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흔히 말하는 병자호란에 대해선 학교에서 역사 시간에 배웠고 그간의 인조반정이란 내용에서도 두루 알고 있던터에 뮤지컬로 되어 공연을 한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김 훈씨의 소설 기법은 남성다운 강인한 서예의 묵처럼 처음엔 서서히 묽은 물과 먹이 동화가 되어 있지 않다가 서서히 시간이 흐르면서 함께 어우려져 진정한 하나의 다른 새로운 물건으로 탄생이 되둣 처음 읽기 시작을 했을땐,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글의 감정속도가 빨리 내게로 흡수 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읽기 전엔 이번에 얼만큼의 시간이 경과가 되어야 나와 일체가 되어 있을 수 있을까 생각도 해봤는데, 이번에도 서서히 빨려들어갔다. 이것이 김 작가님의 특징이라면, 뭐 말할 순 없지만서도...
책 속에선 현실상황에서 강한 결단력이 그려진 임금이 안나온다. 그저 다른 여러 대신들의 척화파와 주화파 사이의 주장들 속에서 몇 마디 정도로만 그 감정을 나타낸 정도의 나약한 인조 라는 임금이 그려지고 있다. 기상 악화로 강화도로의 길이 막히자 남한산성으로 발길을 돌려서 투항했던 일을 그려지고 있는 이 소설은 그 안에 살고 있던 민초들의 생활상과 점점 버티기 어려워지는 상황속에서 끝까지 버티어 나갈 수 밖에 없는 진퇴양난의 시간 촘촘히 여러 인간들의 군상을 그려내고 있다. 글 속에 글 이 있고 또 그 글속에 다른 글이 있는 식의 김훈 작가의 글 솜씨는 읽는 내내 글의 이중성과 다양한 뉘양스를 풍기고 있어서 글의 솜씨를 한층 더 감칠만나게 하고 있다. 흔히 박씨전이라고 일컬어지는 전래 동화에서 나오는 남편 이시백의 활약도 그려지고 있어서, 새롭고, 양반에 둘러싸여서 오도가도 못하고 개구멍으로 피난을 가는 민초들의 고생도 여기저기 적혀있어서 그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고난한 생활을 보는 것 같아서 안쓰럽기까지 하다. 비교적 긴 대사없이 몇 마디 말로서 사람의 심중을 잡아내 표현하는 작가의 글 솜씨 속에 끝내 강화도가 함락되었단 소리에 임금으로서 굴욕을 당한 인조의 행동도 일국의 임금으로서 감내해야만 했던 그 당시 상황이 잘 포착이 되어있다. 작가의 말대로 소설을 소설로서 그 당시의 인물로 그려졌기 때문에 그것을 감안하고 읽으란 내용에 알면서도 마치 살아있는 사람을 보는 것 같은 착각이 드는 것은 이것이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작가의 월등한 솜씨가 아닐까쉽다. 언둣 신문에서 본 듯한 내용인데. 몽골교수가 조사하고 연구한 내용중 징키츠칸이 알렉산더 대왕 못지 않는 대륙을 지배한 가운데 유독 한국이란 나라가 별도의 큰 구속없이 고스란히 나라를 지탱해 올 수 있었던 원인중 하나는 타의 나라처럼 철저히 그 속에 동화가 되었던 것이 아닌 먼저 대의를 위해서 소를 주었고 그 틈바구니 속에서 나름대로 실리를 챙겼던데서 무너지지 않고 올 수 있었던것이 아닌가 한다는 내용을 이 책을 읽으면서 인조도 과연 자신의 아들들을 청에 가게 할 수밖에 없었지만 아비이기 전에 한 나라의 왕으로서 백성들의 안위와 왕권 보전을 위해 한 발 물러선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코 잊을 수 없는 오랑캐의 앞에서의 굴욕을 다룬 한 역사의 일부이긴 하지만 그래서 "화냥년"이란 이름으로 소리없이 죽어간 여인네들이 생겨나게 됬지만, 그래도 그 속에서도 꿋꿋하게 생을 이어나가는 민초들의 삶을 보면서 하나의 희망을 나타낸 이 소설의 말미가 , 그래서 더욱 애틋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