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넘어 민음사 모던 클래식 65
코맥 매카시 지음, 김시현 옮김 / 민음사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매카시란 소설가를 처음으로 접한것은 "더 로드"란 책으로 이미 영화화 되었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란 저자란 말을 듣고서 읽기 시작했다. 이번에도 이 소설가의 특징이랄수 있는 아주 매마른 문체, 따옴표 없는 대화체, 신에 대한 인간의 구원의 문제들을 적절히 양념을 해가면서 보여주고 있다. 총 3부작이라는데 우선 내가 든 것이 바로 이책.더 로드가 어느 날 지구가 망한 아주 삭막한 미래를 근거로 했다면 이 국경을 넘어는 서부시대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가운데, 그 속에서 세상과 부대껴가는 소년의 성장기를 다루고 있다. 13살에서 20살 까지의 빌리란 소년이 겪은 모험담이라면 모험담이랄 수 있는 이 소설은  아주 흥분이 되고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영웅이 나타나는 모험담이 아닌 인디언과 미국 , 멕시코의 국경을 맞대고 있는 마을에서 벌어진 늑대를 두고 인생의 여정이 시작이 된다. 멕시코에서 넘어온 새끼를 밴 영리한 늑대를 잡기위해 덫을 놓는 장면을 묘사한 글은 영화를 보는듯 그 문체가 아주 자세하고 곁에서 보는 것 같은 사실감을 준다. 덫에 걸린 늑대를 멕시코로 되돌려주기 위해서 말을 타고 국경을 넘기시작한 것을 필두로 가는 도중 마을에 들러서 사람들이 베풀어준 음식에 대한 호의 , 길가의 여럿 사람들을 만나고, 늑대를 개와 싸움을 벌려 그 경기를 지켜보게 된 무기력감에 시달리게 된다. 어린 소년으로서는 멕시코에서 벌어지는 어른들의 세계에 대항하기란 너무 역부족이었다. 서서히 늑대와 교감이 되고 소년의 뚯을 어느 정도 알았으리라고 짐작되는 늑대의 행동은 그래서 더욱 애틋했다. 오로지 소년과 자신의 뱃속에 있는 새끼, 그리고 사납게 단련이 된 투견들의 공격을 견디며, 온 몸이 피와 멍으로 물든 그 동물을 빌리는 총으로 죽이고 편안한 안락의 삶으로 이끈다. 다시 길을 떠난 빌리와 늑대의 이별, 그리고 집에서의 충격은 읽어 가는 동안 아주 마음이 아팠다. 부모가 인디언의 공격으로 죽고 7마리의 말이 없어지고, 동생 보이드만 간신히 살아남았다는 말에 말을 찾으러 다시 동생과 멕시코로 두번 째 국경을 넘는다. 그 곳에서 길에서 만난 소녀에게 말을 주고 다시 자신들의 말을 발견하곤 그 말을 찾기위해서 애쓰는 어린 두 형제의 삶이 그저 고달파 보이는 것은 그 당시의 서부의 삶이 아주 각박하고 말이란 동물이 없인 생활의 터전 자체가 힘들단걸 보여준다. 말의 대부분은 찾았지만 그 와중에 보이드가 심한 부상을 당하고 어느날, 소녀와 보이드는 소리없이 떠난다. 말을 찾기 위해 추격해 오는 무리들로 인해서 잠시 보이드와 헤어진 빌리는 모은 말들도 부상당하거나 죽어서 흐지부지된다. 다시 미국으로 돌아온 빌리의 신체적 문제로 인한 군대 입영이 불허가 되고 여기저기 떠돌이 목장 생활을 하다 다시 동생을 찾기 위해서 세번 째 멕시코로 향하면서 빌리는 어는새 20살의 청년이 된다. 뚜렸한 어느  삶의 정착지도 정하지도 못하고 목적도 없이 떠돌이 생활을 하는 빌리에겐 하나의 소망이었던 동생의 만남이 그의 죽음과 그 유해를 미국으로 데려가던중에 만났던 강도, 그리고 여러사람들의 다양한 얘기속엔 작가가 생각하는 인간의 구원의 종교적인 이야기가 곁들여서 나온다. 아주 다양하게 만나는 장님, 집시, 신부님,,, 그들의 얘기를 듣고 있노라면 인생의 여정 자체가 내가 원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해서 누굴 원망해서 탓할 수 만은 없는 그저 흘러가는대로 언젠가 가다보면 태양은 떠오르고 그 삶은 계속 시작이 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동생을 묻고 동생의 개였던 동물이 이상한 몰골로 다시 나타나지만 파이프로 다시 내쫓고 우는 마지막 장면에선 이제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혈혈단신의 빌리의 앞날이 그려지는것 같아서 내내 씁씁함을 지울 수없었다. 어른들의 힘을 내세운 이기심과 그 당시에 아무런 의심없이 음식을 내주고 이야기하며 잠자릴 제공해 주는 대목에선 인간미가 흐른다. 매번 읽고 나서도 다음엔 다른 책을 읽고 싶단 생각이 들게 하지 않는 작가지만(그것도 작가의 재주라면 재주?) 그래도 손을 놓고 나면 뭔가가 표현이 안되는 감정이 느껴지는 이유는 뭔지, 잘 모르겠다. 아주 희망적인 밝은 글을 쓰는 작가가 아니기에 그런진 몰라도, 이 책을 놓는 순간 내 손엔 또 다른 평원의 도시가 들려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