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 - 속수무책 딸의 마지막 러브레터
송화진 지음, 정기훈 각본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지금 내 눈은 엄청 부어서 누가 보면 권투선수에게 맞아서 엄청 부은 눈 처럼 보일정도로 퉁퉁이다. 

아이~ 읽지 말걸 하는 후회부터 밀려온다.  영화는 아직 보지 않은 상태에서 책 부터 먼저 집었다. 요즘 유행 추세인 순수문학을 가지고 영화로 만든것도 있지만 영화로 성공해서 책으로 나오는 경우도 다반사라 어떤 것을 먼저 보고 그 감성을 말하기는 각기 다른 개인 취향일터, ... 

가장 가깝고도 그래서 어떤 경우엔 더욱 그 행동과 하는 말이 미워서나는 닮지 말아야지, 생각도 하고  토라지기도 하고 싸우기도 하는 사이... 견원지간이라고 하기에도, 오월동주라 하기에도 웬지 적당한 둘 사이의 공존 관계를 나타내기 어려운 사이가 바로 모녀지간이 아닌가 한다. 애자, 애~자. 자~ㅇ~애~자라 놀림을 받으면서 위론 2살 터울의 오빠가 있긴 하지만 신체적인 결함이 있어서 나 , 박애자는 엄마에게는 뒷전인 어렸을 부터 가졌던 엄마에 대한 감성은 그리 좋을 리 없고 오히려 부산 아가씨의 전형적인 활달하고 드센 성격을 가지고 살아간다. 자기 보호본능을 위한 환경 탓도 있고 제 1순위인 오빠, 2순위인 동물병원장인 엄마 최영희 여사의 사랑스런 동물들과  자신은 3순위에 해당이 된다고 생각한 애자는 엄마의  드센 등을 후려치는 트레이드 마크 손뼉 맞음이 오히려 엄마의 그런 성격을 고스란히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글을 쓰겠다고 작가로 나선뒤 갑작스런 엄마의 아픔은 두 모녀사이를 한 집안 따로 또 같이란 일심동체의 생활 모드로 전환을 시키게 된다. 거침없이 나오는 엄마의 말 솜씨와 그에 맞대고 소리 지르면서 생활하는 애자의 애증어린 생활속엔 엄마 나름대로 아들을 불구로 만들었단 죄책감과 죽기전에 망나니 딸의 성혼만이라도 시켜보고자 하는 맘이 여리고 아프게 다가온다. 섬세한 감정 표현도 없는 엄마지만, 그래서 자신은 엄마에 대한 감정이 좋을리 없고 늘 집안을 겉도는 생활을 하는 이방인이라고 생각한 애자지만, 막상 엄마의 죽음을 눈 앞에 두고 지난 세월을 돌이켜보니 엄마와 함께 한 생활이 그리 많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여기서 줄창 독자들을 울음 모드로 이동시켜 가는 책의 내용은 위험하단 걸 알면서도 엄마가 먹고 싶어하는 회를 소주와 같이 먹는 장면, 노트북에서 메신저로 서로 대화하는 장면, 마지막 고통에 겨운 나머지 하늘 나라로 가게 해달란 엄마의 청을 읽는 장면에선 웃음, 콧물, 울음이 복합적으로 나열된 3종세트 시리즈로 나를 뒤흔든다. "어버이 살아생전 섬기길 다하란 "시조가 생각나는것은 이 책이 우리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녀지간의 이해가 안 맞는 부분과 그 상황에 맞는 대사가 살아넘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내 곁에 있는 존재는 보이지 않아도 항상 내 곁에 있으리란 믿음이 존재하기에 여기에서도 항상 드세고 아들밖엔 모르는 엄마란 존재가 내 곁을 떠난단 판정 앞에선 거칠던 애자도 양순하면서도 자신의 뜻에 따라서 움직여주지 않는 엄마가 마냥 야속하기만 했을 것이다. 내소사 할머니 주지 스님의 말이 가슴을 울리는 것은 애자는 엄마 한 사람만을 떠나보내는 것이지만, 사랑하는 모든 사람과의 인연을 떠나 보내야만 하는 엄마의 심정도 헤아리란 말씀엔 카타르시스가 폭팔한다. 엄마와의 이별을 마치고 다시 시작한 생활이 소설 발표란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장면에선 예의 엄마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휘바람 소리 흉내내기로 마무리 하는 우리 모두의 딸 애자에게 힘찬 응원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감독이 많은 사람과 인터뷰하고 조사해서 나온 것이라 그런지 간만에 모처럼 엄마의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 보게 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