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의 글을 읽고 있으면 한없이 초라하고 작게 느껴지는 나의 지식의 한계를 느끼곤 한다. 그러면서도 손에 쥐었다 하면 놓을 수가 없는 작가의 글의 세계가 마법의 문처럼 나를 이끌기 때문이기고 하고 샘도 나기도 해서 내가 알지 못하는 지식의 일부분이라도 내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생각도 들기때문일 것이다. 

그간의 작품들인 "우리는 사랑일까?", "키스하기 전에 해야 할 말들", "여행의 기술",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처럼 다양한 각도에서 그림과 곁들여져서 주 특기인 철학과 우리가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여러가지 소소한 현상들에 대해서 적절한 비유와 사람의 심리 상태를 여기서도 잘 나타내주고 있다. 읽어내려가면서 철학적인 면에선 나의 얕은 지식으론 소화하기 힘든 부분도 없지 않았으나(다른 작품에 비해선 훨씬 쉬웠음에도...), 불안의 원초적인 원인과 해소 방법, 그리고 왜 이런 현상이 생겨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작가는 , 각 시대별로 요구했던 지위라는 체계에 대해서 경제학적인면, 예술적인면, 기독교적인 면 에서 상세히 필치를 날리고 있다. 세계사 공부를 했던 학창시절의 기억이 떠오르면서 이런 면을 불안이란 요소로 부각시키고 , 더불어서 농노가 오히려 영주보단 어떤 면에선 지위적으로 평안했을 수도 있단 대목에선 고개가 끄덕여진다.   

또한 불안의 해소 방법으로 제시한 폐허에 대해 기술한 점은 기억에 남는 부분이다. 

대부분 쓴 책들 속의 구절들이 정말 가슴에 와 닿는 부분이 많아서 별도의 메모를 작성해 놓은 것이 있는데. 이 책 또한 어느 한 페이지를 그냥 읽고 넘어가긴엔 일일이 기억해야 할 말들이 많아서 행복한 고민(?)을 했다.

경제학자들의 다양한 그 시대의 다양한 해석과 더불어서 일목요연하게 교차시킨점은 알랭의 글 패턴이기도 하지만 매번 볼수록 흠뻑 빠지게 하는 요소가 있다. 한 번 읽어 봐선 머리에 속속들이 들어오지 않는 점, 또한 알랭의 철학적 메시지가 강한 면도 있기도 하지만, 두고두고 소장해 두고 볼 만한 책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