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스호퍼
이사카 고타로 지음, 오유리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가의 책은 처음이다. 그간 책을 낸 것을 보니 아주 들어본 적이 많은 책 제목이라서 작가가 이 사람이었구나? 하는 것을 뒤늦게 깨닫곤 읽기 시작~
배경은 아주 독특하고 살벌한 청부 살인자들의 스릴 넘치는 세계를 그리고 있다. 제목처럼 그래스호퍼... 인간들의 군더더기인 부류사람들의 죽고 죽임을 당하고 실제로 죄의식 없이 자기의 본연의 의무를 아주 충실히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서로 물고 물리고 물린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말로 고지라( 고래)란 뜻의 자살 유도 청부업자, 세미(매미)라 불리는 소 기업에 속하는 청부 살인업자, 밀치기란 별명을 갖고 있는 살인청부없자, 그리고 독한 조직폭력조직의 아들에게 어이없게도 교통사고로 죽은 아내의 원수를 갚고자 교편생활을 버리고 원수의 아지트를 찾아가서 불법 약을 파는 판매원으로 활동하다 정작 자신이 죽이려했던 조폭의 아들이 눈 앞에서 밀치기에 의해서 죽는 것을 목격하고 본의아니게 밀치기의 뒤를 쫓게된 스즈키란 인물이 이틀 사이에 일어난 시간대로 돌아가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주 어릴적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고 자란 탓에 암울하고 우울한 자살 유도의 청부업자길을 가게된 구지라는 일생에서 실수한 적이 없었지만 단 한번, 밀치기에 의해서 실패한 것을 두고 이 업계를 떠나기 위해 청산의 절차로 밀치기를 쫓게 된다. 세미 또한 뜻하지 않게 밀치기의 주소를 알고 있는 스즈키를 구해서 자신의 상사로 부터 벗어날 궁리를 하게 되지만 구지라에 의해서 목숨을 놓게되고, 밀치기란 확신이 있지만 너무나도 태연한 태도에 오히려 황당해 하는 스즈키를 구하는 아사가오(밀치기)를 보면서 스즈키는 자신의 모든 일을 알려준다. 정작 놀란것은 이 모든 밀치기의 가족이 극단이라고 불린는 조직에 의해서 조직의 두목과 아들을 죽여달란 의뢰를 받고 일을 하게 됬다는 소리를 듣는 스즈키는 모든 것이 어떻게 돌아가고 자신의 목숨이 어떻게 되는지 조차 헤매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아들로 나오는 두 남자아이를 보면서 자신의 자식으로 생각하는 것도 그렇고 , 죽은 아내에게 문답식으로 물어서 해결하는 것도 그렇고 , 이 소설은 마치 영화나 드라마를 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더군다나 환상과 현실의 세계를 아주 모호하게 빨려들게하는 글 솜씨가 자연스럽다. 세미가 칼을 휘두르는 모션이나 상대방의 몸을 어떻게 찌르고 어느 장기에 도달함을 느끼는 과정이 눈살을 찌뿌리게 할 만큼 아주 자세하고 적나라하게 표현을 하고 있다. 구지라와의 대결 또한 영화에서나 볼 직한 액션의 행동 하나하나를 슬로모션으로 표현하고 있기에 과연 이 어둠의 세계에 사는 사람들의 실상을 직접 본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한다. 흐트러짐을 보이지 않는 밀치기의 이론에 의한 인간들이 많으면 그 속에서 지저분하고 군더더기의 인생살이들이 끼어들기 마련이므로 이들이 없는 것이 낫다는 지론에는 소설 제목처럼 인간의 세상에서도 여러 계층이 있지만 그 나름대로의 계틍에서도 적절한 먹고 먹히는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느끼기에 이 소설은 아주 자세하다.
"이 세상에 잔인하지 않은게 있나? 태어난 순간 죽음이 카운트다운이 시작되는것 자체가 이미 잔인한 일이잖아."
구지라는 구지라대로 세미는 세미대로 밀치기는 밀치기 대로 각자 나름의 복수/ 대결/ 청산이란 명제하에 이루어지는 메뚜기 같은 인간 군상들의 움직임 속에 오늘도 변함없이 인간의 세상살이는 돌고 돌아가고 있기에 작가는 움츠려들지만 말고 인생을 향해서 한 발 내딛으라는 암시속에 스즈키의 세상속으로 한 발씩 내딛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214∼215 : “메뚜기 떼의 습격요?” “군집상은 대이동을 하면서 가는 곳마다 먹을 걸 싹쓸이하지. 동종 개체의 시체도 먹어치우고. 같은 메뚜기라도 초록색하고는 다르거든. 인간도 마찬가지요.” …… “초록색 메뚜기라 할지라도 무리 속에서 치이다 보면 검어지게 마련이지. 메뚜기는 날개가 자라 멀리 달아날 수 있지만, 인간은 그럴 수 없소. 그저 난폭해질 뿐.” “그럼 인간도 그 군집상에 속하는 겁니까?” “도시에서는 특히 더.” …… “조용하고 평화롭게 살아가기가 어렵지.”
아직도 밀치기의 이론이 머리에 맴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