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게 - 제144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아버지가 암으로 죽은 후에 신이치는 엄마와 함께 도쿄에서 친할아버지 쇼죠가 살로 있는 지방으로 전학을 오게된다.  

같은 반 하루야 역시 간사이 지방 사투리 쓰는 학생으로 외판 화장품을 판매업을 직업을 삼고 있는 아버지와 엄마와 같이 전학을 왔다.  

신이치 할아버지는 쌍끌이라고 하는 작업도중 마주오던 배와 부딪치면서 사고로 다리를 절단 당하게 되고 연금을 받으며 살지만 그 배안엔 같은 반 여자아이 나루미의 엄마가 조사차 같이 탔다가 죽었다. 이 사실을 알면서도 나루미는 유일하게 말을 걸어오는 반 친구였고 하루야는 방과 후엔 언제나 같이 바다를 지나서 그들만이 즐기는 블랙홀이란 놀이에 빠져서 지낸다.  

어느 날  나루미의 아버지와 자신의 엄마가 차 안에서 만나는 것을 목격한 신이치는 엄마를 주시하게 된다.  

산등성이 바위틈에 그들이 잡은 소라게를 가두어 둘 공간이 생기자 그 곳에 하루에 한 번은 바닷물을 갈아주면서 그들이 잡아 온 소라게를 집어다 지점토에 소라게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 다음 라이터로 지지면서 소라게가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그들은 자신들의 소원을 빌게된다.  

때때로 무심한 듯 손에, 몸에 멍이 든 채로, 배가 홀쭉한 채로 등교를 하는 하루야의 입에서 술만 먹고 오면 포악해지는 아버지의 폭행으로 인한 상처란 소리에 신이치는 하루야를 돕겠단 생각에 행동을 옮겨보지만 이마저도 실패로 끝나고 나루미와 사귄다는 놀림조의 쪽지를 받곤 고민에 쌓인다.  

이런 와중에 나루미도 같이 이 소라게 놀이에 동참을 하게되고 나루미가 갖고 온 아버지 차의 스페어 키를 자신의 주머니에 넣음으로써 엄마의 행동을 뒤쫓게된다.  

엄마와 나루미의 아버지가 차 안에서 만나고 데이트를 하는 장면을 목격한 후 나루미의 추측성 물음에 부정의 답을 하게된 신이치, 나루미의 방문에 이어서 쇼죠 할아버지의 사고는 뇌에 피가 맺히는 병으로 번지게 되고, 하루야는 아버지에게 대들다가 손이 다치는 사고를 당하게 된다.  

나루미가 빠진 상태에서 하루야와 함께 그간의 일을 말한 신이치는 소라게를 태우면서 자신의 소원을 빌게 되지만 집에 온 순간 자신의 소원을 하루야가 혹 이뤄질 수 있게 할 행동을 할 것이란 생각에 도로로 뒤쫓아 가면서 사고를 당한다.  

할아버지의 장례를 마치고 다시 외가가 있는 쪽으로 이사를 하기로 결정한 엄마와 신이치- 

플랫폼에서 차를 기다리면서 나루미와 마지막 인사를, 그리고 차 안에서 하루야가 쓴 편지를 읽는다.  

뭐든지 "어느정도" 알고 있는 열두 살짜리 아이의 눈에(P24) 비친 자신들의 성장과 자신들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세계를 투영해 주고 있는 소설이다.  

아빠가 암으로 죽을 당시의 모습이 마치 자신이 소라게를 죽일 때 발악을 하는 소라게의 다리의 날카로운 부분이 여기저기 헤집듯이 아빠의 몸 속에도 게와 같은 날카로운 것이 휘집고 다님으로써 죽었단 암시를 생각하면서 살고 있는 신이치. 

오랜 세월, 나루미의 엄마가 자신의 배에서 죽었단 미안함에 살고 있던 할아버지는 나루미의 방문에 자신이 지은 죄는 받게된다는 식의 인생철학을 보여주게 되고 혹여 신이치가 맘 속에 말 못할 고민이 있다면 털어놓을 것을 은연시 암시해 줌으로써 엄마에 대한 감정을 위험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해 준다.  

하지만 엄마가 나루미 아빠와 만나는 장면을 나루미 아빠 차 안에 숨어있다가 지켜 본 신이치의 맘 속엔 그런 엄마에 대한 미움과 아빠를 배신했다는 감정이 교차하고 있고, 이미 둘 사이를 의심했던 나루미 또한 그 사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신이치에게 물어보지만 결국엔 마지막 이별을 고할 때 자신 또한 기쁘기도 하고 슬프기도 했단 말에서 어린이도 아니고 어른도 아닌 경계에 선 아이들의 성장도를 보여주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한다.  

의심의 여지없이 하루야를 막기위해 자전거로 달려간 도로에서 달빛에 투영된 그림자가 하루야였는지, 아니면 그저 생각으로 멈췄던 그림자였는지를 헷갈리는 신이치에겐 달이 주는 존재감은 위기에서 탈출하고 극단의 감정으로 치달은 자신을 멈추게 해 주는 역할을 해 준다.  

복잡미묘한 어른들의 세계를 자신들의 잣대로 생각하고 더 이상 어떤 확실한 근거조차도 확인 할 수 없는 아이들의 심리묘사가 같은 세 아이들 사이에 싹트는 보이지 않는 심리 묘사와 함께 어우러져서 또 다른 경계선의 모습을 보여준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아픈 이별을 겪은 아이들의 세계, 그것 또한  자신의 세계가  만들어져  가고 있는 기초가 된다는 의미와 함께 순수한 아이들의 성장소설을 보여주는 소설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