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생거 사원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63
제인 오스틴 지음, 윤지관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사실 저자의 작품을 영화나 원작을 대한 독자들이 많다는 것, 한 권씩 모아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 라인들 중 하나인데 이번엔 책장을 훑어보다 손이 먼저 가는 것을 고른 책이다.
저자가 처음으로 쓴 소설이자 사후에 출간된 작품이란 사실에서 느꼈던 것은 타 작품보다 확실히 풋풋한 사과를 연상시킨 듯한 글 솜씨다.
능숙하다고 하기엔 조금 부족하지만 저자가 출간한 작품들을 떠올려 보면 그 맥락상 이어지는 공통된 해피엔딩, 여성의 지위와 재산 물려받은 정도에 따른 결혼의 가치관, 여기에 '사랑'이라는 소중한 감정이 개입되면서 펼쳐지는 남녀 간의 감정들이 초기작부터 출발했으니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목사의 딸로 참한 여성으로서는 보기 어려운 17살의 캐서린이 이웃의 앨런 부부의 초대로 치료차 방문하게 될 바스에 함께 동반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예전부터 온천휴양지로 이름난 바스란 고장의 풍경과 이곳에 모인 사람들과의 교류를 그린다.
1부에서는 바스에서의 생활, 2부에서는 바스에서 만난 틸리 집안의 초대로 그들이 살고 있는 노생거 사원에서의 생활을 그리고 있는 내용은 한적한 시골을 벗어나 유명지에서 만난 사람과의 교류를 통해 친구인 이저벨라 소프와 엘리너 틸리, 그리고 한눈에 반한 헨리 틸리와의 사랑이 그려진다.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의복, 무도회 참석을 통해 사람들을 사귀는 과정, 이곳에서 순수하고 소설 읽기를 좋아하는 캐서린과 그녀의 솔직하면서도 자신의 올 곳은 생각에 대한 행동을 보인 매력에 빠진 헨리의 동선은 당시 시대상을 통해 결혼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진행을 보인다.
고딕소설에 빠져 노생거 사원에서 캐서린이 행동에 나선 일들이나 이런 망상에 빠져나오는 흐름들을 통해 당시에 고딕소설이 유명했음을 알 수 있는 장면으로 이어지고 여기에 양다리를 걸친 행동을 보이는 이저벨라의 행동이나 그 오빠 존의 행동은 용서받을 수 없는 남매의 모습으로 비친다.
당 시대를 통해 가부장적인 틸리 장군의 모습에서는 결혼의 조건인 사랑보다는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는 금액이 얼마나 되는가에 우선시되었다는 점과 확인을 거치지 않고 결정을 내린 빈약한 인간의 모습들은 오스틴이 작품 속에서 꾸준히 보였던 부분이다.

특히 이 작품 속에서 저자가 생각하고 있던 소설이란 것에 대한 부분을 화자가 등장하듯 들려주는 생각들은 등장인물들의 심리 변화 과정은 물론 캐서린이 세상에 대한 인식을 좀 더 깨달아가는 성장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다.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 조금 서두른 흐름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런 과정을 거친 후 차후 작품들을 좀 더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초보 작가의 생생함이 느껴진 작품이란 생각이 든다.