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 돌의 도시 - 생각이 금지된 구역
마누엘 F. 라모스 지음, 변선희 옮김 / 살림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 49세기를 배경으로 아무 걱정도 없이 그저 편안한 생활을 하는 미래의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스페인 소설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웬지 삭막하단 말로 표현이 되고 남.녀간의 애정관계도 복잡하게 얽힌다. 주인공 카르멜로는 공무원으로서 내리막길을 뛰어가는 것을 아주 좋아하는 사람으로 나온다. 어느 날 내리막길을 향해 가던중 여 대통령의 핸드백을 빼앗고 도주중인 도둑을 잡음으로서 일개 영웅이 되고 승진을 하게 되며 그의 아버지 또한 승진을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걷잡을 수 없는 사건에 휘말리면서 사건이 전개가 된다.  미래의 도시이기 때문에 작가의 상상대로 쓰여진 이 소설에선 국민들에게 금해야 할 것이 있으니 바로 예술. 책.노래.. 아이러니하게도 카르멜로는 실험의 대상이 되어 현재의 일을 잊어버리고 오로지 머리에서 나오는 대로 노래를 부르게 되지만 오히려 그 노래는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동화를 일으키게 한다.  대통령이 그토록 알려지기를 원치않던 둥근돌 속에 세 권의 책 행방이 묘연해 지고 그 죄를 카르멜로가 덮어쓰게되면서 그를 구하려는자, 사건을 해결하려는 형사, 전 애인, 행정부를 이끌어 나가는 등장 인물들의 각기 속해 있는 영역속에서 사건의 해결 실마리가 풀려나가는데, 중간 중간 월드컵이나 개고기 얘기가 나오는바람에 현재와 미래의 제시성 얘기가 작가가 비웃는 모드로 이 글을 써가고 있는것인지 모르겠으나 그리 웃음을 유발하진 않는다. 나중에 사건이 해결이 되고 각자의 사랑을 찾아가는 결과로 맺어지지만, 세 권의 책이란 것이 지금의 인간세계에서는 그리 해가 될 것이 아닌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그토록 알려지길 원치 않았던 이면에는 집권주의자들의 그릇된 어떤 피해의식이 결탁되어 있지 않난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문득 "장미의 이름"이란 책에서 "웃음"이란 해학이 그토록 그 당시 종교적인 입장에서 인간들에게 해가 될 것임을 우려해 모든 자료를 숨기듯이 이 소설에서도 전혀 생각이란 것 자체를 할 필요가 없는 미래의 먼 도시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이런 과거에 속하는 책들이 해를 입힐 것이란 그릇된 생각이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과거.현재. 미래의 49세기에도 인간이 영원히 고칠 수 없는 것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서로에 대한 사랑이다. 여기에서도 서로 얽히고 설킨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나오지만 그것이 우리의 정서완 조금 다른 서양인의 눈으로 바라본 자유스런 사랑의 감정이 쓰여져 있어서 조금 혼동이 되긴 하지만, 일말의 희망이란 단어로 보자면 그래도 해피엔딩이고, 불멸의 영원한 단어인 '사랑' 으로 이 글이 마쳐진다. 마지막 글 귀인 '여전히 이 세상은 하나의 거대한 둥근 돌에 불과하다'는 작가의 말처럼 언제나 세상은 돌고 도는 연속성에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