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혹 읽었던 책 중에서 다시 손에 들게되는 경우가 있다. 

읽었어도 다시 그 감흥의 여운이 내리 가시지 않는 책을 다시 손에 집어서 읽고 또 다시 다른 감흥을 주는 책들 중에서 바로 공중그네가 외국 소설류에 속한다. 개인적으론 한국소설로는 대하소설이나 성석제 님의 글을 좋아하지만 , 멀고도 가까운 나라인 일본의 유명한 소설을 접한다는 것은 우리네와 정서가 또 다른 점을 느낄 수가 있다.  

이라부 종합병원 신경과에 진찰을 받으러 오는 사람들의 직업도 각양각색. 

야쿠자 조폭부터 서커스단 단원, 동기 의대생, 야구선수, 여류소설가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다. 이들에게 오직 공통된 주사법은 바로 비타민을 넣어주는것!!! (섹스 글래머인 간호사가 주는 치명적인 주사법은 가공할 힘을 발휘한다.)

커다란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선단공포증이 있는 야쿠자에게 매번 다른 방식으로 주사를 놓는 방법이나 자신만의 고민을 자신에게 말하는 환자에게 아무렇지 않게 해결을 해주는 방식은 정말 이런 의사가 있다면 세상만사 연일 제쳐놓고 긍정의 마인드로 살아갈 듯 하다.  

모두에게 있는 강박증이란 병을 개개인이 처한 상황에 맞춰서 자신도 같이 동참함으써 병을 자연스럽게 유도해 나가는 방법은 물론 아버지로 부터 물려받는 병원이 있어서 그 만큼의 여유도 있겠지만 의사 자신의 성격도 한 몫을 하는 것 같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다시 읽었어도 배를 잡게 되는 동기생 의사의 병을 고쳐주는 "장인가발" 

자신이 자라온 환경과는 너무도 다른 유복한 처가댁에 심적부담, 자신의 주체할 수 없는 장난끼 많은 행동을 의사라는 신분에 맞게 점쟎은 행동을 해 보여야만 했던 그가 장인의 가발을 들어보고 싶은 맘을 뿌리칠 수 없어서 이라부에게 말한 대목은 낄낄대며 웃게 만든다.  

이라부의 돌발행동은 끝내 폭소를 터트리게 하고, 어쩌면 시트콤으로도 이런 상황설정이 온다면 많은 호응을 얻지 않을까 싶다.  

 환자 개인적인 강박증에 대한 치료방법이 환자가 느끼기에 엉터리라든지 뭐야 하는 맘이 들게 하다가도 점차 그에게 빠져들고 스스로 수긍이 가게하면서 모나지 않는 행동으로 자신의 앞길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이라부의 성격 설정은 정말 유쾌하기 그지 없는 새로운 인물을 창조해 냈다.  

기분이 쳐져있을 때나 좋지 않은 상황이 올 때 머리도 식힐 겸 맛난 음식을 먹는 것도 스트레스 해소법에 조그만 도움도 줄 수 있겠지만 이 책을 다시 집어들어 읽어보고 기분이 풀어진다면 그 또한 좋은 해소법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