간의 저변에는 오랜 세월의 이런 과정이 있었단 숙연한 맘을 들게 한다.  

작가는 서두 말미에 중국이 행하는 과정도 유심히 배울점도 있지만 이에 앞서서 우리의 역사를 알아야하지 않겠냐는 물음에 전적으로 동감을 한다.  

내 나라의 역사를 바로 알고서 주위의 정세를 바로 볼 줄 아는 시야의 눈을 높일 때 비로소 우리의 역사는 더욱 찬란한 빛을 내기 위한 무지개 발판을 이루는 뿌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크게 든 소설이다.  

책장을 덮고서도 다음 고구려의 역사를 기다리게 되는 이 소설은  앞으로 역사란 실체를 소설로써 승화해 고구려란 나라를 새로운 조명을 비추어서 보게 한 작가의  글을 기대하게 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