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현재로서는 문제의 핵심이 사회구조에 있단다. 식량 자체는 풍부하게 있는데도,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그것을 확보할 경제적 수단이 없어. 그런 식으로 식령이 불공평하게 분배되는 바람에 안타깝게도 매년 수백만의 인구가 굶어죽고 있는 거야
  ***긴급구호는 쉬운 일이 아니고, 아주 잘 훈련된 인력이 있어야 한다는 거야. 영양불량이 심각한 상태에 있는 아이들은 면밀한 계획에 따라 신중하게 치료해야 해. 굶주린 사람들에게 무턱대고 먹을 것을 주면 오히려 위험하단다. 자칫 생명을 앗아버리는 일이 될 수도 있지. 굶주림에 시달린 몸은 몹시 쇠약해져 있어서, 구호 센터에 모습을 드러낼 즈음에는 신진대사가 극도로 악화괴어 있는 경우가 많단다. 

 

 위의 구절 구절 한 마디로 요약이 될 수 있는,  세계의 기아들이 왜 많이 있는지에 대한 이유와 그 해결책을 위해 노력 하려는 의지로 글을 쓴 이의 생각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우리나라도 6.25전쟁과 보리고개를 무수히 거치면서 우리의 부모님과 그 윗대 선조분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그 때의 배고픔을 모르고 살게 된 이 때에, 세계 빈곤 국가에 처한 나라에서 기아에 처해서 처방을 쓰기엔 너무 늦어 이 세상과 이별하는 어린이가 무수히 많다는 사실을 장 지글러는 자신이 몸담고 있던 단체에서 몸소 느끼고 체험한 것을 아들에게 들려주는 식의 얘기로 우리들에게 사실을 얘기하고 있다. 평소 밥상에서 남는 음식을 쉽게 아무렇지도 않은 의식으로 처리해 버리는 우리들 각 가정에서 필히 음식의 소중함을 알게 해준 글이었다. 그저 막연히 나라의 환경자체가 농사짓기엔 척박한 사막이고 물 부족 국가이고 교육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나라가 많단 이유가 있기 때문에, 더군다나 아프리카의 경우엔 각기 다른 부족들간의 이해 관계, 뭣보다 빼놓을 수 없는 종교,그리고  막연히 알고만 있었던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 어린이들이 왜 그렇게 손을 쓸 수도 없이 배가 풍선처럼 부어오르고 팔 .다리는 너무 가늘어서 지탱조차 힘든 영상을 TV에서 보면서 정말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 못한단 말을 떠올리곤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아프리카의 뛰어난 선지자 역할을 하고자 했던 머리가 깬 사람이 나라를 통치해서 기아를 면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도로아미타불이 되고 만 사례는 아직도 세계 2차 대전이 끝났다고 하지만 엄연한 현실에선 강대국이 지배했던 그 방식대로 벗어날 수 없는 한계의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다. 신 제국주의로 인해서 자신이 지배한 나라가 자립하는 과정에서 강대국이란 허울 좋은 이름의 탈을 쓴 소위 말하는 강대국들은 자신의 국민들과 자신의 권력의 부를 잃지 않기 위해서 서로 공모해 가면서 이들의 나라 앞날을 저지하는 형태로 힘을 과시한다. 이와 더불어서 금융과두체제에 대한 비판과 강대국과 거대 다국적 기업간의 모종의 관계 때문에 암살 까지 당하는 사례를 보여준  작가는 그저 가난 때문에 기아가 생긴단 생각만하고 있던 나에게 다양한 사례를 제시해 보여주고  비단 그 나라가 처한 척박한 현실외에도 이런 모종의 경제 권력을 휘두르고 그 사실을 겉으론 지원이란 명목하에 천사의 얼굴을 하고 있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 보면 결국엔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경제 원리에 따른 것이란 것을 알곤 정말 분노가 치민다. 누구라도 정말 생명은 소중한 것이다. 생명 유지의 근간을 이루는 최소 단위가 의.식. 주 중에 가장 으뜸이 먹는다는 것인데, 하물며 갓 태어난 생명 조차도 이런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고 죽는다는 것은 과연 누가 이들에게 이렇게 할 권리가 있는가?하고 묻고 싶어진다. 많은 영양실조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는지 부터 살피는 의료계에 처한 상황은 더욱 마음이 아프기까지 하다.  

 소수가 누리는 자유와 복지의 대가로 다수가 절망하고 배고픈 세계는 존속할 희망과 의마가 없는 폭력적이고 불합리한 세계이다. 

 모든 사람들이 자유와 정의를 누리고 배고픔을 달랠 수 있기 전에는 지상에 진정한 평화와 자유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서로서로 책임져 주지 않는 한 인간의 미래는 없을 것이다.  

책장을 덮으면서 이 말을 곰곰이 생각해 보게 만든다. 과연 나라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