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의 양치기 소녀 마음을 키우는 문학여행 5
앤 로럴 카터 지음, 박미낭 옮김 / 파라주니어(=파라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아마니란 어린 소녀가 성장해 가면서 겪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틈바구니에서 생활해가는 암담한 실상을  담담히 그려낸 소설이다. 캐나다 청소년 권장소설이라지만 어른이 읽기에도 가슴이 많이 아픈 현재 진행형인 현실이기에 더욱 가슴에 와 닿는다. 할아버지로부터 양치기 소녀의 임무를 맡고 양을 모는 일을 하는 아마니에게 어느 날 자신이 살고 있는 땅에 불도저가 쉴 새없이 작동을 하고 가로막힌 장막이 설치 되면서 통행금지가 생기고, 장막 너머엔 자신들의 땅이라고 생각하는 이스라엘인들의 정착촌이 형성이 된다. 점점 풀을 뜯는 구역이 좁아지면서 현실의 어려움은 시시각각 닥쳐오고, 정착촌의 미국에서 온 조너선이란 남자아이를 만나게 된다.  자신의 뚯을 표현하기 위해선 그간 거부해오던 학교를 다닐 결심을 하게 되고 단지 살기 위해서 항의만 했을 뿐인 큰 아버지가 끌려가서 기약없는 감옥생활을 하게 되는 것을 본 아마니의 눈에 비친 것은 온통 어른들이 하는 말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 투성이다. 그나마 자신의 맘을 조금이나마 알아주는 것은 조너선과의 짧은 대화- 그나마도 조너선은 자신의 눈에 비친 세태를 그저 지켜보고 살아가기가 어렵단걸 알고 미국으로 가기로 결심한다. 교실에서 배우는 영어 수업중의 장면이 잊혀지질 않는다. 단어 하나 하나 서투른 아마니가 칠판에 자신과 양들을 그려놓고 사랑하는 양이 바로 자신의 앞에서 죽어가는 장면을 말할 때의 장면은 실제 보고 있는 것 같은 먹먹함이 있다. 점점 조여오는 그들의 무력에 올리브조차도 맘대로 거두지 못하고 한 밤중에 차를 몰고 멀리 베들레헴까지 가서 올리브 기름을 짜야하는 현실앞에선 아마니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세계가 답답하기만 하다. 소중한 유년의 시절을 이런 현실에 처한 아마니의 일상이 참으로 안타깝단 생각이 든다ㅣ.각기 생각하는 자신들의 나라를 찾는다는 명분하에 서로의  반목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악순환의 고리는 언제쯤이나 해결이 될런지 , 아직도 미지의 해결 실마리란 생각이 든다. 모든 집이 부서진 가운데 그나마 엄마가 가장 좋아하고 식구들이 모두 아끼는 피아노가 기적적으로 무사한 사실과 그 옆에서 엄마가 피아노를 치는 장면은 하나의 희망을 갖게 해 준다. 인종을 떠나서 다양한 팔레스타인들의 이슬람 생활상과 대 가족제도에서 엿 볼수 있는 훈훈한 장면도 인상적이다. 이념을 떠난 사람들의 노력으로 끌려간 아버지가 다시 돌아옴을 의미하는 이슬람여인들의 마지막 메아리가 귓가에 울려퍼진다. 아아아아아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