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정신병동에는 두 부류의 인간이 있어요. 미쳐서 갇힌 자와 갇혀서 미치는 자."
최기훈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았다. 내 눈을 피하지 못하도록 꽉 붙들었다.
"승민이가 어느 쪽인지 최 선생님은 잘 알아요. 그게 내가 아는 진실이에요."
_ <내 심장을 쏴라> 213쪽
 

 이 책을 읽으면서 가슴 한 구석이 찡하게 아려옴을 느낀 구절이다. 

가끔 tv에서 정신 병원을 탈출한 환자들의 얘기를 듣긴 했지만, 이 책을 읽고서 과연 정말 정신병원엔 정말 말 그대로 머리에 고장이 난 사람만 올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 어릴 적 엄마의 자살로 야기된 충격으로 자신의 머리속에 또 다른 사람이 들어 앉아서 현실에 적응하기를 두려워하고 오히려 그안에 살고자만 했던 화술자 "이 수명" 과 혼외 자식으로 태어나 유산을 받고 미국에서행글라이더 조종사로 있었던 "류 승민"이란 인물을 통해서 과연 자유란 무엇인가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겉 보기엔 그저 평범한 사람으로 보일지라도 누구나 내적 병으로 살아가는 환자들의 개개인의 사정과 입원을 할 수 밖에 없는 환자들의 하나 하나 얘가가 가슴을 쓸어내리게 한다. 전작 자신은 멀쩡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유산 문제로 정신병원에 갇히게 된 승민의 자유를 향한 처절한 노력은 눈물샘을 자극하고야 만다. 그 처절한 이유가 다시는 아름다운 세상을 볼 수없다는 시간의 촉박함이 있었기에 무모한지 알면서도 여러번 탈출 시도를 하게 된걸 작가는 우리들에게 공감을 하게 만든다. 병원 입장에서의 약물치료과정과 전기 충격 과정이 어쩔 수 없다는 처지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이 반 죽음의 의식 없는 생활로 얼마간 이어지고 또는 다시는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  갈 수 없게 만드는 상황이  아픔으로 다가온다. 

정작 자신은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조차 몰랐던 수명에게 어쩜 승민은 한 줄기 희망의 빛이 되었는지도 모른단 생각이 들었다. 과감히 행한 탈출 계획도 마지막 희망이었던 드높은 하늘을 날고자 했던 승민의 소원을 이루면서 진정한 자신의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자 했던 수명의 간절함이 종합세트가 되어서 온 결과가 아닐까 한다. 이것을 읽으면서 문득 영화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란 영화가 생각이 나고 , 얘기의 방향은 틀리지만 "쇼 생크 탈출", "빠삐용"이란 영화들이 생각나는 이유는 결국 자유를 향한 인간들의 본질적인 발산 욕구를 나타내고 있다. 갇혀있는 병동의 각 환자들의 특성을 하나하나 캐치해서 묘사한 작가의 발군의 솜씨가 돋보인다. 트위스트 추는 승민이나 "또별"이라고 외치는 할아버지, 말이 쏟아졌다하면 쉴 틈이 업는 김 용...울다 웃다 만드는 작가의 맘 씀씀이가 장단 고저를 향해서 무난히 우리의 뇌리에 안착을 하게 만든다. 동고 동락 하면서 결국엔 탈출이 실패해서 돌아온 승민을  위해  인간성의 내면에 잠재한 따뚯한 맘씨가 그려지는 대목에선 하염없는 눈물이 흐른다. 세상이 뭐라해도 그들에겐 그들 나름의 세상이 있으므로,,, 

마지막 탈출계획에 서로가 동조해 탈출시간을 벌이고자 해 주는 노력들은 또 다른 인간애와 동지애를 보여준다. 

영화화 하기로  결정이 됬다고 하던데, 과연 스크린에선 어떻게 이들의 심정묘사가 표현이 될지 벌써 부터 궁금해진다.  그리고 과연 승민이는 자유를 찾아 떠났을까? 하는 궁금증과 더불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