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장으로 - 제139회 나오키상 수상작
이노우에 아레노 지음, 권남희 옮김 / 시공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매년 나오키 상 수상작이 발표되고 그 책이 우리나라에 번역이 되어서 나오게 되는 시점이 되면 일본의 많은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 중에선 올해엔 과연 누가 수상자로 선정이 되는가에 대한 궁금증이 일 것이다.  

벌써 3월이니 재작년이 되는 2008년도 수상작인 "채굴장으로"란  제목과 함께 그에게 끌린다... 란 글귀에서 연애소설이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작가는 우리의 허를  찔렀다. 찌른 정도가 아니라 허탈감에 사로 잡히며 다 읽고 난 후엔 "이건 뭬야~ 시작했다는 거야, 만거야?" 란 말이 나오게 만든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정말 연애소설이라고 생각한 한정된 어떤 자극적인 감정을 나름대로 상상하고 그려가면서 그런쪽으로 기대를 했기에 스스로 실망감을 안기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도쿄에서 떨어진 외딴 섬에서 초등학교 양호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 이 섬의 출신자인 세이란 여성의 심리묘사를 위주로 그리고 있는 불륜(?) 이라고 하기엔 시작 자체가 없는 밍밍한 이야기 이기에 본격적인 연애담은 아니다. 세이가 남편인 같은 고향 출신 화가와 결혼을 하고 이 곳 고향에서 살면서 섬 안에서 일어나는 잔잔한 생활속에서 이루어지는 심리 묘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타지에서 온 교사인 이사와가란 남자를 만나면서부터 가슴속에서 , 하늘을 보면서, 남편이 곁에 있는데도 그 사람을 떠올리는 과정의 글이 부자연스럽지 않고 누구나 어느 순간 예기치 않았던 순간에 내 가슴에 스며든 그 사람에 대한 존재에 대한 감정을 잘 그리고 있다.  같은 동료 교사인 쓰키에의 유부남과의 드러내놓고 벌이는 연애의 이야기와 그 실상을 자연스럽게 세이에게 들려주는 그녀를 보면서 세이는 이사와가를 비교하게 되고, 시즈카 할머니의 남편을 버리면 벌 받는다는 암시엔 오랜 세월을 살아온 할머니의 인생의 철학이 깃들여 보여지기도 한다.(그것이 비록 연세가 들어 노망에 가까운 실없는 소리가 할 지라도...) ,  

대사 하나하나에도 뜨거운 속 마음을 숨기고자 하는 말 하나도 없이, 그저 이사가와가 운동장에서 학생들과 노는 모습을 보면서, 시즈카 할머니의 죽음뒤에 짐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남편이 나중에 도와주러 왔음에도 이사가와와 따로 채굴장으로 간 행동은 그나마 자신이 보인 마지막 행동의 표시가 아니었을까? 

이사와가가 떠나고, 다시 예전읠 생활로 되돌아간 세이의 일상은 임신이라는 새로운 환경으로 접어들게 되면서 끝을 맺게 된다. 

결혼이란 의식앞에서 맹세를 할 때, 평생 검은 머리가 팥뿌리가 될 때까지 동반자로 살겠다는 것을 약속을 하지만, 이 소설에선 나도 모르게 자기보다 2~3살 어린 사람으로 보이는 새로 부임을 해온 남자에게 이끌리게 된 심정의 감정이 글로 동선을 따라가게 만든다. 신체적 접촉이라고 해봐야 , 그 남자가 다친 발을 치료해 주면서 잡게된 그 부위, 그리고 이사와가가 자신의 손가락을 자신의 입술에 댄 후에 그 손가락을 세이의 입술에 대며 말하지 말라는 대목 뿐이기에 더욱 아슬아슬하고, 남편도 정말 세이의 심경변화를 몰랐을까, 아니면 알고서도 설마 하면 모른체했을까? 그리고 쓰키에와 이사와가의 동침은 어떤 심정으로 세이는 봐라봤을까? 하는 일연의 궁금증을 작가는 설명이나 행동제시, 대사가 없기에 더욱 구 세대적인 표현의 묘미를 지니고 있는것이 아닌가 한다.  

요즘처럼 톡톡튀는 말과 행동도 빠른 시대를 가고 있는 우리들 앞에서 먼 인생의 여정을 시선으로 두고 봤을 때 누구나 한 번쯤은 사랑하는 사람을 곁에 두고도 마음 한 구석엔 다른 감정을 지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작가는 인간 심리 묘사에 잔잔한 파문과 의문을 던졌다. 세이의 마음 한 구석에 머물던 그 아련한 감정이 결국은 자신의 가정으로 돌아오고(뭐, 결정적인 행동을 한 것도 없지만서도...) 이사와가가 떠났지만, 책을 덮고서도 과연 이 둘의 마음은 통했을까? 그래서 안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떠난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게 한 책이다. 

대사가 도쿄의 표준어가 아닌 그 섬 사람들이 쓰는 일상 사투리로 되서 그런지 역자는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했는데, 그것이 실제 소설에 등장하는 가상의 섬 사람들이 쓰는 말이 우리나라의 말과 가장 비슷하다고 느껴서 사용했는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일본이란 배경이 쉽게 인식이 안된다. 다만 일본어에 정통했더라면 원서에 나오는 그 말의 뉘앙스를 좀 더 피부에 가깝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