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하는 시 - 시인 최영미, 세계의 명시를 말하다
최영미 / 해냄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학창 시절 국어 교과서에 나온 시나 시조를 무조건 외워 오라는 숙제를 무던히도 많이 받던 그 때가 있었다.  정말 이해가 쏙 되는 시 가 있었는가 하면 의미가 속에 함축이 되어 도무지 이건 해설을 곁들인 것을 참고 하지 않고서는 쉽게 적응이 안되는 시가 있던 기억이 난다. 

아주 오랜만에 시집을 들었다. 우선 최영미 소설가이자 시인인 그 분께 고맙단 생각이 든다. 책을 펼쳐보니 아주 익숙한 시가 있는가 하면 생소한 사람의 시도 들어 있어서 골고루 양념이 섞인 비빕밥을 먹었단 느낌이 든다.  

 고대 이집트의 사상이 곁들여져 나오는 첫 시의 내용은 비록 시대가 흘렀어도 인간이 추구하는 어떤 미지의 영적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을 일으키게 하고 사랑의 시인인 예이츠의 '그대가 늙었을 때' 란 시는 과연 인간이 지닌 무한한 능력의 한계가 어디에서 멈출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자아내게 한다. 

 시 라곤 하지만 그 적은 단어속에 모든 것을 내포하게끔 적은 그 시인의 위대함에 탄성이 저절로 나왔다. 도로시 파커의 '불행한 우연의 일치'란 시는 웃음이 나온다.  최 시인의 설명처럼 사랑에 빠진 사람이라면 곁의 아무리 위험이 닥치더라도 그것을 느끼지 못할 만큼의 커다란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빠지고 있는 상황에선 그 어떤 속임이라도 믿고 싶다는  열정의 감성을 지니고 있기에 이런 경고의 시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도연명 시인의' 아들을 꾸짖다' 란 시는 부모로서 자식에 대한 기대가 무너져가는 아쉬움을 술로 달래야겠단 , 시인이기에 앞서 한 아버지로서 자신의 자식도 어쩔 수 없단 감정을 표현한 수작이란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조가 있듯이 일본엔 아주 함축적인 정해진 글자수에 쓰여지는 하이쿠란 장르가 있는데, 가끔 가다가 접할 때면 정말 무릎을 칠 정도의 멋진 시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놀란 적이 있다. 바로 이 책안에 그런 하이쿠가 있어서 읽는 데에 템포조절이 유연하게 만든 것 또한 이 시집을 읽는 즐거움 중에 하나가 아닌가 생각했다.  특히 일본의 '내가 가장 예뻣을 때'란 시를 보면서 아주 아련한 슬픔이 밀려왔다. 그 시절이나 지금이나 인생의 가장 예쁜 시기에 겪었던 개인적인 불행이 영상처럼 그려지게끔 만들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일제 합방이나 6.25, 일련의 민주주의 발전된 시대로 가기 위한 고통의 시절이 있었던 그 때나 폐망의 일본을 살아간 그 시절의 사람들이 겪었을 아름다운 시절에 대한 회한의 감정이 느껴졌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특히 번역이란 중요성이 아주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요즘, 그 나라 말의 뉘앙스가 풍기는 느낌을 번역해 놓았을 때 얼마만큼 독자들이 작가가 의도한 말 의 느낌으로 동화되는 가는 전적으로 번역가의 몫이다. 그랬을 때 이 시집의 바이런이 쓴 '자. 배회는 이제 그만두자'란 시에선 번역도 좋았지만 , 최 시인의 설명처럼 원 시에 있는 운율을 따져서 같이 봤다면 그 느낌의 감흥이 정말 더 빨리 스며들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breastdhk rest의 끝 구절의 운율 맞추기와 - ing, -light의 각을 맞춰서 썼단 글에선  우리네와 똑같은 시 쓰기가 공통된 법칙이구나 하는 생각도 들게 한다. 

하지만 그래도 뭐니뭐니해도 우리나라 사람이 지은 시가 단연 최고다. 우리가 같이 산 땅에 같은 곡물을 먹고 있기에 더욱 그 감정의 도가니가 빨리 오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신동엽 시인의 '그 사랑에게'란 시는 사랑의 미련에 대한 아쉬움이 절로 나오고, 고정희 시인의 '관계'란 시는 아픈 청춘의 보고서를 보는 것같은 감정이 밀려온다.  천상병 시인이나 기형도, 한용운 시인들의 시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되서 더욱 좋았다. 각기 저마다의 특징으로 무장한 시들속엔 인간의 희.노.애.락과 더불어 젊은 세대들에게 주는 충고성의 시도 있고, 어는 한 나라에 치우지지 않고 두루두루 책 한 권으로 세계여러 나라의 문학 체험수기를 한 듯한 느낌을 준다. 

오랜만에 책장을 열어서 학창시절에  내가 좋아했던  시를 적어놓은 일기책을 열어봤다. 책장 저 구석에 다소곳이 여러권의 육중한 책 두께에 끼여서 오랜 세월  숨어만 있던 일기책엔 당시 학생들사이에나 친구들 사이에서 오르내렸던 시 들이 적혀 있었다. 그것도 멋부린 다고 끼적인 다양한 볼펜으로... 

1월 부터 12월에 해당하는 시를 적어놓은 것도 있었고, 짦은 잠언 같지만 시 인 구절을 적어놓은 것도 있었고 , 최영미 시인이 추천한 시를 읽다가 릴케의 '가을 날'이란 시를 발견하곤 내 일기책에 적어 놓은 시가 있는것을 발견하곤 기쁨의 탄호성이 흘러나왔다. 적어도 유명한  시인이 추천한 시를 나도 어느정도 만큼은 좋아하고 있다는, 어떤 문학가와 나와의 정서교류를 했단 점에서 내 스스로 위안을 삼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는지 모른다. (나도 이런 감정의 폭이 쬐끔 아주 쬐금 있다는 위안을 ~) 

 시의 영역이 함축된 최대의 단어를 이용해서 우리네 정서에 많은 울림을 주고 있단 사실에 비춰볼 때  이번 시인의 책은 두고 두고 책을 옆에 두고서 마음의 감흥 상태에 따라서 읽어 볼 수 있단 데에 아주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 그리하여 지금 내 곁엔 따뜻한 유자차와  고구마, 그리고 시집이 있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