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내의 돌
아티크 라히미 지음, 임희근 옮김 / 현대문학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배경은 아프가니스탄 어느지역 어느곳...
번역가의 말 처럼 작가는 특정 지역 어디라고 제시하진 않고 다만 어느 한 공간에 배경을 맞추고 총을 맞은 남편을 둔 두 딸의 어느 여인의 고백 형식으로 글을 썼다. 이슬람에 대해선 그간 몇 작품을 읽긴 했지만 여인의 입장에서 바라 본 종교와 세속의 살아가는 사람들의 관계를 이렇게 보이는 것처럼 그려낸 것은 처음이다. 딸만 있는 집에 둘째로 태어난 여인은 어린 나이에 어른들에 의해 일방적으로 정혼을 하게 되고 전쟁에 나간 약혼자를 기다리다가 결혼도 없이 시댁에서 시어머니아 같이 방을 쓰며 남편 될 사람을 기다린다. 결혼 생활은 길었지만 실제적으로 남편과 가까이 지낸 것은 3년에 불과하다는 여인의 넋두리는 자신의 삶에서 자신도 미처 몰랐던 여인이고 한 인간으로서 가질 수 있는 성적인 욕망에 , 자신을 스스로 억제 해야만했던 사실을 누워 있는 남편에게 고백한다. "생게 사부르"... 인내의 돌이라 불리는 전설적인 이야기를 덧대어 작가는 이 여인이 그간 겪었던 남모를 이스람 여인으로서 살아야했던 환경에 대한 울분, 기대에 못 미치는 남편의 성적인 생활, 멋 모르던 초혼 첫 날밤에 생리를 하면서 치러야 했던 그 마음을 일일히 나열하면서 자신의 울분과 남성들의 여성에 대해 갖고 있는 그릇된 인식을 비웃는다. 우리나라와 같이 아이를 생산하지 못하면 쫒겨날 지도 모른단 생각에 시집에서 억울하게 쫒겨난 고모를 만나서 그 상황을 모면하려 했던 여인의 고백엔 정말 뚯 밖이란 반전이 기다리고 있었다. 시아버지에게 들은 인내의 돌 이야기를 남편에게 해 주며 남편에게 당신이 나의 인내의 돌이니 나의 모든 이야기를 들어 달라는 여인의 끊임없이 나오는 살아오면서 느꼈을 죄책감, 치욕감, 등을 세세히 풀어나간다. 이야기 중간에 다른 어린 병사를 남편이 있는 옆방에서 일을 치르는 과정도 남편에게 그 아이에게 느꼈던 감정을 자신의 처지와 다를 바 없단 것으로 미주알 고주알 풀어낸다. 두 딸의 아버지가 당신이 아닌 씨내림으로 인해서 자신이 시댁에서 쫒겨날 처지를 면하게 됬다고, 그것이 모두 당신이 제 역할을 못했기 때문이 아니냔 클라이막스의 외침은 마침내 참고 참았던, 그 얘기를 모두 들었던 인내의 돌이 폭파하면서 그 여인은 남편의 손에 이끌려 단검에 한 칼에 인생을 마감한다.
결국, 남편이자 인생의 한 3분의 1도 안되었던 결혼생활을 통해서, 배우자가 누군지도 모르고 결혼하고 임신을 못하는 것이 모두 여인의 잘못인양 둘러대는 시어머니의 시선속에서 그녀가 겪어야 했던 인생살이는 몸 조차 움직이지 못하는 남편이라는 인내의 돌을 옆에 두고 한 맺힌 여인의 절규이자 고백이다. 여인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서 누려야할 자신의 인생의 결정권을 이슬람이라는 종교하에 의견조차 내비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끌려가 살아야만 하는 아프가니스탄의 현실을 보여준다. 의사 표현 조차 할 수 없는 그저 생명 부지의 숨만 있을 거라고 믿었던 남편이 여인의 부정한 행실 고백에 마침내 인내의 돌이 폭파하며서 그 여인을 그제서야 평화롭게 놔 주는 장면은 왠지 쓸쓸하고 허무하단 생각이 들었다. 그나마 위안이 된다면 평생을 가슴에 지고 갔을 엄청난 비밀을 토해낸 후련한 인생 고백서라고 한다면, 그 여인에게 조금이나마 멍에를 덜어내지 않았을까 쉽다.
작가가 남자임에도 불구하고 여인으로서 겪을 수 있는 심정 묘사 표현이 , 마치 자신이 여인의 몸 속에 한 번 들어갔다가 나온 사람처럼 뛰어나게 그려내고 있다. 영화 장면 하나하나 처럼 쉽게 감정 이입이 되기에 읽기엔 무리가 없고, 영화도 되고 연극 무대처럼 생각되는 느낌이 강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