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오바마 북클럽 1
조지프 오닐 지음, 임재서 옮김 / 올(사피엔스21)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오바마 미 대통령이 읽은 책이라기에 관심이 갔다. 세계를 이끌고 있는 지도자로서 어떤 종류의 책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지도 궁금했고,,, 제목부터가 네덜란드라.. 

이 책에선 기.승.전.결의 형식을 띠지 않은 어떤 때는 현재의 모습과 심정이, 어떤 때는 하나의 벌어진 일에 대해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식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교차적으로 나열되고, 아주 긴 문장이 주인공 한스의 심정을 나타낸다. 번역가의 노고가 아주 힘들었겠단 생각이 들었다. 미국이란 나라에서 살아가는 네덜란드인 증권맨인 한스와 트리니다드토바고의 출신인 피부가 아주 까만 흑인인 척과의 관계가 주를 이루고 있다.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만난 두 이방인은 서로 다른 나라에서 왔지만 한 쪽은 탄탄한 애널리스트로서, 다른 이는 자신이 어릴 적 부터 가난에 찌든 삶을 살았던 트리니다드토바고란 나라에서 이주해와서 갖은 아이디어로 삶을 개척해 온 사람이다. 한스와 아내 레이첼간의 별거로 이어진 것에서 온 공황상태와 좌절감, 그리고 제 3의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진 아내를 보면서 괴로워하는 가운데, 뉴욕이란 도시에서의 임시 운전면허를 따기 위한 운전 실습 중에 척의 차를 타고 연습을 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만남이 이뤄진다. 첫 만남은 우연찮게도 크리켓 운동경기장에서 심판으로 나선 척을 보는 것으로 시작이 됬지만... 

자신의 아이디어로 교묘히 한스를 데리고 다닌 척은 때론 두 여인을 가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명하는 대목에선 이해 못할 논리를 펼치지만, 한스에게 충고한 후회하지 않으려면 바로 런던으로 가서 부인을 찾으란 말엔 진심어린 충고가 들어가 있다. 서로 다른 목적하에 살게 된 미국이란 거대제국의 뉴욕에서 척이 주장한 이론은, 특히 상업적인 면이나, 하나의 동심체를 이루려면, 크리켓이란 운동을 통해서 가능하고, 또 그것을 이루려는 목적이 뚜렷하게 서 있는 척에게 한스는 현실을 직시하라고 말한다. 결국 현실이란  척이 생각하는 이민자로서 미국이란 공동체에 다른 이방인이 아닌 하나의 미국시민으로 진정 살아가려면 무언가 그들 백인들과의 교류가 필요하고 그것이 명색이 스포츠이긴 하지만 진정한 승리자의 정신과 유대강화를 위해선 이것이 아주 유효하단 생각을 갖고 있는 반면, 한스는 어디까지나 미국이란 나란 자신에게 있어서 잠시나마 머물다 간 텃새 개념의 임시거처란 인식을 갖고 있는 아주 상반된 개념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까스로 레이첼과의 부부관계를 회복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미종의 나쁜일에 끼어든 척의 살해 소식과 그 유해가 2년만에 발견됬고, 경찰과 부인에게 말하는 시점의 한스의 심정은 척에 대해서 갖는 감정은 자신이 한 때 외롭고 우울하고 방황의 자리에 있을 때 그나마 그의 주위에 있었던 사람은 척과 크리켓을 하는 친구들이었단 사실에 어떤 연민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자신의 나라 네덜란드에서의 추억, 미국이란 나라에서 브룩클린의 도시 여기저기에 남아있는 네덜란드 지명, 이런 것들은 어쩌면 현실에서 역사적인 대형사건이 나도(9.11 테러사건) 가까이 있었던 한스에겐 물 흐르듯 흘러가는 하나의 삶의 연장선이 아니었나 싶다.런던아이에서 부인과 아들을 바라보면서 척과의 관계를 생각하고 또 다른 삶의 정착지인 영국이 한스에겐 또 다른 네덜란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든다.  아주 흥미롭지도 , 맛갈난 글의 단어는 눈에 띄진 않지만 그래도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어떤 모종의 쓸쓸함과 유목민적인 생활을 드러낸 것 같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