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포플러 나무
안네 B. 락데 지음, 손화수 옮김 / 행간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그야말로 가족이 되어 가는 과정을 그린 따뜻한 소설이다. 노르웨이란 나라에서 온 이 소설이 우리의 정서와도 비슷하게 닮았단 점도 눈길을 끌었다. 가족이면서도 서로가 관심 밖의 삶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엄마의 위중한 입원소식에 모여들면서 그간의 해묵은 감정해소와 전혀 뚯밖의 사실로 인해서 겪는 혼란의 정체성, 그 와중에 가족이라는 끈으로 다시 합쳐서 집안을 이끌어 나가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역자의 말대로 손에서 책을 놓기가 쉽지않다. 엄마의 뚯대로 평생을 소와 돼지농장을 운영한 큰 아들 토르, 군대에서 한 번의 사랑으로 자식이 생기고 엄마의 뚯대로 이루지 못한 결혼생활이었지만 그 속에서 핏줄인 토룬이란 이름으로  지어진 딸, 엄마의 비 인간적인 행실에 용서할 수 없어,  자식으로서의 행동으로 연을 끊다시피 살아온 장의업체을 운영하는 둘째아들 마르기도. 동성애자인 아들을 용서 못한 엄마를 떠나서 코펜하겐에서 동성의 남성과 12년째 살아가고 있는 세째 아들 에를렌... 이 네사람과 평생을 큰 아들과 부인의 구박 속에서 농장경영이나 의사 표현에 의지없이 살아온 아버지... 이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가 서로에 대한 오해와 가족으로서 살아가야 할 날들에 대한 희망을 그려내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성애에 대한  이해와 인간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행하며 살았고 결국 그 몫은 그녀의 아들들과 손녀에게 짊어지고 죽은 안나에 대한 용서가 쉽게 와 닿지않았다. 독일이 남기고 간 포플러 나무처럼 끈질긴 생명력 앞에서 인간이란 존재가 얼마나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가면서 살아왔는지, 또 해는 반드시 떠오르둣이 이 소설의 말미는 그나마 희망적으로 그려지고 있어서 책을 덮는 순간 연작편을 읽고 싶단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